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해피 데스데이' 공포영화가 이렇게 발랄하고 웃겨도 되나

728x90

‘해피 데스데이’, ‘사랑의 블랙홀’의 공포 버전이랄까

세상에 이렇게 발랄한 공포영화가 가능하다니. <해피데스데이>는 여러 모로 관객의 뒤통수를 제대로 때려주는 영화다. 공포영화라고 해서 봤는데 한없이 발랄해지고 심지어 달달해진다. 게다가 죽는 장면에서 공포가 느껴지다가 어느 순간에는 웃음이 터진다. 통쾌함도 있고 가슴 뭉클한 감동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감정들을 느끼게 해주는 장르가 퓨전된 영화지만, 그 흐름은 너무나 자연스럽다. 영화를 본 분들은 아마도 대부분 그 즐거운 당혹감에 이런 질문을 던졌을 게다. 도대체 이 영화 정체가 뭐야?

<해피 데스데이>는 아마도 1993년 작 빌 머레이 주연의 <사랑의 블랙홀>을 본 관객분들이라면 반색할만한 공포영화다. <사랑의 블랙홀>은 매일 매일 똑같은 하루를 지내게 된 남자가 이를 통해 삶의 의미와 사랑을 이뤄가는 유쾌한 로맨틱 코미디. <해피 데스데이>는 자신의 생일날 의문의 괴한에게 살해당하는 트리(제시카 로스)가 계속 같은 날 깨어나 같은 상황을 반복하는데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뤘다. 

‘해피버스데이’를 뒤집어놓은 제목에서 의미하는 것처럼, <해피 데스데이>는 공포영화가 갖는 많은 상투적인 방식들을 뒤집는다. 공포영화가 공포스러운 건 죽음 때문이다.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지만, <해피 데스데이>는 죽음 그 자체가 아닌 살아나 다시 그 끔찍한 죽음을 겪는다는 것에 공포가 있다. 즉 죽음은 그 자체로 공포의 끝을 말하는 것이지만, 이 영화는 <사랑의 블랙홀>이 그러하듯이 그 끝을 다시 처음으로 돌려 무한반복되는 상황의 공포를 그린다. 

<스크림>이 그 기괴한 마스크 하나로 공포를 유발하듯이 <해피 데스데이>에도 마스크를 쓴 괴한의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소름을 돋게 만든다. 하지만 마스크는 단지 공포 유발의 장치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 마스크를 쓴 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고, 트리는 계속 죽었다 살아나는 걸 반복하면서 그 범인을 찾으려 노력한다. 

흥미로운 건 이 반복되는 하루를 통해 트리가 조금씩 성장해간다는 점이다. 그는 그 특별한 생일날 계속해서 벌어지는 똑같은 일상을 들여다보면서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비로소 깨닫게 된다. 그래서 그 삶을 바꿔보려 노력하기도 하고, 마음 깊은 곳에 숨겨두고 있던 상처를 들여다보고 그 치유의 방법을 모색하기도 한다. 공포영화 속에서 이런 성찰적 시선이 가능하다는 것이 놀랍다.

공포영화가 영 자신의 취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멜로 취향의 관객들에게도 이 영화는 꽤 특이한 멜로 경험을 하게 해준다. 공포 속에서 조금씩 진정한 사랑을 찾아가는 이야기는 의외로 발랄한 즐거움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트리를 돕는 순수 청년 카터(이스라엘 브루사드)와 트리는 조금씩 마음을 나눈다. 공포영화에서 이렇게 풋풋한 멜로가 가능하다는 것도 흥미롭다.

영화는 말미에 가서 <사랑의 블랙홀>이 이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다는 사실을 카터의 대사를 통해 알려준다. 트리의 상황이 <사랑의 블랙홀>을 떠올리게 한다는 것. 하지만 이를 공포 형식으로 패러디한 <해피 데스데이>의 재기발랄함은 <사랑의 블랙홀>의 장치를 가져왔다고 해도 그 이상의 여운을 남긴다. 공포영화라는 장르에 대해 우리가 갖고 있는 많은 선입견들을 보란 듯이 뒤집는 데서 오는 어떤 통쾌함마저 느껴지는.(사진출처:영화 <해피 데스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