미래
-
잘되라고 한 짓? '붉은 달 푸른 해'가 담은 끔찍한 아동학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12. 22. 11:52
‘붉은 달 푸른 해’가 되돌아보게 만든 교육문제와 아동학대“난 달라. 당연히 다르지. 난 우리 빛나가 잘되라고 한 거잖아. 조금만 참으면 미래가 달라지는 데. 애가 자꾸 다른 짓을 하니까.” MBC 수목드라마 에서 민하정은 자신이 딸 이빛나(유은미)를 학대해왔다는 사실을 부정했다. 그는 자신이 한 행동이 ‘사랑’이라고 믿고 있었다. 아이가 더 잘되라고 한 행동이라는 것. 모든 것들에 이유를 달고 있었지만 그 행동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명백한 아동학대였다.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이유를 내세워 아이를 감금하고, CCTV까지 달아서 아이의 행동을 감시했다. 그리고 자신의 뜻대로 행동하지 않는 아이에게는 ‘사랑의 매’라며 체벌을 가했다. 그 사실을 차우경(김선아)에게 고백한 빛나는 온 몸에 난 상처들을 드디어..
-
'스케치', 치열한 두뇌게임 묘미 vs 신규 시청자 유입 한계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6. 11. 10:19
‘스케치’, 정해진 미래와 그 미래를 깨려는 사람들JTBC 금토드라마 는 일종의 두뇌게임 같은 드라마다. 미래에 벌어질 사건이 그려진 스케치라는 판타지 설정은 이 두뇌게임의 판을 제공한다. 그 능력을 가진 유시현(이선빈)이 그리는 스케치를 보며 그 그림이 어디서 누구에게 언제 벌어진 것인가를 찾아내고, 사건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뛰고 또 뛰는 나비 프로젝트팀이 있지만, 이야기는 결코 ‘벌어질 사건’과 그 ‘사건을 막으려는 이들’의 단순한 과정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것은 성 범죄자에게 아내를 잃고 폭주하는 김도진(이동건)과, 그를 회유해 미래에 사건을 저지를 인물을 사전에 제거해나가는 장태준(정진영)이라는 미스터리한 인물, 그리고 김도진에 의해 아내를 잃은 강동수(정지훈) 형사 같은 인물들이 가진 저..
-
‘스케치’ 이동건과 정지훈, 미래를 바꾸는 두 가지 방식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5. 28. 11:52
‘스케치’ 이동건과 정지훈, 흥미진진한 대결 뒤 남는 의구심인과론.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고, 그 결과는 또 다른 결과의 원인이 된다는 이론. 그렇다면 결과를 바꾸기 위해서 원인을 제거하는 건 정당한 일일까. JTBC 금토드라마 는 스케치로 예고된 살인을 막으려는 이들이 등장한다. 미래를 그리는 유시현(이선빈)과 그와 사건에 함께 뛰어들게 된 강동수(정지훈)가 그들이다. 그 스케치를 통해 강동수의 약혼녀 지수(유다인)가 살해당할 수도 있다는 걸 확인하게 된 유시현은 그래서 강동수가 하려는 행동을 바꾸려고 한다. 그렇게 하려는 행동을 바꾸면 원인이 달라지게 되고 그것이 결과도 바꿀 수 있으리라 여기는 것이다. 이는 피해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과론을 뒤집으려는 행동이다. 일어날 사건에 피해자가 연루되지 않..
-
'고백부부' 장나라·손호준의 눈물, 왜 유달리 공감 얻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1. 6. 09:18
‘고백부부’, 우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란미래에 벌어질 일을 미리 알고 있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 KBS 금토드라마 가 갖고 있는 타임리프 설정은 어쩌면 이 질문에서부터 시작됐는지도 모른다. 힘겨운 현실에 부딪쳐 누구의 잘못도 아닌데 서로의 마음이 다치고 그래서 결국은 이혼이라는 아픈 선택을 했던 부부. 만일 그들이 과거로 돌아가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분명 현실 걱정할 것 없는 청춘의 시절로 돌아간다는 건 흥분되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미래에 벌어질 일들을 알고 있는 그들의 청춘이 마냥 좋을 수만은 없다. 특히 마진주(장나라)의 엄마 고은숙(김미경)은 신장염 투석 치료를 받아오다 결국 삶을 등졌다. 그러니 영정사진으로 남은 엄마를 다시 보게 된 마진주의 마음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괜히 쳐다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