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뜻밖의 Q'의 엉뚱한 퇴행, 이건 '무도' 후속 부담 탓 아니다

728x90

‘뜻밖의 Q’의 안이함, 제 아무리 웃음의 강도를 높인들

시청률 4.2%(닐슨 코리아). 뜻밖의 시청률이다. 물론 MBC 예능 <무한도전>이 떠난 자리를 채운다는 게 부담이 됐을 <뜻밖의 Q>지만 이건 안이해도 너무 안이한 기획이다. 음악예능, 퀴즈프로그램, 스튜디오물. 뭐 하나 지금의 트렌드를 보여주는 게 없다. <무한도전>이 있던 자리인 노른자위 프라임타임에 들어올 프로그램으로는 함량 부족이다. 차라리 시청자들이 <전지적 참견 시점>을 그 시간대에 채우라는 이야기가 더 합리적으로 다가올 정도다.

물론 SNS 스타들을 활용해 시청자가 참여하는 특이한 음악 퀴즈를 낸다는 새로움은 있다. 하지만 그것뿐이다. 다양한 장르와 세대를 대변하는 출연자들이 결국은 퀴즈를 맞추는 형식일뿐이다. 음악예능도 식상한 버전이고, 퀴즈프로그램은 더더욱 그렇다. 게다가 카메라가 일상 속으로 들어가는 관찰카메라 시대에 이런 스튜디오 예능은 너무 올드하게 느껴진다. 

본래 방송 분량이 워낙 재미 포인트를 잡지 못하고 있어서인지 자막과 편집은 더 인위적이고 과도해진다. <닥터 스트레인지>를 패러디해 웃음을 터트리지 못한 강타의 멘트에 시간을 되돌리는 식의 자막, 편집이 그렇다. 물론 그런 방식이 최근 유튜브 같은 인터넷 방송의 재미 포인트이긴 하지만, 그 많은 연예인들을 스튜디오에 초대해 놓고 거의 편집을 통해 웃음을 만들어내려 애쓰고 있다는 건 근본적인 프로그램의 문제가 있다는 걸 말해준다.

출연자들도 그래서 리액션이나 멘트가 과도해진다. 어떻게든 거기 앉아있는 자기 증명을 해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요즘 다시 대세로 떠오르고 있는 노사연은 역시 거침없는 멘트로 그나마 웃음을 챙겨주지만, 뜬금없는 ‘돌고 돌아가는 길’을 불러대며 애쓰는 모습은 즐겁기 보다는 안쓰러움이 더 크다. 

여기에 진행자로 선 이수근과 전현무의 역할도 애매하기 그지없다. 전현무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느낌이 별로 없고, 이수근은 괜스레 출연자들을 콕콕 찔러대며 질문을 던지는데 보는 이들에 따라서는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대목이다. 무엇보다 우리가 이수근과 전현무를 떠올리면 생각되는 그런 멘트들이 그저 반복되고 있다는 걸 생각해보면 왜 굳이 이 어려운 자리에 이런 쉬운 선택을 했는지가 의문이다.

<뜻밖의 Q>의 최행호 PD도 그 ‘폭망의 느낌’을 읽어냈는지 마지막에 사족을 붙였다. <닥터 스트레인지>를 패러디해 시간을 되돌리고는 “가수들을 섭외한 게” 실패의 이유였다고 말했다. 그만큼 재미의 포인트가 약했다고 스스로 판단한 것이다. 그래서 2회에는 웃음을 더 줄 수 있는 예능인들을 채워 넣었다는 걸 예고 영상으로 보여주며 진짜 시작은 다음회부터라는 뉘앙스를 남겼다. 

그런데 과연 재미와 웃음의 강도를 더하면 <뜻밖의 Q>는 제 자리를 잡을 수 있을까. 중요한 건 웃음의 강도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형식이 가진 안이함으로 인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너무 부족하다는 점이다. 어디 웃기만 하려고 예능 프로그램을 보는 시대인가. <무한도전>이 그간 해왔던 재미의 다양한 포인트들과 그 확장을 떠올려 보면 <뜻밖의 Q>는 엉뚱한 퇴행처럼 보인다. 기획의 원점에서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