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백’이 이은 ‘비밀의 숲’ 이후 달라진 장르물

 

16부가 마치 한 편의 영화 같다. tvN 주말드라마 <자백>의 종영에 이르러 돌아보면 이 드라마의 밀도와 완성도에 새삼 놀라게 된다. 곁가지 사건들처럼 여겨졌던 것들이 하나하나 연결고리를 드러내고, 그 속에서 무관해 보였던 인물들이 과거사로 얽혀 있는 게 조금씩 드러난다. 그리고 결국 이 모든 사건이 어느 요정에서 벌어졌던 국방비리로 인해 비롯된 총성으로 귀결된다. 거대한 한 게이트를 열기 위해 조금씩 사건을 파헤치고 어렵고 더뎌도 진실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 <자백>은 그 과정을 놀랍게도 한 호흡으로 담아냈다.

 

보통의 장르물의 경우 여러 사건들이 등장하기 마련이다. 영화라면 한 사건을 다뤄도 되겠지만, 드라마는 적어도 16부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에 한 사건으로 그걸 채우는 건 실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러 사건들이 등장했을 때 생기는 문제는 이야기가 몇 회를 기점으로 뚝뚝 끊긴다는 점이다. 물론 주인공이 확실한 캐릭터를 세우고 그렇게 끊어진 이야기를 이어붙이는 역할을 해준다. 하지만 그래도 이렇게 병렬적인 사건의 나열은 작품의 밀도를 떨어뜨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자백>은 하나의 사건과 그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벌어졌던 또 다른 사건들을 연결함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 블랙베어라는 차세대 헬기 도입에 대해 그 문제를 담은 문건을 작성한 차승후 중령이 대통령의 조카인 박시강(김영훈) 의원에게 우발적으로 총에 맞아 죽게 되고, 그 사건을 덮기 위해 그 자리에 있었던 추명근(문성근)과 오택진(송영창) 회장이 그 자리에 있던 최필수(최광일)에게 아들 최도현(준호)의 심장이식 수술을 대가로 살인범이 되도록 회유했던 것. 그 상황을 목격한 김선희는 이를 빌미로 추명근에게 돈을 요구하다 청부살해 당하고 당시 사건을 추적하던 진여사(남기애)의 아들 노선후 검사와 하유리(신현빈)의 아버지 또한 살해당한다.

 

즉 <자백>은 거대한 게이트와 그것을 감추기 위해 벌어진 또 다른 사건들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 모든 이야기들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었다. 그래서 초반 드라마는 저들이 감추기 위해 저지른 ‘연쇄살인’처럼 위장된 청부살인을 추적하는 과정으로 시작하지만, 드라마가 중반을 넘어가면서 이 사건들이 단순한 살인이 아니라 무언가 더 큰 사건으로 이어진다는 걸 드러낸다. 사건 해결에 집중하던 시청자들이 ‘진상 규명’에 더 관심을 갖게 되고 끝까지 갈증을 느끼며 드라마를 들여다보게 만든 힘이 여기서 생겨났다.

 

법정물의 묘미와 사건을 추적해가는 과정을 담는 추리와 스릴러의 맛에 ‘비선실세’라는 그 단어만 들어도 실감하게 되는 현실인식과 공감을 넣어 <자백>은 재미와 의미를 모두 갖춘 완성도 높은 드라마를 선사했다. 꽤 단단한 연기를 보여준 이준호, 유재명, 신현빈, 남기애 같은 주인공들은 물론이고 역시 명불허전의 문성근, 송영창 게다가 류경수, 윤경호 같은 악역들까지 빈틈없는 배우들의 호연이 있었고, 이제는 믿고 보는 김철규 PD의 촘촘하고 섬세한 연출에 신예라고는 믿기지 않는 임희철 작가의 놀라운 대본이 삼박자를 이루며 <자백>이라는 명작을 탄생케 했다.

 

넓게 보면 <비밀의 숲> 이후 장르물들은 변화하고 있다. 과거처럼 캐릭터를 중심으로 여러 사건을 풀어나가는 장르물에서, 이제는 하나의 사건을 다각도로 풀어나가는 밀도 높은 장르물로 바뀌고 있는 것. <자백>은 이런 완성도 높은 시도가 충분히 가능하고, 또 그것이 복잡해 보여도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걸 증명했다. 앞으로도 이런 완성도, 밀도를 가진 장르물들이 더 많아지길 기대하게 만든 작품이 아닐 수 없다.(사진:tvN)

"잘 사는 게 복수여".. '변산' 이준익 감독이 던진 메시지

이준익 감독의 신작 영화 <변산>은 ‘청춘 3부작’으로 불린다. 최근 이준익 감독이 만든 <동주>, <박열>에 이은 청춘의 초상을 담은 작품이란 의미에서다. 실로 <변산>에서 ‘심뻑’으로 불리는 래퍼 학수(박정민)의 낮게 읊조리다 점점 고조되고 나중에는 폭발하는 랩을 듣다보면 그 청춘의 단상이 녹아난 가사에 ‘마음으로부터 뻑이 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저 자신의 일상을 일기를 쓰듯 꾹꾹 눌러써서 만들어낸 가사지만, 그 안에는 이들이 겪는 상처와 그럼에도 넘어지기보다는 한바탕 욕이라도 해대는 그 마음의 절절함 같은 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 작품을 두고 ‘청춘 3부작’이라고 지칭하는 말에 이의가 있을 리 없다. 하지만 <변산>은 이준익 감독 영화 중 또 다른 특징으로 보이는 ‘음악’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음악 연작’이라 불러도 좋을 법하다. <라디오스타>가 노브레인 이성우를 출연시켜 인디 록 장르를 껴안았고, <즐거운 인생>이 락밴드 활화산으로 다시금 밴드 활동을 하는 아저씨들을 통해 밴드 음악을 담으려 했다면, <님은 먼곳에>는 베트남 전쟁에 남편을 찾아 떠난 순이가 위문공연단의 보컬이 되어 노래하는 장면을 통해 신중현의 이 명곡을 담았다. <변산>은 청춘의 이야기를 힙합 랩 가사에 담고 있다. 

한때 주먹으로 유명했고 도박에 빠져 인생을 탕진해버린 아버지 때문에 평생 고생만 하다 돌아가신 어머니. 학수가 변산인 고향을 등지고 자신은 ‘서울사람’이라고 고집하며 살아가는 데는 그런 아픈 과거사가 있다. 하지만 <쇼미더머니>에 6년 간이나 지원했지만 탈락의 고배를 마신 학수는 아버지가 쓰러졌다는 전화 한 통을 받고 고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고향은 여전히 떠나고만 싶은 지긋지긋한 곳이지만 고교시절부터 그를 짝사랑해왔던 선미(김고은)와, 그가 좋아했던 미경(신현빈) 그리고 어렸을 때는 자신이 그토록 괴롭혔지만 지금은 잘나가는 조폭이 된 용대(고준)를 만나면서 그는 과거와 다시 마주하게 된다. 

고향 마을이 주는 느낌은 그가 고교시절 끄적여 두었던 ‘폐항’이라는 시의 두 줄 싯구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내 고향은 폐항. 내 고향은 가난해서 보여줄 건 노을 밖에 없네.’ 흑역사로 지워버리고픈 고향은 그래서 어쩌면 청춘들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그대로 닮아있다. 가난하고 힘들어도 허세를 스웨그 삼아 살아가는 청춘들. 

그런데 영화는 그 청춘들과 폐항으로 치부되는 고향을 다독여준다. ‘보여줄 건 노을 밖에 없다’고 하지만, 그 노을이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이야기한다. 어머니의 무덤가에 앉아 지는 노을을 바라보던 학수를 어느 날 귀갓길에 보게 된 선미는 그에게 빠져들고 노을에 빠져든다. 그래서 ‘노을마니아’가 되었고 그건 선미에게 또 다른 삶의 희망이 되어준다. 

처음 고향에 내려왔던 학수가 본 친구들은 그리 멋지게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그들과 잘 어우러지지 않던 학수는 점점 그들과 가까워지고 힙합을 하고 있어 쓰지 않으려던 사투리를 조금씩 쓰기 시작한다. 영화는 처음 서울에서 만났던 촌스러워 보였던 고향 친구들이 차츰 저마다 정이 넘치는 인물들이라는 걸 보여준다. 영화 후반부에 가면 그 친구들 대부분이 그 어떤 청춘들보다 빛나는 존재라는 걸 느끼게 된다. 하다못해 조폭이 된 친구마저.

“값나가게 살진 못해도 후지게 살지는 말어.” 아마도 선미가 하는 이 말이 힘겨운 청춘들에게 또래 친구들이 던지는 메시지라면, 아버지가 학수에게 하는 “잘 사는 게 복수여”라는 말은 기성세대가 청춘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때론 너무나 화가 나 스스로를 파괴하는 삶을 선택하기도 하는 청춘들에게 진짜 복수는 ‘잘 사는 것’이라 말해주는 것. 

무엇보다 이토록 진짜 래퍼처럼 랩을 하기 위해 노력했을 배우 박정민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변산>은 충분한 값어치가 있다. 시작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그의 랩을 듣다보면 웃다가 울다가 뭉클해지게 된다. 또 구성진 사투리로 따뜻함을 선사하며 때론 빵빵 터트리는 김고은의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이준익 감독의 색깔이 늘 그렇듯이, 영화관을 나올 때면 뜨거워진 가슴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영화다.(사진:영화'변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