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비극 외면하는 시대, '밀정'과 '고산자'를 가른 건

728x90

비극을 대하는 <밀정>과 <고산자>의 다른 선택

 

600만 관객과 80만 관객. 추석을 보낸 영화 <밀정><고산자 대동여지도(이하 고산자)>의 성적은 극명히 나뉜다. 이 두 영화 비교대상이 되는 건 같은 날 개봉한 우리네 영화라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두 영화 모두 역사를 다뤘고, 그 역사 속 주인공들의 삶이 비극적이었으며, 그 역사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일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사진출처 : 영화 <고산자>

사실 요즘 같은 시기에 비극을 다룬다는 건 흥행에 있어서는 쉬운 선택이 아니다. <밀정>은 조선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의열단의 이야기를 담았다. 물론 주인공은 조선인 출신의 일본 경찰인 이정출(송강호)이지만 그가 의열단의 인물들을 겪으며 갖게 되는 심적 변화가 영화의 주된 내용이다. 결국 해야 되는 일을 하기 위해 숭고한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의열단원들의 면면들은 슬픔과 분노를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아프다. 하지만 그 아픈 이야기가 지금껏 청산되지 않은 친일파의 문제까지를 건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밀정>은 호평 받았다.

 

영화적으로만 보면 <밀정>은 그 비극을 우아하고 장중한 느낌의 연출을 통해 관객들을 몰입하게 만들었다. 깊은 슬픔이 밑바탕에 깔려 있지만 영화는 장르적인 긴장감을 충분히 유발하고 특히 이정출이라는 인물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공감대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끝까지 영화에 빨려들 수 있었다. 일제 앞에 산화한 분들의 슬픔을 고스란히 아픈 기억으로 담아냄으로써 깊은 여운을 남긴 작품이 되었다.

 

한편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의 삶을 다룬 <고산자>는 개봉 전부터 식민사관논란이 벌어졌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대원군에 대한 묘사와, 김정호와 딸의 옥살이 이야기가 1934년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어독본에 실린 김정호의 옥사설을 따른 것이 아니냐는 추측 때문이다. 조선어독본에는 대원군에 의해 김정호와 딸이 옥사했다고 나오는데, 이것은 일제가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대원군을 매도함으로써 조선의 무능함을 드러내려 날조된 기록이라는 것.

 

하지만 영화는 끝까지 보면 알 수 있듯이 식민사관의 내용과는 다르게 전개된다. 결국 <고산자>가 다루는 이야기는 길 위에는 신분도 없고 귀천도 없다. 다만 길을 가는 자만이 있을 뿐이라는 한 마디로 압축된다. 지도 한 장이 민초들을 살리기도 죽이기도 했던 시절, 온전히 걷고 또 걸어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 민초들에게 배포하려 했던 한 위대한 평민의 이야기. 기록 자체가 A4 한 장 분량도 되지 않는 김정호의 역사적 기록을 영화는 허구를 덧대 지도에 담긴 그의 의지를 그려내려 했다. 아마도 영화 끝에 보여지는 대동여지도 목판 원본의 세세하게 새겨진 길들과 산과 강 그리고 산맥의 정교함에서 느껴지는 고산자의 마음이 역사적 기록보다 더 많은 걸 얘기해줬을 것이다.

 

식민사관논란을 겪었지만 <고산자>는 영화 속에 오히려 일본에 대한 불편한 심경들을 담아놓았다. 영화 속에서 김정호가 독도에 그토록 집착하는 건 그래서다. 영화는 그것을 어떻게든 정확하게 지도에 담기 위해 여러 차례 배를 타고 사경을 넘어서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독도를 보려 했다는 이야기를 집어넣었다.

 

이야기의 비극성으로 보면 <밀정>만큼 <고산자>도 못지않다. 김정호의 삶 자체가 비극의 연속이었다. 잘못된 지도 때문에 산길에서 횡사한 아버지와 평생을 지도를 만들기 위해 일상적인 삶은 거의 포기했던 그가 아닌가. 그래서 <고산자>는 영화적 재미를 위해 코미디를 넣었다고 한다. 차승원과 김인권이 마치 만담하듯 벌이는 코미디들은 그래서 비극을 바라보는 관객들에게 잠시 동안의 숨통을 틔워준다.

 

현실이 너무 어려워서인지 지금의 관객들은 비극을 좀체 보려하지 않는다. 그래서 <밀정><고산자>도 사실 쉬운 작품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 비극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밀정><고산자>는 사뭇 달랐다. <고산자>는 물론 후반부에 이르러 그 비극적 삶이 강조되지만 전반적으로 코미디 설정을 많이 활용했고, 반면 <밀정>은 온전히 비극을 유지하면서 그것을 장르적인 재미와 미려한 연출을 통해 끝까지 긴장감을 만들어냈다. 되돌아보면 비극을 비켜가지 않고 정면 돌파한 <밀정>의 선택이 훨씬 괜찮은 결과를 가져온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