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무도' 떠난 지 두 달, 토요일 저녁 기대감 자체가 사라졌다

728x90

토요일 저녁, 도전은 없고 안전함만 남은 예능프로그램들

지난 3월 31일 MBC 예능 <무한도전>은 563회를 끝으로 종영했다. 그리고 두 달이 조금 넘게 지난 지금 토요일의 TV 풍경은 어떻게 변했을까. 그 빈자리를 채운 건 KBS <불후의 명곡>과 SBS <백년손님>이다. 시청률로만 보면 <불후의 명곡>이 9%(닐슨 코리아)로 동시간대 1위를 기록하고 있고, 그 뒤를 거의 비슷한 <백년손님>이 8.9%로 뒤쫓고 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무한도전>의 자리에 들어온 MBC <뜻밖의 Q>는 3% 시청률을 벗어나지 못하는 부진에 빠져있다. 시청률도 시청률이지만 시청자들의 관심 자체가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요령부득의 상황이다. <무한도전>의 후속인지라 부담감은 더 클 수밖에 없지만, 그걸 차치하고라도 예능으로서의 함량 미달이라는 평가를 부정하긴 어렵다. 

그렇다면 <불후의 명곡>이나 <백년손님>은 어떨까. 사실 두 프로그램이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다고 해도 이를 능동적인 시청이라 보기는 어렵다. 두 프로그램 모두 오래된 형식이고, 매번 비슷한 틀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새로움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시청자들로서는 찾아서 보기보다는 틀어 놓다 보니 보게 되는 그런 프로그램들일 수밖에 없다.

<불후의 명곡>은 <나는 가수다>가 한참 화제가 되던 시절, 그 여파로 만들어졌던 프로그램이다. 파괴력은 <나는 가수다>에 떨어졌지만, KBS 특유의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지향하면서 지금껏 살아남았다. 정훈희 같은 가수가 전설로 추대되어 그의 노래를 박기영, 양동근, 케이윌 같은 가수들이 다시 부르는 그 방식은 KBS에 걸맞는 보수적인 구도를 보여준다. 마치 월화드라마보다 <가요무대>가 더 시청률이 잘 나오는 것처럼, 이 시간대에 수위를 차지하는 건 당연해 보인다. 

<백년손님>은 애초에 남편들의 강제처가살이를 콘셉트로 삼았던 프로그램이었다. 그래서 여전히 이만기와 제리 장모의 ‘톰과 제리’ 같은 툭탁대는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지금은 그 콘셉트에 그리 천착하지는 않는 모습이다. 이를테면 후포리 남서방네 집에 샘 오취리와 강남이 찾아가 보여주는 이야기는 ‘처가살이’라기보다는 시골 체험에 더 가깝다. 하일 같은 원조 스타 외국인을 캐스팅하고 장모와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대목은 아무래도 외국인 예능 트렌드를 접목시킨 느낌이 강하다. 

<불후의 명곡>도 <백년손님>도 나름 저 마다의 재미가 있다는 건 부정하기 어렵지만, 그것이 어떤 도전적인 새로움을 보여주기보다는 늘 있던 것을 반복하고 있어 찾아서 보게 되지는 않는다는 건 어쩔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자꾸만 더 크게 느껴지는 건 <무한도전>의 빈자리다. 현재의 안전하게만 보이는 토요일 저녁 TV풍경이 매주 새로운 도전들을 실험적으로까지 보여주며 기대감을 갖게 했던 <무한도전>의 공백을 더욱 크게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무한도전>이 없는 토요일 저녁 시간대는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무한도전>이 매회 보여줬던 새로운 도전과 실험을 기대하는 건 아니다. 다만 그나마 작은 새로움이라도 찾아보고 싶을 따름이다. 점점 그 시간대 자체의 기대감이 사라져가는 토요일 저녁을 보는 건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