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가> 배낭여행, 뉴질랜드와는 다른 까닭

 

상하이의 한 시장에서 중국소녀 쩡쯔린은 왜 빈이를 따라왔을까. 그리고 쩡쯔린과 빈이가 같이 손을 잡고 친해진 것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물론 아이들 특유의 친화력이 가장 큰 이유일 것이다. 어른들이라면 그렇게 다가오는 누군가를 의심부터하고 봤을 테니 말이다.

 

'아빠 어디가(사진출처:MBC)'

하지만 여기에는 또한 <아빠 어디가>이기 때문에 가능한 장면들이 있다. 성동일과 빈이는 중국에서도 낯선 얼굴이 아닐 것이다. 이미 중국판 <아빠 어디가>가 중국내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고 우리의 <아빠 어디가> 역시 인터넷 등을 통해 중국에 충분히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성동일은 시즌1에서부터 계속 출연했기 때문에 더더욱 중국인들에게 익숙하다. 아이의 손을 잡고 여행하는 아빠의 모습이 흔하지 않은데다 그것을 카메라로 찍고 있으니 중국인들의 시선에도 눈에 띌 수밖에 없다. 실제로 방송은 그 부분을 드러내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었지만, 카메라에 포착된 중국인들은 이들 부녀를 따라다니며 사진을 찍는 모습이 보여지기도 했다.

 

그러고 보면 성동일과 빈이가 함께 공항에서 시내까지 지하철을 타고 오는 장면이 우리에게는 그저 재미로 다가왔을지 모르지만 중국인들이 봤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너무 졸린 빈이가 옆자리에 앉은 할아버지에게 기대서 조는 장면은 우습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사랑스럽게 다가갈 것이다. 거기에는 국가 간의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한 순간에 무너뜨리는 아이의 순수함이 묻어난다.

 

홍콩에 간 김성주와 민율이가 규정을 잘 몰라 지하철에서 빵을 사서 먹으려다가 경찰에 의해 제지당한 장면도 홍콩인들에게는 흥미로운 이야기다. 거기에는 문화적 차이가 가져오는 웃음이 자연스럽게 묻어있고 또한 아빠와 아이가 낯선 해외에 뚝 떨어졌을 때 느낄 수 있는 국가를 초월한 공감대가 들어 있다.

 

한편 자신이 예약한 호텔 직원들에게 환대를 받는 모습도 <아빠 어디가>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장면이다. 처음에는 긴가민가하던 직원들에게 영어로 더듬더듬 <아빠 어디가>를 찍고 있다고 알려주자 팬이라며 반색하는 모습이 그렇다. 규정상 어린 아이가 여러 명이 함께 자는 도미토리에서 잘 수 없다며 같은 가격으로 2인실을 제공해주는 호텔 직원들의 모습에서는 팬심이 느껴졌다.

 

뒤늦게 홍콩행에 합류한 윤민수와 윤후가 공항으로 가며 서로 중국어를 뽐내는 모습은 아마도 중국에 이 프로그램이 방영된다면 꽤 흥미로운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발음하기가 쉽지 않은 중국어를 곧잘 발음하는 윤후가 비행기에서 스튜어디스에게 중국말을 해보는 장면은 중국인들에게 윤후의 매력을 십분 보여줄 것이다.

 

홍콩에서도 김성주와 달리 척척 일사천리로 유쾌한 여행을 하는 윤민수의 모습 역시 주목받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윤민수 부자와 김성주 부자의 홍콩에서의 만남과 그렇게 이어질 함께하는 홍콩 여행은 그 서로 다른 두 부자의 모습 때문에 더욱 흥미진진하게 다가온다.

 

여러모로 <아빠 어디가>의 이번 배낭여행은 지난 뉴질랜드 여행과는 사뭇 다른 목적과 느낌을 갖고 있다. 뉴질랜드 여행이 그간 수고한 출연자들에 대한 방송사 차원에서의 포상에 가까운 것이었다면, 배낭여행은 이미 <아빠 어디가>의 인기로 실감하고 있는 아시아권 예능 한류에 대한 교감의 차원이 더 크다는 점이다.

 

사실 아이들만큼 국가를 초월해 공감대를 만들어내는 존재들도 없을 게다. 상하이에서 빈이가 우연히 만난 중국소녀 쩡쯔린의 그 짧은 출연에도 우리네 시청자들의 반응은 의외로 컸다. 물론 <아빠 어디가>가 갖는 특유의 소박함을 잃어서는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그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닫아버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중요한 건 아이들의 행복이고, 그것이 방송에 담겨졌을 때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다. <아빠 어디가> 배낭여행은 그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나영석 PD는 왜 <꽃보다 할배>를 선택했을까

 

왜 하필 할배(?)들이었을까. 나영석 PD가 새롭게 시작하는 <꽃보다 할배>의 평균연령은 76세. 막내 나이가 무려 70세다. <1박2일>로 국민적인 사랑을 받은 나영석 PD가 CJ로 이적해 만든 첫 작품인데다, 이순재, 신구, 박근형, 백일섭,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국민배우들이 뭉쳤기 때문인지 <꽃보다 할배>는 시작 전부터 큰 화제가 되고 있다.

 

'꽃보다 할배(사진출처:tvN)'

‘일섭다방’이라는 실시간 검색어까지 떠올랐던 공원에서 커피를 타 마시는 티저 영상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은 <꽃보다 할배>가 가진 특별한 재미를 압축해서 보여준다. 영상 속에서 백일섭은 막내라는 이유로 투덜대며 커피를 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제 나이 다 들어 같이 늙어가는 처지의 칠순 할배들이지만 그 안에도 엄연히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큰 웃음을 주었던 것.

 

이 장면은 <꽃보다 할배>가 어르신들이 주인공들이지만 그 소구대상은 젊은이들을 포괄할 것이라는 걸 말해준다. 즉 이 예능 프로그램은 ‘할배’가 아니라 ‘꽃보다’에 더 방점이 찍힌다는 것. 할배들이지만 여전히 ‘꽃보다’ 귀엽기도 하고 때로는 가슴 뭉클한 감동의 존재들이기도 한 그들의 새로운 면모가 이 프로그램의 진면목이라는 점이다.

 

tvN <택시>를 통해 살짝 공개된 <꽃보다 할배>의 장면들은 이 어디로 튈 지 알 수 없는 어르신들의 배낭여행이 젊은이들의 <1박2일>보다 훨씬 흥미로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굉장히 적극적인 직진순재, 엉뚱한 매력의 시크신구, 로맨티스트 박근형, 좌충우돌 웃음담당 막내 백일섭 같은 캐릭터가 이미 만들어질 정도.

 

할배와 배낭여행이라는 새로운 조합 속에는 그간 나영석 PD가 해온 리얼 예능에 대한 생각이 들어가 있다. 나영석 PD는 예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결과’가 아니라 ‘예측 불가능성이 가진 재미’를 꼽고는 했다. 즉 기획단계에서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그림이 떠오르는 예능은 지금의 시청자들에게는 식상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 젊은이들이 배낭여행에서 겪을 수 있는 그림은 한정되어 있지만 그 체험자가 할배들이라면 도무지 어떤 그림이 나올 지 상상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지점은 작금의 <1박2일>이 난항을 겪는 이유이기도 하다. 나영석 PD가 이끌던 <1박2일>이 예측 불가능한 과정들을 담았다면, 지금의 <1박2일>은 시작과 함께 대충의 과정과 결과까지를 예측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은 그만큼 이 프로그램이 오래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대중들의 뒤통수를 치는 새로움에 대한 노력이 그만큼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또한 나영석 PD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점은 그렇다고 해도 그 낯설음이 기대감마저 없는 미지수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우리는 그 조합이 낯설면서도 막연하게나마 할배들의 배낭여행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여행을 통해 우리가 몰랐던(아니 어쩌면 알려고 하지 않았던) 어르신들의 세계를 들여다본다는 것이 그렇고, 70년 이상을 살아온 경험치에서 묻어나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할배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우리네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네 근대사를 통과하면서 지극히 개인적인 여가나 여행에 대해 그만큼 소홀했을 어르신들이 경험하는 배낭여행이란 그분들에게도 똑같은 여운을 주었을 것이 분명하다. 즉 ‘할배들의 배낭여행’이라는 단순명쾌한 콘셉트 안에 상당히 많은 기획 포인트들이 자연스럽게 들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미 야동순재를 통해, 또 “니들이 게맛을 알어?”하고 묻던 신구 선생을 통해, “아 글씨”하고 추임새를 붙여가며 부르던 백일섭 선생의 ‘홍도야 울지 마라’를 통해, 그리고 칠순에도 여전히 빛나는 박근형 선생의 로맨틱한 풍모를 통해서 그네들에 대한 팬덤이 젊은 층들에게도 충분히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어르신이 순간 권위를 무너뜨리고 아이 같은 천진함을 드러낼 때, 나이와 세대의 장벽은 허물어져버린다.

 

게다가 제 아무리 자기 세계에만 매몰되어 있던 자라도 그 마음의 빗장을 열어젖히기 마련인 여행이 아닌가. 그 속에서 우리는 지금껏 가족의 한 언저리로 밀어놓고 구태여 들여다보려 하지 않았던 우리네 어르신들의 ‘여전한 청춘’을 보게 될 지도 모르겠다. ‘예측불가능성’과 ‘기대감’. 이것이 나영석 PD가 보여줄 <꽃보다 할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는 이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