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거너사', 연기, 대본, 연출, 총체적 난국

728x90

'그거너사', 발연기야 그렇다치고 대본·연출은 왜 이러나

tvN 새 월화드라마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이하 그거너사)>는 시작 전부터 어느 정도의 불안감이 들 수밖에 없는 작품이었다. 그 첫 번째는 이 작품의 원작이 2009년부터 연재된 일본 만화라는 점이다. 물론 일본 만화 원작의 리메이크 드라마가 모두 실패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일본 원작들이 그 정서적 차이를 넘지 못해 무너지는 경우를 종종 본 바 있고, 게다가 2009년 시작된 작품으로서 무려 8년의 시차를(작품에 대한 느낌은 시청자들의 변화에 의해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극복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 우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사진출처:tvN)'

하지만 무엇보다 큰 불안감은 캐스팅이었다. 물론 남자 주인공 강한결 역할로 이현우가 자리하고 있어 그나마 어떤 기대를 갖게 만들었지만, 그를 둘러싼 중요한 배역들이 조이, 이서원, 홍서영, 성주, 신재민, 장기용 같은 연기 검증이 거의 되지 않은 신인들로 채워졌다는 건 너무 모험이 아닌가 싶었기 때문이다. 연기라는 것이 한 사람이 잘 한다고 해서 되는 문제가 아니다. 상대역들이 같이 받쳐주지 않으면 제 아무리 베테랑 연기자들도 같이 망가질 수 있는 게 연기가 아닌가. 

실제로 <그거너사>에서 여주인공 윤소림 역할을 맡은 조이의 연기 문제는 첫 회부터 드러났다. 사실 이 역할은 결코 쉽지 않은 연기를 요구한다. 처음 만난 윤소림에게 돌직구 호감을 표현하며 다가가는 모습은 잘못 연기하면 뜬금없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첫눈에 반한다”는 걸 믿느냐는 식으로 툭 던지며 들어오는 윤소림이 공감가려면 그 캐릭터가 본래 그런 성격이라는 걸 충분히 납득시켰거나 강한결과의 우연적 관계 속에서 그녀가 그렇게 얘기할 수 있는 근거를 확실히 마련해 두어야 한다. 

하지만 <그거너사>는 대본을 통해 윤소림이라는 캐릭터에게 그런 정도의 인상적인 캐릭터 설명을 해주지 않았다. 어린 시절 엄마의 갑작스런 죽음에 충격을 받아 무대 공포증이 있고, 할머니의 보살핌 아래 자라 공부 빼고는 뭐든 열심히 하는 성격이며, 노래에 재능이 있다는 것 정도가 그녀가 그나마 보여준 캐릭터였다. 

역할 자체가 쉽지 않은데 그걸 연기 경험이 별로 없는 조이가 해낸다는 건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조이가 연기를 해내려고 노력하고 있는 건 분명하지만, 그녀의 연기는 감정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미숙함을 드러낸다. 어떨 때는 지나칠 정도로 방긋방긋 웃고, 어떨 때는 또 눈물을 뚝뚝 흘린다. 이런 감정 표현 자체가 나쁜 건 아니지만 그것이 캐릭터의 심경과 어울려 어떤 공감대 속에서 조절되지 않으면 안정감을 잃을 수밖에 없다. 캐릭터가 너무 감정변화가 급박하게 마구 드러나는 듯 보이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조이만의 문제가 아니다. 여기 등장하는 대부분의 신인 연기자들이 비슷한 문제들을 갖고 있다. 채유나 역할의 홍서영도 그렇고, 강한결과 같은 크루드플레이 멤버이면서 대립각을 세우는 기타리스트 이윤 역할의 신제민도 마찬가지다. 이들의 연기는 화를 내는 장면에서도 소리만 지를 뿐 그것이 감정적인 공감을 주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물론 이런 과감한 신인 캐스팅을 했다면 대본과 연출이 이들의 이미지와 성격 등을 충분히 분석해 그걸 캐릭터와 맞춰주는 작업을 했어야 하지만 이 작품은 그런 면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 대본도 자연스러운 흐름보다는 우연적 요소들이 겹쳐져 덜컥되는 느낌이 강하고, <라라랜드> 같은 뮤지컬적 요소를 가미하려 시도한 연출은 어색하다. 

연기에서 대본, 연출까지. <그거너사>는 한 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다. 1.5%(닐슨 코리아)로 초라하게 시작한 시청률이 2회에 1.3%로 떨어진 건 당연한 결과다. <또 오해영> 같은 작품으로 tvN 드라마가 월화 시간대에도 확실한 존재감을 보이던 그 때를 떠올려보면 <내성적인 보스>에 이어 <그거너사>로 이어지는 난국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식의 무모한 모험으로는 그간 애써 힘겹게 쌓아놨던 tvN 드라마의 이미지만 깎아먹을 뿐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