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해밍턴
-
'진짜사나이', 군대박사 심재빈에 빠져든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5. 28. 09:34
군대박사 심재빈 샘 해밍턴과 류수영 사이 에 초반부터 관심을 집중시킨 건 구멍 병사 샘 해밍턴의 활약 덕분이었다. 네 자로 된 이름 때문에 관등성명을 대는 것조차 버벅대는 샘 해밍턴의 진땀은 군대가 가진 계급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큰 웃음을 주었다. 체력적으로도 떨어지고, 그 문화 자체가 낯설어 적응이 안되는 그 모습은 마치 코미디의 한 대목을 보는 것처럼 웃음을 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외국인으로서 우리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그 노력이 감동적이기도 했다. 의 신의 한수는 외국인이라는 특별한 시각을 제공하는 인물, 샘 해밍턴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샘 해밍턴에만 집중되다 보면 자칫 군 생활이 오롯이 짜증과 긴장, 실수의 연발로만 보여질 수도 있었다. 실제로 초반 가 그린 군 생활의 모습은 즐거움보..
-
군대에서 정글까지, 먹방은 왜 대세가 됐을까옛글들/명랑TV 2013. 4. 30. 09:48
먹방의 전설? 풍요의 시대, 배고픔의 향수 2회에 등장한 군대리아(패티와 잼을 함께 넣어 먹는 군대식 햄버거)를 먹으며 샘 해밍턴은 “정말 맛있다”고 말했다. 호주에 가면 그 몇 배는 큰 패티와 베이컨, 야채를 쌓아올린 수제 햄버거가 동네마다 널렸다. 그런데도 샘 해밍턴은 이 이상한 조합의 햄버거를 허겁지겁 맛있게 먹었다. 군대라는 공간이 만들어낸 새로운 식욕, 새로운 먹방의 탄생. 군대를 다녀온 이들에게 향수로만 존재하던 군대리아는 이제 일반인들의 뇌리에 남겨진 먹방의 전설에 오르게 되었다. 3회에서는 자판기로 뽑아먹는 얼음 띄운 ‘바나나라떼’에 대한 칭찬이 이어졌다. 서경석과 샘 해밍턴은 그 중독성 있는 맛에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한편 류수영은 야전 훈련 이후 지급된 전투식량에 푹 빠진 모습을 보..
-
'일밤', 어떻게 강호동, 유재석 없이도 부활했을까옛글들/명랑TV 2013. 4. 26. 09:05
스타 MC 없는 , 그 부활의 비결은? 은 그간 스타 MC를 거의 쓰지 않았다. 물론 그것이 자의에 의한 것인지 타의에 의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이른바 리얼 버라이어티가 대세였던 몇 년 전, 강호동이 에, 유재석이 에 이어 에 연달아 출연했을 때까지, 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여기에 의 간판스타였던 이경규가 SBS 을 거쳐 KBS 으로 합류하면서 은 더 어려워졌다. 이 할 수 있었던 것은 스타PD인 김영희 PD를 내세워 같은 새로운 예능을 실험하는 일이었다. 스타급 MC가 프로그램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리얼 버라이어티 시절에 유재석, 강호동, 이경규 그 누구도 잡지 못한 은 끝없이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트렌드도 서서히 바뀌었다. 먼저 바뀐 트렌드는 연예인 프리미엄이 ..
-
'진짜 사나이' 샘 해밍턴, 웃기지만 감동인 이유옛글들/명랑TV 2013. 4. 23. 08:48
샘 해밍턴, 구멍병사? 인간적인 것 군대생활하면 꼭 있는 샘 해밍턴 같은 친구를 이른바 ‘고문관’이라 부른다. 는 이를 구멍병사라 에둘러 표현했다. 첫 회에서 샘 해밍턴은 네 자 이름에다 그 문화를 이해하지 못해 관등성명을 대는 데 애를 먹었다. ‘다’, ‘까’로 끝내야 하는 어투에 적응하지 못해 ‘요’를 쓰기 일쑤였고, 관등성명 뒤에 ‘입니다’를 붙여 독사조교에게 지적받기도 했다. 훈련소에 들어가기 전까지만 해도 마치 ‘람보’ 같은 판타지로만 생각했던 샘 해밍턴에게 군대 체험의 실제는 악몽이나 다름없었을 게다. 여기저기서 군대 이야기를 들었거나 이미 다녀왔던 다른 멤버들과 비교해 샘 해밍턴은 아무런 사전지식이 없는데다, 지극히 한국적이라 할만한(어쩌면 가장) 군대문화를 외국인으로서 이해하고 체득한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