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
갤럭시 노트 데이 포스터 몇 개 만들어봤어요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2013. 1. 17. 09:00
갤럭시 노트 데이 앰버서더로 활동하면서 이런 저런 노트 활용에 새로운 재미를 느끼고 있는 중입니다. 나무에 쏟아지는 햇살이 축제 같아 그 이미지를 활용해 두 가지 버전의 포스터를 제작해봤습니다. 이건 전에 창경궁에 가서 찍은 사진인데요. 그 사진을 S펜으로 간단히 잘라내서 그 위에 포스터 문구를 넣어봤습니다. 이건 모노톤으로 살짝 바꿔 봤고요... 이건 색감이 이번 축제와 어울리는 것 같아 작업해봤습니다. 알록달록한 색깔이 '세상에 없던 축제의 주인공' 같은 개성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갤럭시 노트 데이 행사는 오는 1월22일 오후 8시반부터 시작됩니다. 행사 내용이 흥미로운데요, 장진 감독이 총 준비했다는 이번 쇼의 콘셉트는 '크리에이티브쇼'입니다. 춤과 노래, 여러장르의 퍼포먼스르 결합한 크리에이티..
-
'애정남'이 말해주는 공감 마케팅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2011. 12. 8. 13:56
공감 없는 상품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최근 이른바 '개그콘서트'의 한 코너인 '애정남'이 대세다.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의 줄임말인 '애정남'. 도대체 뭐가 애매하다는 것이고, 그는 또 그걸 어떻게 정해준다는 얘기일까. 먼저 간단한 몇 가지 애매한 상황을 제시해보자. 누군가와 함께 음식을 먹다가 마지막 한 개가 남았을 때 당신은 어떻게 하는가. 그냥 버리기도 아깝고 그렇다고 덥석 먹자니 좀 그렇고. 또 누군가를 막 사귀기 시작했을 때 스킨십은 언제부터 해야 상대방이 당황하지 않을까. 이런 애매한 상황은 너무 사소해보여서 안 보이는 것뿐이지 사실 우리 주변에 널려 있다. 지하철에 앉아 가는데 할머니와 임산부가 동시에 탔다면 당신은 누구에게 양보를 해줄 것인가. 하다못해 영화관에서 팔걸이는 어느 쪽으..
-
콘텐츠 매뉴얼 전쟁, 이미 시작됐다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2011. 10. 7. 09:40
문화 마케팅 시대, 콘텐츠가 서말이도 꿰어야 최근 들어 해외 포맷을 들여와 만드는 프로그램들이 많아졌다. 그 전위에는 케이블이 있다. '프로젝트 런웨이 KOREA', '도전! 수퍼모델 KOREA', '러브스위치', '트라이앵글', '순위 정하는 여자', '코리아 갓 탤런트', '탑기어 코리아'. 모두 케이블 방송 프로그램으로 일정료의 로열티를 지불하고 해외 프로그램의 포맷을 가져와 만든 프로그램. 일단 해외에서 검증받은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시행착오를 줄인다는 점에서 리스크는 적은 편이다. 그래서인지 프로그램은 몇 차례 시즌을 거치며 충분한 존재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온스타일의 '프로젝트 런웨이 KOREA'는 2009년 시즌1을 내보낸 후 시즌3까지 방송되며 '일반인 서바이벌 리얼리티의 원조'로 자리매김..
-
한류, 글로벌이 아니다 글로컬이다옛글들/대중문화와 마케팅 2011. 8. 17. 10:03
한류가 글로벌 경제에 던지는 시사점 한때 박진영은 미국 진출을 선언하면서 미국시장을 뚫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철저한 '미국화'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이 그랬다. 당시에는 우리 음악은커녕 우리나라에 대한 인지도 자체가 미국 대중들에게는 거의 없었을 때니까. 그래서 박진영은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의도적으로 국적을 내세우지 않았다. 원더걸스 또한 그런 현지화 전략에 맞춰 주변에서부터 차근차근 차트로 진입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이것은 박진영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초창기 SM엔터테인먼트가 보아를 일본에 진출시킬 때 그녀를 한국인이 아니라 코스모폴리탄으로 포장했던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당시 보아는 영국에서도 몇 개월을 살았고, 뉴욕에서도 살았으며, 그래서 영어도 잘하고 일본어도 잘하며 노래도 잘하는 천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