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의 FM'은 어떻게 수애의 껍질을 깼나

연기자의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연기력? 외모? 글쎄. 그럴 수도 있겠지만 많은 이들이 목소리를 꼽는다. 신뢰성 있는 목소리는 연기와 외모에 어떤 아우라를 갖게 해준다. 수애는 그런 배우다. 그녀의 착 가라앉은 안정된 목소리는 믿음을 주며 심지어 대단히 분위기 있는 여성의 아우라를 덧씌워준다. 그런 목소리로 커다란 눈에 그렁그렁 눈물이 맺히면 웬만한 사내들은 그걸로 넉다운이다. 수애는 목소리를 타고난 여배우다.

그런 그녀는 왜 자신의 소리를 부정하는 영화를 찍었을까. '심야의 FM'을 말하는 것이다. 이 영화는 스릴러를 장르로 삼고 있지만 소리로 시작해 소리로 끝나는 소리에 관한 영화다. 수애는 '심야의 FM'을 두 시간 동안 진행하는 DJ다. 이렇게 분위기 있는 목소리가 고요한 심야에 울려 퍼진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 수애의 신뢰가 가는 목소리는 앵커였다가 DJ가 된 선영이라는 캐릭터의 이력을 단박에 수긍하게 해준다. 게다가 그녀는 방송 멘트의 영역을 넘어서더라도 할 말은 하는 여자다.

문제는 바로 이 마성의 목소리에 지나치게 빠져버려 현실감각조차 잃어버린 한동수라는 연쇄살인범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그녀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지나치게 현실로서 추종하며 그저 말일 뿐인 진술들을 실행으로까지 옮기는 연쇄살인범. 한동수를 라디오라는 미디어에 열광하는 대중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면, 이것은 미디어, 특히 라디오가 가진 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만약 이것이 없었다면 히틀러가 대중들을 움직일 수 없었을 것이라고 그 강력한 힘을 일찍이 보여주었던 라디오. 라디오로 대변되는 미디어의 힘.

하지만 연쇄살인범이 선영의 삶 속으로 뛰어 들어오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그녀의 차분하게 가라앉은 신뢰감 가는 목소리는 차츰 떨리고 흔들리고 결국에는 방송에서는 절대로 할 수 없는 욕설까지 튀어나오게 된다. 그러면서 선영은 자신이 그동안 그토록 떠들어왔던 수많은 말들이 의심스러워진다. 이미 발화되는 순간 기억 속에서조차 지워버린 자신의 그 말들이 듣는 이들에게는 전혀 다른 힘으로 작용해왔다는 것. 그녀의 신뢰감 있는 목소리는 또 얼마나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어댔을까.

이렇게 수많은 말을 쏟아내며 그것으로 자신의 존재를 세우며 살아온 그녀가 이제 자신의 딸을 살리기 위해 연쇄살인범의 말을 하나하나 행동으로 옮겨야 된다는 것은 상황의 역전이다. 수 년 간 쏟아낸 말들의 보복을 두 시간 동안 압축해서 받아내며 그녀가 구해야할 존재가 아이러니하게도 말을 하지 못하는 딸이라는 것은 이 영화의 메시지를 분명히 해준다. 우리가 던지는 수많은 말들, 때론 감미로운 목소리로 때론 강압적임 목소리로 다른 사람을 움직인 그 말은 과연 얼마나 진심이었을까. 과연 그것은 진정한 소통에 이르렀을까. 라디오 같은 미디어는 과연 그 말의 진심을 제대로 전달하고 있는 것일까.

이 영화 속 모든 이야기는 다시 수애라는 목소리를 타고 난 여배우의 이야기로 돌아온다. 늘 단아하고 분위기 있는 그 목소리는 듣는 이에게 확실한 신뢰감을 주었지만, 그것이 과연 그녀가 가진 전부일까. 혹시 그녀의 더 많은 모습들은 목소리로 덮여져 보여지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 어쩌면 수애는 이 영화 속 선영이 겪은 껍질을 깨는 고통을 연기하면서 자신의 장점이자 한계로 지목된 그 목소리를 깨려 한 것은 아니었을까. 모든 사건이 종결되고 앰블런스를 타고 가면서 그녀가 "저기요 라디오 좀 꺼주세요"라고 말할 때, 혹시 그것은 더 이상 늘 단아함과 분위기 있는 목소리로 규정되던 자신의 이미지를 꺼달라고 말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또 "오늘이 여러분과의 마지막 밤이네요"라고 말할 때도.

"영웅은 고통 속에서 성장한다." '택시 드라이버'의 한 대목이면서 이 영화 속에 반복되어 등장하는 이 대사는 그래서 수애를 두고 하는 말처럼 들린다. '심야의 FM', 그 두 시간은 온전히 수애가 연기자로서 한 껍질을 벗어내는 시간이 되었다.

‘무한도전’의 형식실험으로 얻은 긴박감, 의미, 재미

‘무한도전’과 스릴러가 만나면 어떤 형태가 될까.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이 그 형식으로 가져온 것은 최근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주목되고 있는 스릴러라는 장르다. 그것은 마치 인기 미국드라마 ‘24’나 ‘추격자’같은 쫓고 쫓기는 긴박한 스릴러를 연상시킨다. 아침에 경주에서 일어난 ‘무한도전’ 출연진들이 영문도 모를 게임에 빠져들고 하루 동안 쉬지 않고 뛰어다니며 문제를 풀어나가는 형식이 그렇다.

스릴러라는 장르적 긴박감을 부여하면서 ‘무한도전’이 얻은 가장 큰 것은 속도감이다. ‘24’같은 리얼타임 액션을 보고 있다보면 그네들이 흘리는 땀과 심장박동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것처럼, 비가 오는 상황 속에서 달리고 달리는 ‘무한도전’ 출연진들의 모습 또한 시청자들에게 그 긴박감을 전해주기에 모자라지 않았다. 최고의 자리에서 느슨해질 수도 있는 고삐를 바로 이 스릴러라는 형식을 끌어옴으로써 바짝 조일 수 있었다.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또한 퀴즈 프로그램의 진화된 형태로도 읽을 수 있다. 퀴즈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대개 떠오르는 것은 스튜디오에 출연진들이 모여 문제를 맞추는 폐쇄적인 형태. 하지만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그 퀴즈 형식이 마치 게임의 한 부분을 보는 것 같은 현장성을 보여주었다. 알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던져지는 문제를 풀고 그 문제를 풀기 위해 그 현장으로 달려가는 모습은, 문제집 속에 박제화된 퀴즈를 살아있는 형식으로 바꿔주는 힘을 발휘한다.

여기서 퀴즈의 내용이 또한 중요하다. 기존 퀴즈 프로그램들이 내보냈던 그저 문제 맞추기를 위한 공감 없는 문제는 왜 그 문제를 풀어야 하나 하는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즉 그것은 퀴즈의 과정(문제를 푸는 의미)보다는 결과(점수)에만 치중하는 퀴즈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그 의미를 부각시킨다. 잘 알고 있다 생각했지만 사실은 잘 모르는 우리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경주의 보물들을 알아간다는 취지는 퀴즈의 과정 자체를 그저 몸 개그를 위한 것이 아닌 의미 있는 작업으로 만들어낸다.

또한 문제를 풀어 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지역주민들과의 교류는 그 의미를 더욱 확장시킨다. 문제를 잘 풀어내는 일부 엘리트 지식인들만의 경연장으로서만 기능했던 퀴즈 프로그램은 이런 형태와 만나면 보통사람들의 지식에 대한 진짜 호기심을 끄집어낸다. 조금 어리숙하고 배운 건 적어도 알고 싶은 욕구는 그 배움의 많고 적음을 떠나 누구에게나 있기 마련이 아닌가. 이 부분은 분명 작금의 달라진 지식사회 속에서 누구나 참여시킬 수 있는 형태로서의 새로운 퀴즈 형식을 예감하게 만든다.

이러한 형식은 또한 여행 프로그램의 새로운 접근방식으로도 볼 수 있다. 예능과 여행의 만남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1박2일’이 야생에 대한 도전이라면,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같은 지식여행에 대한 갈증이다. 답답한 일상탈출과 함께, 체험이 가져다주는 살아있는 지식의 경험은 바로 다름 아닌 여행 속에서 우리가 흔히 추구하던 것이기 때문이다.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따라서 예능에 스릴러, 퀴즈, 그리고 여행 형식을 접목시키는 실험을 통해, 프로그램의 긴박감(스릴러의 속도감)과, 재미(퀴즈형식의 호기심과 의미), 그리고 실제적인 지식(여행)을 전하는데 성공적이었다. 이것은 TV 프로그램으로서 과감한 형식 실험이면서, 예능의 최강자로서 그만한 힘을 가진 ‘무한도전’만이 가능한 도전임이 분명하다. ‘무한도전-경주보물찾기’편은 그 힘이, 청와대 같은 높은 곳으로 가는 것보다 저 지역사회에서 소외된 보물들 속으로 내려가는 것에서 더욱 빛난다는 걸 보여준 시간이 아니었을까.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