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라라랜드', 재즈로 풀은 사랑과 예술의 마법 같은 순간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라라랜드', 재즈로 풀은 사랑과 예술의 마법 같은 순간들

D.H.Jung 2016. 12. 20. 10:04
728x90

<라라랜드>, 이 영화의 마법 속에 빠져버린 까닭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마법 같은 영화다. 생각하고 곱씹어보면 볼수록 이 영화가 담고 있는 둔중한 울림이 점점 커진다. 그건 힘겨운 현실 속에서 음악이나 연극, 영화 같은 예술이나 상처받은 아픈 영혼들이 어떻게 사랑하고 위로받으며 커나가고, 궁극에는 어떤 마법 같은 사랑의 완결을 해낼 수 있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라라랜드>라는 뮤지컬 영화에는 그런 것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툭툭 던져져 때론 강렬하고 때론 감미로운 재즈 음악 속에 흐르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우리의 뒤통수를 친다. 그리고 그 둔중한 깨달음은 삶이 얼마나 혹독한 현실 속에서도 따뜻한 것들을 찾아내는가를 알게 해준다.

 

사진출처:영화<라라랜드>

“<라라랜드>를 통해 음악과 노래, 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뮤지컬은 꿈과 현실 사이의 균형 잡기를 표현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이 이야기는 이 영화가 가진 마법적인 성격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일 게다. 도로를 가득 메운 정체된 차들 속에서 저마다 길이 뚫리기만을 기다리던 사람들이 갑자기 차 문을 열고 나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오프닝 장면은 현실에서 꿈으로 넘어가는 마법장치 같은 뮤지컬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말이 아니라 어느 순간 음악으로 표현되는 장면들은 현실적 상황이 예술적 장치를 통해 마치 마법 같은 꿈으로 변화하는 순간들을 제대로 잡아낸다. 자신이 하고 싶은 재즈 음악을 추구하지만 이제 젊은이들은 누구도 그런 고전적인 재즈를 듣지 않는다며 제 꿈을 펼치지 못하던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 연거푸 연기 오디션에서 떨어지면서 점점 자신감을 잃어가는 미아(엠마 스톤)가 그 정체된 도로에서 서로 으르렁대는 그 첫 만남이나, 견인되어버린 차 때문에 길거리를 헤매다 흘러나오는 재즈 피아노 소리에 마치 홀린 듯 들어간 카페에서 두 사람이 다시 만나는 장면, 그리고 어느 수영장 파티장에서 다시 마주치는 그 순간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난 우연적 사건들처럼 보인다. 하지만 두 사람이 파티장에서 나와 도시의 밤 풍경이 내려다보이는 어느 언덕길에서 당신은 내 스타일이 아니라는(그러면서 두 사람이 어우러지는) 걸 서로 강변하듯 노래하는 장면은 다시 현실을 훌쩍 벗어난 마법 같은 순간으로 다가온다.

 

<이유 없는 반항>이라는 영화를 연기 연구 차원에서같이 보기로 한 두 사람이 극장에서 만나 조금씩 서로에게 이끌리고, 키스를 하려는 순간 영화 필름이 끊어지자 그 영화 속 로케이션 장소인 그리피스 천문대로 직접 차를 몰고 가는 장면은 현실이 판타지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그 순간들을 극적으로 연출해 보여준다. 그들은 마치 영화 속으로 뛰어 들어간 것처럼 그 마법적인 사랑의 시간 속에서 물리적인 중력을 뛰어넘는다. 진자가 움직이는 그 곳에서 허공으로 붕 떠오른 두 사람이 구름 위에서 함께 왈츠를 추는 풍경이라니. 이만큼 사랑의 순간을 잘 표현한 장면이 있을까.

 

하지만 영화는 단순히 비현실적인 사랑의 순간만을 그려내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다.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전작이었던 <위플레쉬>에서 우리가 봤던 것처럼 예술이란 그저 달콤한 환상이 아니다. <라라랜드>에서 세바스찬은 재즈를 설명하며 그건 악기와 악기가 서로 대결하는 치열한 현장이라고 말했다. 세바스찬과 미아는 애초부터 각각의 다른 악기였다. 그래서 저 마다의 소리를 냈던 것이고, 처음에는 자기 스타일이 아니라며 으르렁댔다가 어느 순간에는 치열하게 살아가는 그 서로의 소리에도 매료되었고 그 힘겨운 현실 속에서 서로를 위로해주는 사랑으로 피어났던 것. 그것은 마치 치열하지만 아름다운 재즈 연주의 한 대목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서로의 사랑이 확인되고 자신들의 현실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그들은 다시 각자 앞에 놓여 있는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서로가 서로를 북돋으며 그 누가 뭐라 해도 서로에게는 최고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최고의 배우인 그들은 각자의 길로 달려가며 서로의 길이 갈라지기 시작한다. 그것은 사랑이 식은 것도 아니고 또한 서로에 대해 실망한 것도 아니다.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만나서 했던 가는 데까지 흘러나게 해보자는 말은 그래서 이들의 사랑이 단지 함께 평생을 살아가는 것을 추구하기보다는 서로의 꿈을 지지해주고 멀리 있어도 평생 마음 한 구석에 그 사랑을 남겨둔 채 살아가겠다는 이야기다.

 

그렇게 두 사람은 각자의 삶을 살아가고, 각자 원하던 꿈을 이루게 된다. 그들은 이뤄지지 못했지만 대신 음악은 그들 사이를 여전히 이어주는 마법이 된다. 남편과 함께 우연히 찾아간 세바스찬의 재즈 클럽에서 그의 음악을 들으며 그녀는 짧은 순간 상상한다. 각자 꿈을 이루고 또 그와 사랑이 이루어지고 그래서 가정을 이뤄 함께 살아가는 상상. 그것은 즉흥 재즈 음악이 갖고 있는 변주처럼 달콤하고 강렬하게 그려진다. 그 재즈 음악 속에서 세바스찬과 미아는 각각의 악기처럼 부딪치며 뒤섞인다. 세바스찬의 음악이 흘러나오면 미아는 그 상상 속에서 그와 함께 마치 연기하듯 꿈을 그려낸다.

 

<라라랜드>에 대한 열광적인 반응들은 여러모로 우리에게 <원스>, <비긴 어게인>, <싱스트리트>로 각인된 존 카니 감독의 음악영화들과 다미엔 차젤레 감독의 전작인 <위플래쉬> 같은 영화들을 떠올리게 한다. 확실히 우리네 감성적인 관객들은 음악영화들에 특히 더 마음을 빼앗기는 경향들을 보인다. 하지만 <라라랜드>를 단순히 그 음악영화의 성공으로 치부하기에는 이 영화가 담고 있는 사랑과 예술에 대한 이야기들이 너무나 매력적이다. 마치 삶과 예술의 비의를 들여다본 듯한 그런 기분. 참 웃을 일 없는 시절에 흐뭇한 미소가 절로 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