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아버지와 나', 진정한 부자 관계라면 바비네처럼

728x90

<아버지와 나> 바비네가 보여준 세대 소통의 비법

 

바비와 아버지는 하와이 호놀룰루의 거리를 산책하며 끝없는 잡담을 한다. 눈에 보이는 대로 코에 맡아지는 대로 들리는 대로 모든 게 화젯거리가 된다. 그건 대화라기보다는 반응이다. 바비의 취향을 제대로 저격한 반짝반짝 빛나는 형형색색의 불빛을 입은 카페를 보며 너무 예쁘다고 말하고, 어디선가 맡아지는 냄새에 이게 무슨 냄새야?”하고 묻는다. 키가 스케이트 보드 정도밖에 안 되는 꼬마가 그 보드를 타는 모습에 엄지를 척 세워주고, 길거리에서 팝핀을 하는 청년에게 눈길을 던지며 환호를 해준다.

 

'아버지와 나(사진출처:tvN)'

tvN <아버지와 나>가 보여준 무려 두 시간을 그렇게 주제 없는 환호성과 반응들로 가득 채워진 두 사람의 대화는 그들 스스로도 잡담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목적이 없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두 사람은 대화를 하지 않고도 소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말로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자기 생각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흘러가는 것들을 함께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갑자기 길거리에서 아들이 춤을 춰도 아버지는 그저 씩 웃을 뿐 뭐라 하는 법이 없다.

 

제작진도 궁금했을 게다. 이 아버지는 왜 아들에게 그 흔한 잔소리를 하지 않는가. 그래서 그런 질문을 던지자 아버지는 잔소리 하는 걸 싫어한다며 그 이유로 좋은 이야기를 해주고 싶어도 그건 내 욕심이라고 한다. 답답해도 아이들은 시행착오를 하기 마련이고 그건 소중한 경험이라고 말한다. 별거 아닌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몇 십 년을 더 산 아버지 입장에서 잔소리에 대해 이런 생각을 갖고 있고 그걸 실천하고 있다는 건 대단한 일이다.

 

그래도 좋은 이야기를 해주고 싶을 때는 책을 빌어서 말해준다고 한다. 직접적인 말은 잔소리로 들릴 수 있지만 산보하며 나누는 잡담 같은 공감의 경험처럼 책은 좋은 이야기를 강권하는 게 아니라 같이 공유하는 경험으로 제시해준다. 세대 간에 이만큼 좋은 소통 방법이 있을까.

 

그 소중하게 생각한다는 시행착오는 아버지도 한다. 무작정 야경이 멋있다는 누군가의 글을 읽고 찾아가기로 나선 바비네 부자는 길을 헤매다 가로등 하나 없는 어두컴컴한 길로 접어든다. 처음 가는 길. 그들을 따라나선 제작진들이 두려움을 느낄 정도지만 정작 바비네 부자는 그런 어두컴컴한 곳으로 가게된 것에 대해 그다지 탓을 하는 법이 없다.

 

그리고 의외로 그 곳에서 저 아래 펼쳐진 호놀룰루의 놀라운 야경을 발견하게 된다. 바비가 말하는 것처럼 야경은 마치 물결치는 것처럼 반짝거리고 바람이 불 때마다 그 바람의 존재가 온몸으로 느껴진다. 두 사람은 그 경험이 소중하고 경이롭게까지 느껴진다. 엉뚱한 시행착오처럼 오게 된 깜깜한 길 위에서, 오히려 그곳이 깜깜하기 때문에 더 잘 보이는 야경을 발견하고 바람의 노래를 듣는다는 건 얼마나 즐겁고도 소중한 경험일까.

 

다시 도시로 돌아와 피자와 파스타를 시켜놓고 먹는 자리에서도 아들이 손으로 마구 토핑을 집어 피자에 얹어 먹어도 아버지는 묵묵히 자신의 파스타를 자신의 방식으로 먹는다. 그리고 두 사람은 평소에는 잘 하지 않던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그 이야기도 스스로에 대한 것일 뿐 상대방에게 생각을 강권하는 건 아니다. 미술을 하는 아버지와 음악을 하는 아들은 서로의 분야에 대한 자신들의 불만족을 이야기한다. 그것만으로도 두 사람은 충분히 공감대를 갖는다.

 

요즘처럼 세대 갈등이 심각해진 시기에 바비네가 서로 소통하는 방식은 참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한다. 나이 좀 먹었다고 또 좋은 얘기를 건네겠다고 하는 어른의 말은 어쩌면 바로 그런 자세와 위치 때문에 젊은 세대와 소통되지 않을 수 있다. 그것보다는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고 그 느낌을 공감하는 시간을 갖는 게 훨씬 더 낫지 않을까. 결국 소통의 물꼬는 조금은 나이를 더 먹은 세대가 열어줘야 한다. 부자관계라는 틀을 벗어나 인간 대 인간으로서 친구관계를 지향하는 것. 거의 정답처럼 보이는 바비네의 소통법이 주목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