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다이스 목장', 제주도를 닮은 드라마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라다이스 목장'(사진출처:SBS)

'파라다이스 목장'이란 드라마의 멜로는 특이하다. 이미 한 번씩 결혼하고 이혼한 남녀들이 제주도 목장을 배경으로 다시 만난다. 이혼했던 이다지(이연희)와 한동주(최강창민)는 한 집에서 살지만 부부도 아니고 연인도 아니다. 리조트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동의서를 얻기 위해 한동주가 이다지의 집에 들어온 것. 그 뿐이다. 표면적인 이유는 그렇지만 진짜 그뿐일까. 이 두 사람은 여전히 부부처럼 툭탁거리고 싸우면서도 자꾸 과거 좋았던 시절을 떠올리고, 서로를 도와주려 애쓴다. 부부도 아니고 연인도 아니지만 때론 부부 같고 때론 연인 같다.

이런 두 사람 사이에 서윤호(주상욱)라는 엄친아가 끼어든다. 성공한 리조트 투자자인 그는 이다지의 풋풋함에 빠져든다. 이다지 역시 서윤호를 좋아하게 되고, 한동주는 마음 한 구석엔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이다지의 사랑을 도와주려 한다. 서윤호는 이다지와 한동주가 함께 살고 있는 걸 알면서도 이해하려 하고, 이다지가 이미 이혼한 사실을 알게 되고도 그녀를 사랑한다. 그런데 이 서윤호 역시 결혼을 했다가 이혼을 한(것이나 다름없는) 남자다. 그런 그를 이다지는 역시 사랑한다.

이런 사랑 방정식은 기존 멜로드라마에서는 발견하기 힘든 것들이다. '파라다이스 목장'의 남녀들은 거의 모든 과거의 사실들을 다 알고 있지만, 그리고 그 과거가 여전히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현재의 사랑을 포기하거나 연적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지도 않는다. 그저 늘 웃고 있고, 진심으로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행복을 비는 마음으로 사랑한다. 어찌 보면 쿨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각자 혼자 남게 된 상황에서 그들 역시 노심초사 마음을 졸이기는 마찬가지다.

멜로드라마가 사랑하는 남녀와 그들 사이에 놓여진 장벽을 구조로 세워진다면, '파라다이스 목장'은 그 장벽이 헐겁다. 서로가 서로를 인간적으로 신뢰하고 있기 때문이다. 악역으로 서윤호의 아내가 잠깐 등장하지만 그것은 잠시간의 긴장감만을 만들 뿐 그 이상으로 진척되지 못한다. 이들 사이에 놓여진 탄탄한 신뢰감 앞에 감히 관계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튕겨져 나간 셈이다.

따라서 어찌 보면 '파라다이스 목장'은 대결구도 없이 흘러가는 달달하기 만한 로맨스 드라마로 보여진다. 이다지가 분명한 태도를 보이지 않고 한동주와 서윤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두 가지 차원의 멜로를 만끽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겉면이다. 이면으로 들어가 보면 이다지는 과거와 현재 사이에서 치열한 갈등을 하고 있다. 과거에 했었던 사랑의 아련함과 아쉬움. 그리고 현재 진행형인 사랑이 주는 설렘과 두려움. 그 사이에서 어느 쪽으로 갈지 몰라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

사실 현실적인 공간에서 이런 멜로는 자칫 설득력을 잃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파라다이스 목장'에서는 이혼과 결혼, 사랑, 동거 이런 것들이 마구 드러난 상태에서도 여전히 풋풋함을 유지하는 멜로가 가능해진다. 어떻게 그럴까. 아마도 그것은 제주도라는 공간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분위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신혼여행의 대표적인 공간이면서, 현실 공간이기도 한 제주도는 우리가 현실에서 구분하던 이 모든 경계들, 예를 들면 결혼과 연애, 사랑과 동거, 이혼과 새로운 만남 같은 것들이 희미해지는 지점이 있다. '파라다이스 목장' 자체가 제주도를 지칭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건, 그 때문일 것이다. '파라다이스 목장', 제주도를 그대로 빼닮아버린 드라마다.

‘인생은 아름다워’, 왜 제주도 펜션일까

김수현 작가의 ‘인생은 아름다워’의 공간은 제주도의 펜션이다. 물론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은 매력적이지만, 제작을 염두에 두고 보면 제주도라는 공간은 난점이 더 많다. 일단 거리가 너무 멀다. 제작진과 출연진이 촬영을 위해 제주도에 모이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고, 모여서 촬영을 하는 것은 더더욱 쉽지 않다. 바람이 많이 불고 기상도 수시로 변해 촬영이 지연되기 일쑤다. 혹 뜻밖의 상황을 맞이해 비행기라도 뜨지 않게 되면 편집이 늦어져 방송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그런데 왜 하필 제주도의 펜션일까.

물론 추정이지만, 아마도 제주도라는 공간이 갖는 의미가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작품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드라마는 결코 쉽지 않은 가족 간의 갈등을 담아내고 있지만, 제목처럼 그 갈등조차 ‘아름답게’ 바라보려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즐거워지는 제주도라는 공간의 아름다움은 배경으로서 중요할 수 있다. 그 속에 어떤 갈등이 있어도 결국 아름답게 안아주는 자연(제주도)은, 힘겨워도 아름답게 보이는 삶을, 미워도 사랑하는 일원으로 품어지는 가족의 모습을, 공간만으로도 충분히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굳이 제주도인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펜션이라는 공간 때문이다. 펜션이라는 공간을 가장 극적으로 그려내는 장소로 제주도만한 장소가 없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제 펜션으로 바뀐다. 왜 하필 펜션일까. 펜션이라는 공간은 김수현 드라마로서는 집의 변형이다. 집이 펜션으로 진화한 데는 의미심장한 구석이 있다. 집은 회사를 상정하면서,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을 분리시킨다. 가족들은 낮에 회사로 나갔다가 저녁에 집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인생은 아름다워’의 불란지 펜션은 다르다. 이 펜션은 일의 공간이면서 동시에 집이기도 하다. 사적 공간과 공적공간은 겹쳐진다.

일과 가정사가 겹쳐지는 이 공간에서 살림은 그 의미를 달리한다. 과거 집과 회사가 분리되었던 시절에, 살림은 엄마의 몫이었지만, 이 펜션이란 공간에서 살림은 그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 아버지, 양병태(김영철)는 펜션 구석구석의 허드렛일을 처리하고, 아들 호섭(이상윤)은 손님들의 식사를 준비하거나, 스쿠버다이빙 같은 여행의 가이드 역할도 하고, 한편으로는 어머니 김민재(김해숙)의 식사를 돕거나 식후 설거지를 한다. 삼촌 양병걸(윤다훈)은 양병태를 도와 집안일에 참견하는데, 농장일이 주업이다. 한편 김민재는 부엌에서 가족들의 밥을 짓지만, 또한 자신의 일인 요리방송을 준비하기도 한다. 따라서 김민재의 부엌은 살림의 공간이면서 사회적인 일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펜션이라는 공간을 중심에 두고 그 안으로 들어와 있는 아버지와, 그 펜션의 부엌이라는 공간에서 밖으로 확장되어가는 어머니의 모습은 극명하게 대비된다. 그만큼 사라져가는 아버지의 권위와 사회적으로 활동을 넓혀가는 어머니의 모습이 그 속에는 담겨있다. 집안 모든 대소사에 끼어들어 말참견을 하는 삼촌 양병걸은 전형적인 아줌마의 모습이다. 집안에 들어와 있는 남자들이 많아서인지, 한참 드라마를 보다보면 '남자들의 수다'가 도드라져 있는 느낌마저 받게 된다. 그만큼 이 드라마의 심정은 어머니인 김민재보다는 아버지인 양병태에 더 집중되어 있다. '엄마가 뿔났다'의 아버지 버전 같은 느낌. 그 아버지가 뿔을 낼지는 모르는 일이지만.

할머니(김용림)의 공간이 펜션 한 편에 따로 지어져 있는 것 역시 독특하다. 게다가 이 할머니는 독립된 텃밭을 일구며 혼자 식사를 챙겨먹는다. 물론 감기라도 걸리면 온 집안 식구들이 총출동될 정도로 가족들의 신경이 집중되어 있지만, 아마도 할머니는 저 스스로 독립적인 삶을 원하시는 것 같다. 이것이 따로 떨어져 옛 전통가옥으로 지어진 할머니의 공간으로 표징되어 있다. 할아버지(최정훈)는 집 없이(?) 밖으로 떠돌다가 그 공간 속으로 들어 오려한다. 할머니의 방에서 가구들이 밖으로 내어지고 그 방 가운데 차양막이 쳐진 채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동거가 시작되는 설정도 의미심장하다. 그 방이라는 공간은 할머니의 조금씩 열려지는 마음(애정이라기보다는 인간애로서)을 그려낸다.

김수현 작가의 작품에는 늘 그렇지만 부엌이란 공간은 이 드라마에서도 가족 간의 소통의 공간이다. 그 속에서 김민재는 책에 들어갈 사진을 위해 요리를 하고(반드시 가족들을 거둬 먹이기 위해 하는 일은 아니다), 그 요리를 가족들과 함께 먹는다. 제주도, 그 제주도의 아름다운 펜션, 그리고 그 펜션의 열려진 공간으로서의 부엌. 그 곳에 아직 함께 하지 않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함께 하지만 불청객 소리를 듣는 딸 양지혜(우희진)의 가족, 자신의 비밀(동성애) 때문에 그 자리가 껄끄러운 양태섭(송창의), 밖에선 잘 나가는 것 같아도 그 나이에 가족이 없는 양병준(김상중), 그 곳에서 늘 구박떼기처럼 당하면서도 특유의 재재거림으로 집안 대소사의 끈끈한 아교풀 역할을 하는 양병걸이 왁자한 삶을 그려간다.

가까이 다가가면 비극적인 면모도 있지만, 멀리서 바라보면 그 아름다운 제주도 펜션(펜션 같은 집은 누구나의 로망이 아닌가!) 속에서 그 삶은 진정 아름답게 보인다. '인생은 아름다워'는 원경에서 잡혀진 불란지 펜션의 아름다운 모습에서 출발해, 그 속의 근경 속에 잡혀진 왁자하고 때론 비극적인 삶들을 그려내다가, 다시 그 아름다운 펜션의 원경으로 돌아간다. 그러고 보면 이 공간은 어쩌면 '인생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고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는 찰리 채플린의 말을 직접 그려낸 것만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