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200회 맞아 손석희 앵커가 전한 '썰전'이 나아갈 길

728x90

<썰전>의 독한 혀와 정치인과의 거리두기

 

원래 표방하는 바가 독한 혀들의 전쟁이라면서요? 그런데 그 독한 혀라는 것이 나쁜 뜻에서의 독한 혀가 아니라 서로 토론을 통해서 실체적인 어떤 것에 가까워지기 위한 방법론으로서의 독한 혀겠죠. 그렇게 계속 유지해나갔으면 좋겠어요. 다만 부탁드릴 것은 녹화를 월요일에 한다면서요? 그걸 하루나 이틀 정도 늦추면 제작진들이 굉장히 힘들다면서요? 도저히 못하나요? 대개 노력하다 보면 되거든요.”

 

'썰전(사진출처:JTBC)'

손석희 앵커는 200회를 맞은 JTBC <썰전>에 대해 한 마디를 요구하는 제작진에게 그렇게 바람을 전했다. 이 날 방송은 200회답게 수많은 정치인들의 축하 영상이 잇따랐다. 현재 대선주자 지지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문재인은 물론이고 정세균 국회의장, 유승민 의원, 노회찬 의원, 김성태 의원, 표창원 의원, 장제원 의원 등등이 그들이다. 그런데 역시 이 축하 영상 중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이 프로그램에서 유독 많은 얼굴을 보였던 손석희 앵커였다. 그가 던진 몇 마디 말 속에 그간 <썰전>이 해온 적지 않은 공적들과 또 앞으로 나가야할 길까지가 담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썰전>이 처음 시작했을 때만 해도 말 그대로 독한 혀의 의미는 시사 토크를 하되 좀 더 센 이야기, 즉 자극적인 면을 강조한 면이 없잖아 있었다. 물론 이철희 소장은 좀 더 진지한 정치 토론의 자세를 유지하려 했지만, 강용석 변호사는 주로 정치인들의 뒷얘기, 가십쪽에 치중하는 면이 많았다. 물론 그것이 정치에 대한 일종의 편견이나 선입견을 깨준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이 손석희 앵커가 말하는 독한 혀의 진짜 의미는 아니었을 수 있다.

 

진정한 의미의 독한 혀가 시작된 건 그래서 이철희, 강용석이 하차하고 새롭게 유시민 작가와 전원책 변호사가 진용을 짜게 되면서다. 이때부터 <썰전>은 좀 더 본격적인 시사 정치 문제들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썰기 시작했다. 물론 예능적인 재미의 틀들이 편집을 통해 가미되기도 했지만 그 과정에서 흥미로웠던 건 우리가 그간 썰어내지 않으면 잘 몰랐던 그 시사 정치 문제들의 실체를 그들의 독한 혀를 통해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손석희 앵커가 말한 진정한 의미의 독한 혀가 만들어낸 변화다.

 

여기서 중요한 건 실체적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의미다. <뉴스룸>도 이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그저 팩트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팩트에 담겨진 다양한 의미들을 상식적인 추론에 의해 짚어보고 있는 것처럼, <썰전>은 그 특유의 예능적 방식을 통해 팩트에 담긴 실체를 추적한다. 저들만의 용어처럼 여겨지던 정치 언어들을 유시민과 전원책은 우리들의 언어로 풀어준다.

 

결국 <썰전>을 통해 시청자들이 얻은 가장 큰 것은 그간 너무 복잡해보이고 때로는 저들만의 언어로 되어 있어 소외감을 주는 시사나 정치 이야기를 이제는 누구나 회자할 수 있는 우리들의 이야기로 만들어줬다는 점이다. 정치는 실제 그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국민들의 참여로서 이뤄진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썰전>의 영향은 실로 지대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00회를 맞아 축하영상을 보내온 많은 정치인들에게서 볼 수 있듯이 <썰전>의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다. 어찌 보면 지금의 정치인들에게 <썰전> 출연은 굉장한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썰전>의 이런 위상을 계속 유지해가기 위해서는 저 손석희 앵커가 말했던 본질에 충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실체에 가까워지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독한 혀를 표방하고, 또한 정치인들과도 일정 부분의 거리를 유지하는 일이 그것이다.

 

흥미롭게도 썰전에 출연하실 의향은 없냐?”는 제작진의 질문에 손석희 앵커는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자신의 위치에서 자신의 방식으로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하는 것. 그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비판과 견제를 다하는 일. 손석희 앵커가 던진 몇 마디 말 속에는 <썰전>이 나갈 방향성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