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루 밑 아리에티'에는 거대한 스케일이 없다. 이야기의 배경은 고작 한 시골의 별장 같은 저택의 반경을 넘지 않고, 주요 등장인물도 아리에티 가족 3명, 이 저택에 요양온 쇼우와 할머니, 가정부 이렇게 3명, 그리고 아리에티와 같은 소인족으로 외부에서 들어온 사피라까지 모두 합쳐봐야 7명 정도다. 이야기도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처럼 다이내믹하지 않다. 요양 차 시골에 온 소년이 소인인 아리에티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이 전부. 어찌보면 심심할 정도로 단순한 구조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이 지극히 작고 사소해보이는 애니메이션이 우리의 가슴을 이토록 설레고 울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은 말이다.
3D의 화려한 기술이 점점 일반화되어가는 시대에, '마루 밑 아리에티'는 완전히 정반대에 서 있는 듯한 작품이다. 자극적인 영상과 스토리에 익숙해진 눈과 귀가 과연 이 잔잔한 클래식 같은 애니메이션에 반응을 할 것인가 의구심이 들 정도. 하지만 막상 작품이 시작되고 나면 단 몇 분만에 이 기막히게 마음을 건드리는 소소함에 빠져들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것은 스토리가 그렇고 연출이 그렇듯, 작고 소소한 세계에 던지는 경외적인 시선이 주는 따뜻함 때문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설정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면, '마루 밑 아리에티'는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이야기다. 그러니 그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앨리스는 인간세상에서 이상한 나라로 떨어져 인간의 눈으로 그 세상을 바라본다. 하지만 우리의 주인공 아리에티는 소인이다. 즉 아리에티의 낮은 시선으로 보여지는 작품의 세세한 디테일을 따라가면서 관객은 어느새 아리에티 입장에서 인간을 바라보게 된다.
이 작품은 소소해도 바로 이 아리에티라는 소인의 시선을 취함으로써 그 소소함을 넘어선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밟고 다니는 정원은 소인들에게는 까마귀의 공격을 받고 너구리가 지나다니는 모험의 세계다. 게다가 인간들의 물건을 '빌려쓰는' 이들이 인간세상에서 그 물건을 가져가기 위해 벌이는 일련의 행동들도 모두 모험이 된다. 재미있는 것은 이 모험의 목적이 우리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각설탕 한 조각 얻기' 같은 소소함이라는 점이다. 아리에티의 세계에는 시침판 하나에도 즐거워지는 통쾌함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소인의 시선을 끌어넣은 궁극적인 이유는 거기 인간 쇼우와의 소통을 위한 것이다. 쇼우는 심장병을 앓고 있으며 그래서 요양차 이 저택에 내려왔다는 점에서 이 만화 같은(?) 이야기에 어떤 근거를 제공한다. 어쩌면 이 모든 이야기는 쇼우의 꿈 혹은 상상일 지도 모른다는 것. 늘 아팠기 때문에 누군가 소통할 수 없었던 아이는 자연 속으로 들어와 거기 작은 존재들과 대화를 나눈다. 어쩌면 아리에티 같은 소인이란 존재는 자연의 또다른 말일 지도 모른다.
소인들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인간의 해석, 즉 그들이 인간세상의 물건을 '훔치는 자'라는 것과 '빌려쓰는 자'라는 것은 이 작은 이야기의 핵심적인 메시지다. 그런 점에서 쇼우가 아리에티에게 건네는 각설탕 한 조각과 아리에티가 쇼우에게 건네는 빨래집게 같은 선물의 교환에서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은 이루어진다. 이 낮은 시선과 눈을 맞추는 행동이 말해주는 의미는 작아 보이지만 결코 작지 않다. 그것은 우리 인간 역시 거대한 지구 위의 '빌려쓰는 자'임을 에둘러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거대하고 화려한 이야기들이 갖는 자극들 속에 열광하면서 어쩌면 우리는 가슴 속의 작은 울림이 주는 감동을 잊고 사는 지도 모른다. 아리에티라는 소인을 바라보며 쇼우가 "너는 이미 내 심장의 일부분"이라고 말할 때, 우리의 가슴 속으로 이 작은 아리에티가 들어옴을 느끼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3D의 화려한 기술이 점점 일반화되어가는 시대에, '마루 밑 아리에티'는 완전히 정반대에 서 있는 듯한 작품이다. 자극적인 영상과 스토리에 익숙해진 눈과 귀가 과연 이 잔잔한 클래식 같은 애니메이션에 반응을 할 것인가 의구심이 들 정도. 하지만 막상 작품이 시작되고 나면 단 몇 분만에 이 기막히게 마음을 건드리는 소소함에 빠져들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것은 스토리가 그렇고 연출이 그렇듯, 작고 소소한 세계에 던지는 경외적인 시선이 주는 따뜻함 때문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설정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면, '마루 밑 아리에티'는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이야기다. 그러니 그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앨리스는 인간세상에서 이상한 나라로 떨어져 인간의 눈으로 그 세상을 바라본다. 하지만 우리의 주인공 아리에티는 소인이다. 즉 아리에티의 낮은 시선으로 보여지는 작품의 세세한 디테일을 따라가면서 관객은 어느새 아리에티 입장에서 인간을 바라보게 된다.
이 작품은 소소해도 바로 이 아리에티라는 소인의 시선을 취함으로써 그 소소함을 넘어선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밟고 다니는 정원은 소인들에게는 까마귀의 공격을 받고 너구리가 지나다니는 모험의 세계다. 게다가 인간들의 물건을 '빌려쓰는' 이들이 인간세상에서 그 물건을 가져가기 위해 벌이는 일련의 행동들도 모두 모험이 된다. 재미있는 것은 이 모험의 목적이 우리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각설탕 한 조각 얻기' 같은 소소함이라는 점이다. 아리에티의 세계에는 시침판 하나에도 즐거워지는 통쾌함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소인의 시선을 끌어넣은 궁극적인 이유는 거기 인간 쇼우와의 소통을 위한 것이다. 쇼우는 심장병을 앓고 있으며 그래서 요양차 이 저택에 내려왔다는 점에서 이 만화 같은(?) 이야기에 어떤 근거를 제공한다. 어쩌면 이 모든 이야기는 쇼우의 꿈 혹은 상상일 지도 모른다는 것. 늘 아팠기 때문에 누군가 소통할 수 없었던 아이는 자연 속으로 들어와 거기 작은 존재들과 대화를 나눈다. 어쩌면 아리에티 같은 소인이란 존재는 자연의 또다른 말일 지도 모른다.
소인들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인간의 해석, 즉 그들이 인간세상의 물건을 '훔치는 자'라는 것과 '빌려쓰는 자'라는 것은 이 작은 이야기의 핵심적인 메시지다. 그런 점에서 쇼우가 아리에티에게 건네는 각설탕 한 조각과 아리에티가 쇼우에게 건네는 빨래집게 같은 선물의 교환에서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은 이루어진다. 이 낮은 시선과 눈을 맞추는 행동이 말해주는 의미는 작아 보이지만 결코 작지 않다. 그것은 우리 인간 역시 거대한 지구 위의 '빌려쓰는 자'임을 에둘러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거대하고 화려한 이야기들이 갖는 자극들 속에 열광하면서 어쩌면 우리는 가슴 속의 작은 울림이 주는 감동을 잊고 사는 지도 모른다. 아리에티라는 소인을 바라보며 쇼우가 "너는 이미 내 심장의 일부분"이라고 말할 때, 우리의 가슴 속으로 이 작은 아리에티가 들어옴을 느끼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가 방가', 욕조차 뭉클해지는 영화 (2) | 2010.10.01 |
---|---|
'무적자', 왜 무국적자가 됐을까 (0) | 2010.09.24 |
액션에 눈물이? '아저씨'가 건드린 시대감성 (1) | 2010.08.09 |
‘인셉션’, 이 복잡한 영화에 끌리는 까닭 (0) | 2010.08.07 |
‘오션스’의 흥행, 빵꾸똥꾸의 힘 (3) | 201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