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사
-
같은 집밥이건만..달라도 너무나 다른 '수미네'와 '백선생'옛글들/명랑TV 2018. 6. 8. 10:03
‘집밥 백선생’과는 다른 ‘수미네 반찬’이 지향해야할 것들사실 스튜디오의 풍경만 보면 tvN 새 예능프로그램 은 이전에 시즌3까지 방영된 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백종원이 있던 자리에 김수미가 서 있고, 요리무식자들이 서 있던 자리에 최현석, 여경래, 미카엘 같은 스타 요리사들이 서 있다는 차이가 있지만, 그 정경 자체가 다르다고 보기는 어렵다. 결국 이 프로그램은 중심에 선 김수미가 자신이 수십 년 간 쌓아온 요리 노하우를 전수해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의 백종원이 겹쳐지는 건 어쩔 수 없다. 하지만 형식이 비슷하다고 해서 내용도 같을까. 그렇지 않다. 그건 백종원이라는 인물과 김수미라는 인물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백종원이 ‘요리연구가’라고 불린다면 김수미는 이 프로그램에서는 오랜 요리 경험을..
-
'쿡가대표', 이기고도 웃지 않은 최현석의 진심옛글들/명랑TV 2016. 3. 25. 08:31
, 최현석의 승부보다 멋진 예의 JTBC 가 한국시리즈라면 는 국가대항전이다. 물론 한 예능 프로그램의 요리 대결을 갖고 ‘국가대항전’이라고까지 말하는 건 과잉일 것이다. 하지만 는 다름 아닌 스포츠를 요리대결에 접목시키고 있고, 그것도 국가대항전이 갖는 긴장감과 예측불허의 다이내믹한 전개를 재미의 주요 요소로 채택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대결이 들어가기 전 서로의 각오와 전략(?)을 얘기하는 모습은 그래서 의외로 비장하다. 예능 프로그램이라고는 하지만 해설을 하는 김성주, 안정환, 강호동을 빼고 출전(?)하는 요리사들은 웃음기 쏙 뺀 긴장감을 드러낸다. 한일전, 게다가 원정경기(?)라는 특성은 시청자들에게 많은 걸 상기시킨다. 스포츠 경기도 아니고 실제 국가대항전이라고 하기도 뭐하지만 실제 스포츠 경기..
-
성자 샘킴과 대가 이연복, 그들이 사랑받는 까닭옛글들/명랑TV 2015. 7. 15. 08:58
샘킴과 이연복, 요리만큼 빛나는 인성 이문세의 냉장고를 두고 샘킴과 이연복이 자신들의 주특기인 파스타와 탕수육을 만든 건 사상 역대급 대결이 아니었나 싶다. 마늘과 올리브 오일로 만들어 담백한 파스타의 맛을 고스란히 느끼게 해준 샘킴의 알리오 올리오에 이문세는 감탄했다. 또 등심을 칼등으로 다져 부드럽게 만든 후 통째로 튀겨내 고추기름으로 만든 양념에 찍어먹는 탕수육에 이문세는 입안에서 고기가 녹는다는 표현을 썼다. 그 대결을 지켜보던 박정현은 자신의 데뷔년도 빈티지를 가진 샴페인을 냉장고에서 꺼냈다. 특별한 날 오픈하려고 냉장고에 오래도록 두었다는 삼폐인. 그녀는 “오늘이 특별한 날”이라며 샴페인을 오픈했고 급히 준비한 잔에 셰프들이 조금씩 샴페인을 나눠 마셨다. 최고의 요리와 어우러지는 의미 있는 샴..
-
강레오의 발언, 비난 받는 진짜 이유옛글들/명랑TV 2015. 6. 28. 09:00
대중화되는 요리는 과연 나쁜 건가 “요리사가 단순히 재미만을 위해 방송에 출연하면 요리사는 다 저렇게 소금만 뿌리면 웃겨주는 사람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 서양음식을 공부하면 자신이 커갈 수 없다는 걸 알고 자꾸 옆으로 튄다. 분자 요리에 도전하기도 하고” “평범한 김치찌개 같은 요리를 왜 TV로 넋 놓고 봐야 하는지.” 채널예스와 자신이 낸 책에 대한 인터뷰를 하면서 강레오가 한 말들은 최근 쿡방에 열광하는 대중들에게 찬물을 끼얹었다. 그 발언 속에는 요리사가 방송에서 쇼를 하는 것에 대한 날선 비판이 들어 있었고, 쿡방에 나오는 요리사들을 떠올리게 하는 이야기도 들어 있었다. 쿡방을 통해 요리사들의 매력에 푹 빠져있는 대중들로서는 강레오의 의도치 않았다는 디스는 날카로운 칼끝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