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진과 나영석이라 가능했던 <삼시세끼>의 재미

 

tvN <삼시세끼>는 시작 전부터 이서진이 그렇게 나영석 PD에게 으르렁댔을까. 이서진은 심지어 첫 회에 <삼시세끼>망한 프로라고까지 말했다. 그런데 흥미로운 일이다. 이서진이 이렇게까지 망했다는 연발하면 할수록 프로그램은 점점 재미있어진다는 점이다. 도대체 왜 이런 역설이 가능해질까.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이서진은 나영석 PD와 만나 <꽃보다 할배> 때 나왔던 요리왕콘셉트의 프로그램을 한다고 말하자 대뜸 그걸 한다고?”라고 반문했다. 씨앗을 나눠주며 싹을 틔워오라는 사전 미션도 관심도 없어 난이라고 일축했고 심지어 어머니에게 맡겨 키우기도 했다. 첫 날 그들이 앞으로 1년을 지내야할 강원도 정선을 가는 길에서도 그의 투덜댐은 멈추지 않았다.

 

이서진은 흔히 말하는 전형적인 까도남혹은 차도남이었다. 그런데 <꽃보다 할배>에서도 살짝 드러났듯이 그렇게 까칠하고 투덜대면서도 또 할 건 다 하는(심지어 결과물까지 괜찮은) 그런 인물이다. 바로 이 지점은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정서를 만들어낸다.

 

그것은 한 마디로 말하면 까도남의 농부 되기가 될 것이다. 사실 시골이나 농촌이라고 말하면 막연한 환상이 먼저 떠오르지만 그건 말 그대로 환상일 뿐 실제로 농사일을 해보면 고된 노동으로 왜 우리가 이러고 있지?”라며 헛웃음이 나오는 게 다반사일 것이다. <삼시세끼>는 바로 그 도시인들이 생각하는 환상으로서의 시골이 아니라, 진짜 노동의 공간으로서의 시골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서진의 투덜댐과 까칠함은 이런 게 다 귀찮을 수밖에 없는 도시인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여전히 귀찮지만 조금씩 적응해가고 변해가는 그의 모습이 자연스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성장이란 키워드는 그래서 <삼시세끼>의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첫 시작을 한 알의 씨앗을 싹 틔우는 것으로 한다는 것은 그런 의도일 것이다.

 

한편 투덜대지만 뭐든 척척 해결해내는 이서진과 상반되게 그와 함께 이 고된 농촌생활을 할 옥택연은 늘 성실하게 뭔가를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잘 못하는 허당 캐릭터다. 그러니 여기서 이서진과의 괜찮은 조합이 만들어진다. 그의 성과 없는 성실성과 뭘 아는 것 같지만 알고 보면 헛똑똑이인 사실은 이서진을 더 버겁게 만들면서 두 사람을 진짜 형제 같은 관계로 만들어낸다. 투덜대면서 동생을 보살피려는 이서진과 그 투덜대는 형에게 어떻게든 도움이 되려는 착한 동생. 그 두 사람의 참 좋은(?) 시절이 그려지는 것.

 

여기서 나영석 PD는 계속해서 이서진을 위한답시고 버거운 상황을 만들어낸다. 윤여정과 최화정의 방문은 그래서 그 참 좋은(?) 시절의 완성으로 이어진다. 시골에 도착해 상황을 파악한 윤여정은 나영석 PD는 사기꾼이라고 말했고, 최화정은 이건 재미도 없어라고 독설을 날렸다.

 

그런데 이들의 이 불편함은 곧 이어 나영석 PD의 수수 농사 빚 거래로 성사된 고기파티로 잠시간의 시골 생활의 로망으로 변모한다. 즉 불편하고 귀찮은 그 상황이 있기 때문에 작은 즐거움조차 크게 느껴진다는 것. 이서진의 투덜댐은 그래서 앞으로 전개될 그의 작은 변화에서조차 큰 울림으로 다가오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이미 몇 차례 함께 예능을 해온 나영석 PD와 이서진은 한 마디로 환상의 커플이다. 나영석 PD는 끊임없이 이서진을 골탕 먹이려는 듯 힘겨운 상황으로 몰아가고, 이서진은 여기에 만만찮게 저항하는 모습을 통해 <삼시세끼>라는 어찌 보면 느슨해질 수 있는 농촌 버라이어티에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실로 이서진이 아니라면 가능하지 않았을 프로젝트다. 그걸 또 <꽃보다 할배> 때부터 기막히게 포착해 프로그램으로 만들어내는 나영석 PD가 아니었다면 더더욱.

 

나영석 PD의 <삼시세끼>가 흥미로운 몇 가지 이유

 

이명한 CP에게 대놓고 물었다. 이번 나영석 PD<삼시세끼>는 어떨 것 같냐고. 그러자 답변 대신 이런 말이 돌아왔다. “너무 잘 하는 팀이라 제가 관여할 일이 별로 없어요. 저는 기획단계에 조금 참여했을 뿐이죠.” <12> 시절부터 나영석 PD의 사수 역할을 해온 이명한 CP. 그도 이제는 나영석 PD의 감과 능력을 100% 신뢰하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그러면서 <꽃보다> 시리즈와는 다른 <삼시세끼>의 몇 가지 특징을 얘기했다. 그 첫 번째는 도시 문명과의 격리였다. 필자는 거기서 고립이라는 단어를 떠올렸다. 사실 격리든 고립이든 그렇게 긍정적으로 들리는 단어는 아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복잡하게 연결된 네트워크 세상에서 이 단어를 떠올리면 의외로 긍정적인 뉘앙스가 묻어난다.

 

매분 매초마다 울려대는 스마트폰에 어디든 즉각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최첨단의 네트워크 속에서 우리는 좀체 혼자만의 시간을 갖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니 이런 네트워크를 잠시 끊어버리고 좀 더 본질적인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으로서의 격리나 고립은 결코 부정적인 의미가 아닐 것이다. 특히 회사에 가족에 수많은 관계 속에 내몰려진 도시인이라면 더더욱. 격리나 고립은 여기서는 하나의 로망이 된다.

 

두 번째 <삼시세끼>의 특징은 그것이 오랜만에 나영석 PD가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이명한 CP“<꽃보다> 시리즈의 기획은 사실 굉장히 크다고 말했다. 인물 섭외에서부터 해외의 장소 선정까지 꽤 거대한 기획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비해 <삼시세끼>는 훨씬 가볍고 그만큼 소박한 프로그램으로 확연한 차별점을 보인다.

 

하지만 바로 그 소박한 지점이 오히려 이 프로그램만의 재미요소를 만들어낼 것으로 보인다.넓은 세상 밖으로 한없이 펼쳐져 나가던 카메라는 이제 소소하고 소박해 보이는 시골의 작은 일들 속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지 않을까. 그렇게 생활과 일상 속으로 밀착한 이야기들이 주는 새로운 묘미. 그것이 <삼시세끼>의 새로운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사실 농사를 짓는 예능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청춘불패> 같은 프로그램이 아이돌들을 시골에 정착시켜 농사를 짓게 하고 그걸 카메라에 담아냈다. 하지만 그 프로그램들은 어떤 한계를 보이는 지점이 있었다. 그것은 농촌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다. <좋은 세상 만들기><청춘불패>가 담아내는 시선은 도시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농촌의 신기함이나 힘겨움에 대한 공감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이명한 CP<삼시세끼>의 농촌을 바라보는 시선이 이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즉 지금의 농촌이란 단순히 농사를 짓는 곳을 의미하지 않고 도시인들에게는 살고 싶은 곳의 로망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즉 농사를 짓는 것은 맞지만 결코 농사라는 노동에만 집착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그 농촌의 삶이 지금의 현대인들에게 주는 그 단순하고 소박하며 편안하게까지 다가오는 그 판타지. 이것이 <삼시세끼>의 세 번째 특징이 될 것이다.

 

사실 사는 건 복잡해 보여도 결국 삼시세끼먹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 간단한 것을 어쩌면 잊고 살아가는 것일지도. 이명한 CP와 헤어지고 나오는 길에 한참 마지막 작업으로 정신없을 나영석 PD에게 못 참고 전화를 걸었다. “<삼시세끼>, 도대체 무슨 프로그램이죠?” 섣부른 궁금증으로 던진 질문에 나영석 PD에게 결국 돌아온 답변은 직접 확인하시라는 것이었다. 하긴 설명이 어떻게 그 격리와 소박함과 단순함의 로망을 모두 말해줄 수 있으랴. 직접 느껴볼 밖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