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공감 드라마에 예능 같은 먹방의 조합

 

tvN <혼술남녀>는 과거 <식샤를 합시다> 같은 작품의 연장선으로 읽힌다. <식샤를 합시다>는 나홀로족들의 혼자 먹는 밥을 소재로 청춘남녀들의 일과 사랑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풀어냈던 작품. <혼술남녀>는 이제 혼술즉 혼자 술을 마시는 새로운 풍속도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혼술남녀(사진출처:tvN)'

첫 장면에 진정석(하석진)은 혼자 고깃 집에서 고기를 구워먹으며 술을 마시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추레하게 느껴지는 혼술이 아니라 우아하고 주인공 말대로 퀄리티있는 혼술이라는 걸 강조한다. 괜찮은 음식점에서 최고의 안주를 놓고 클래식 음악을 들어가며 혼자 마시는 술. 진정석은 도대체 함께 회식 같은 장소에서 술을 마시는 걸 이해하지 못한다.

 

그가 말하는 혼자 마시는 술이 좋은 점은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원하는 속도로 원하는 만큼 마실 수 있다는 점이다. 부어라 마셔라 하는 우리네 회식문화를 잘 아는 직장인들이라면 공감 갈 만한 이야기다. 직장 상사의 비위까지 맞춰가며 마시는 술이란 업무의 연장선 같은 느낌마저 주지 않던가.

 

차라리 혼자 마시는 게 즐거울 정도라는 건 사실 우리네 현실의 복잡다기함을 에둘러 말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혼술남녀>는 이처럼 혼술이라는 소재 하나에도 우리네 현실의 공감대를 형성한다. 게다가 진정석이 스카웃된 노량진의 공무원 학원이라는 공간 또한 현실의 세태를 그대로 드러낸다. 취업전선에서 낙오된 이들이 안정적인 직업으로서 공무원이 되기 위해 몰려드는 학원과 그 학원에서 스타가 된 강사. 변두리 학원에서 오래도록 강사로 있다 그 학원이 망해 노량진으로 들어온 박하나(박하선)에게는 자본의 시스템대로 구축된 이 학원의 계급구조가 살풍경한 현실로 다가올 수 있다.

 

<혼술남녀>는 어찌 보면 예능에 가까울 정도로 가볍다는 느낌을 준다. <식샤를 합시다>에서도 그랬지만 <혼술남녀>에서 혼자 맥주를 마시는 진정석의 모습은 그 자체로 하나의 먹방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한없이 가볍게 흘러가는가 하면 그렇지도 않다. 그 안을 들여다보면 마치 블랙코미디를 보는 듯 현실적인 공감대들이 어른거리며 의외의 무게감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예능 같은 먹방과 코미디적 상황들이 계속 이어져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 웃음을 만들어내지만 그 기저에 깔려 있는 것이 현실 공감의 드라마라는 점은 <혼술남녀>가 의외로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이유가 된다. 최근 들어 특히 복잡하고 무거운 드라마를 피하는 대중정서는 오히려 이처럼 가볍게 접근해 공감을 일으키는 드라마에 훨씬 더 끌리기 마련이다.

 

물론 여기에는 혼술같은 예능적인 웃음과 현실공감을 주는 요소만 있는 건 아니다. 누구나 쉽게 빠져드는 남녀의 멜로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진정석과 박하나가 혼자 마시는 술을 공감하며 가까워지고 그러다 함께 술을 마시는 그 멜로적 상황들이 향후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런 다양한 조합들을 두고 보면 <혼술남녀>가 단순한 작품이 아니라는 느낌을 준다. 어찌 보면 지금 시대를 정확히 짚어내고 있는 굉장히 전략적인 기획물이라는 느낌이다. 즐겁게 술 한 잔을 건네는 것처럼 가볍게 접근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디데이>, 김영광 같은 의사 어디 없나요

 

서울 한 복판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드라마 <디데이>가 보여준 서울의 지진 장면은 시청자들의 시선을 압도하기에 충분했다. 맨홀 뚜껑이 마치 분수처럼 튕겨져 나가고 아스팔트가 거북이 등짝처럼 갈라지고 건물은 종잇장처럼 우수수 무너져 내린다. 남산 타워가 꺾어져 버린 장면은 이 지진의 상징처럼 보이고, 흔들리는 건물 내부의 아비규환은 원경으로 바라볼 때 그저 스펙터클처럼 보이던 재난의 끔찍한 현실성을 살려낸다.

 


'디데이(사진출처:JTBC)'

드라마로서 이런 CG를 접한다는 것 자체가 흔한 일은 아니다. 막연히 상상하기만 했지 이 같은 서울의 재난 장면을 실제로 구현한다는 건 그만한 투자도 투자지만 굉장한 도전정신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니 <디데이>는 이러한 재난 장면의 CG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그려냈다는 것만으로도 괜찮은 성과를 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드라마에서 정작 중요한 건 CG로 구현된 재난 장면 그 자체가 아니다. 그것은 일종의 밑그림인 셈이다. 그 밑그림 위에서 어떤 사람들의 이야기가 어떻게 그려질까가 사실 더 중요하다. <디데이>는 그 포인트를 이해성(김영광)이나 정똘미(정소민) 같은 의사를 중심에 세우고 그들과 함께 할 최일섭(김상호) 같은 구조대원들의 고군분투에 두었다.

 

죽음을 목전에 두고 그 누가 의연할 수 있을까. 병원을 찾아 몰려드는 재난의 부상자들과 환자들은 부족한 수용시설과 의료물자 때문에 치료받을 이들이 선별되고 선택받지 못한 이들은 그 울분을 의사에게 쏟아내기도 한다. 치료받지 못하고 죽게 될 엄마 때문에 광분한 아들에게 그 분이 살 수 있다면 자신을 죽도록 때려도 좋다고 말하는 정똘미의 진심이나, 환자들에게 쓸 국소마취제가 별로 없어 제 생살을 꿰매면서도 아픔을 참아내는 이해성의 의연함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잡아끈다.

 

결국 재난이 터지자 문을 닫아걸고 눈앞에서 환자를 저버리는 미래병원의 행태와 이 금방이라도 무너질 듯 조악한 병원에서 마지막 한 사람까지 포기하지 않으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이해성과 정똘미, 간호사 박지나(윤주희), 김현숙(김재화) 같은 인물들은 극명하게 대비된다. 단 몇 분 간의 지진으로 인해 폐허가 되다시피 한 서울 거리를 피난길에 오른 난민들처럼 걸어 나가는 그들의 생명을 이제부터 위협하는 건 저 재난의 결과 때문만은 아니다.

 

제 살길만 우선 찾겠다는 사람들의 이기심이나 기득권을 쥔 채 결코 포기하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욕망 같은 것이 이제부터 이 이해성과 정똘미 같은 이들이 부딪치게 되는 문제들이다. 압도적인 재난 장면에 결코 적지 않은 투자가 들어갔다면 그것의 목적은 결국 이 사람들의 이야기를 더욱 실감나게 만들어내기 위함이다.

 

다만 지나치게 재난 앞에 선 휴머니스트들의 고군분투로만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건 피해야할 일이다. 우리가 이러한 압도적 재난 장면까지를 가져와 들여다보려는 건 천재지변으로서의 재난 그 자체가 아니다. 그 안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다. 우리가 그토록 많은 재난 영화나 드라마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 건 실제로 우리가 접했던 수많은 재난들이 우리 사회가 가진 병리적 현상을 응축한 사건들로 기억되기 때문이지 않은가.

 

따라서 <디데이>의 이야기는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것이다. 지진이 벌어지고 그로 인해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아비규환에 빠지는 그 장면들로 언제 한 시간이 훌쩍 지나갔는지 모를 몰입감을 느낀 건 사실이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해성과 정똘미 같은 의사들의 노력과 대비되는 박건(이경영)이나 한우진(하석진) 같은 인물들과의 팽팽한 갈등을 통해 재난 그 자체보다 더 중대한 부조리한 사회 시스템을 고발해내는 일은 그래서 저 압도적 CG가 가져야할 지향점이 아닐까. 드라마적 갈등은 재난 그 자체가 만드는게 아니라 그 속에 있는 인물들이 만들어내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