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식량일기', 키운 닭 먹는 딜레마만큼 애매한 재미와 의미 사이

728x90

‘식량일기’, 농사의 과정을 보여주는 의미는 충분하지만

tvN 새 예능프로그램 <식량일기>가 첫 회에 주로 화제가 된 건, 과연 직접 알에서부터 부화시켜 키운 닭을 과연 잡아먹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즉 출연자들이 처음 상견례(?)를 할 때 사온 닭과 식재료들로 닭볶음탕을 해먹었을 때는 그토록 맛있기만 했던 그 음식을, 이제 그 재료들까지 직접 생산해 만들어먹어야 한다는 미션이 주어지자 과연 키운 닭을 먹을 수 있을까 하는 딜레마가 생겼던 것. 

이는 닭을 식량으로 보느냐 아니면 관계를 맺은 하나의 생명으로 보느냐의 차이였다. 내가 직접 키우지 않고 누군가 잡은 닭은 아무런 감정 교환이 없었다는 점에서 식량으로 볼 수 있지만, 알이 부화되어 나온 병아리들을 손수 키우며 그 과정을 들여다본 이들은 쉽게 그 닭을 식량으로 치부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은 중간에 갑자기 진중권과 최훈을 등장시켜 어찌 보면 ‘철학적’일 수 있는 이 딜레마를 두고 토론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식량일기>라는 프로그램이 가진 딜레마이기도 했다. 즉 알에서부터 병아리가 되고 또 병아리가 닭이 되는 그 과정을 담는 방식에 있어서, 감정을 부여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중요한 재미 포인트가 되지만, 그렇게 하면 결국 이 프로그램이 추구하고 있는 ‘식량’이라는 관점을 보여주는 데는 불편함이 생겨날 수 있어서다. 그렇다고 자라는 작물들이나 성장하는 닭을 그저 식량으로만 보며 무심하게 다룬다면 프로그램의 재미 부분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가 있기 때문에 부화기에 달걀을 넣고 21일을 기다리며 결국 알을 깨고 나오는 병아리의 탄생 과정은 신비하기까지 했지만 그렇게 감정을 부여하면 할수록 느껴지는 약간의 불편함은 피하기가 어려웠다. 결국 그 병아리가 닭볶음탕의 재료가 되는 걸 자꾸 상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관점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보인다. 현대인들이 아무 생각 없이 요리해 먹는 음식들이 사실은 누군가의 손길에 의해 길러진 것들이라는 걸 새삼스럽게 상기시켜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결과물인 식량의 재료로서 닭고기를 요리해먹기 때문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지만, 그건 우리가 없는 것처럼 치부해온 과정들이 생략되어 있어서라는 걸 이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미가 충분해지는 만큼 <식량일기>는 예능 프로그램으로서의 재미를 추구하기가 어려워지기 마련이다. 그것은 농사라는 소재 자체가 그렇다. 농사의 과정을 보는 건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지만, 그 과정 자체가 보는 재미를 주기는 쉽지 않다. 이건 이미 <청춘불패>나 <인간의 조건> 도시농부편 같은 프로그램들이 가졌던 딜레마이기도 했다. 다큐적인 의미는 충분했지만 그렇게 의미가 강해질수록 예능적인 재미를 추구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존재했다는 것.

과연 <식량일기>는 직접 키운 닭을 먹는다는 사실이 주는 딜레마가 보여주는 것처럼, 농사라는 소재가 갖는 의미만큼의 재미를 찾을 수 있을까. 다큐적으로는 흥미로운 실험이지만 예능으로서의 의구심이 남는 대목이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