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임금님 대신 님을 구하는 남궁민에 담긴 ‘연인’의 진짜 문제의식

728x90

‘연인’, 남궁민의 님과 이학주의 님 사이

연인

“이제라도 임금님 구하는 일은 그만두고 은애 낭자를 지키러 가는 게 어떻겠소?” MBC 금토드라마 <연인>에서 이장현(남궁민)은 남연준(이학주)에게 그렇게 말한다. 병자호란이 터지고 임금이 오랑캐들을 피해 남한산성으로 들어가자, 연준은 임금을 구하겠다며 의병이 되어 전장으로 뛰어들었다. 참혹한 전쟁 속에서 무력한 자신을 느끼고, 수차례 이장현의 도움으로 겨우 살아남게 된 연준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현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난 배운 것 따로 사는 것 따로 할 줄 모릅니다. 평생 나라에 화급한 일이 있으면 나가 싸우는 것이 선비의 도리라 배웠소. 여인이 사내를 따르고 자식이 부모를 섬기고 신하가 임금에 충성하는 질서는 아름다운 것입니다 섬김을 받았으니 사내와 부모는 여인과 자식을 보호하고 임금과 사대부는 백성을 지킬 의무가 있어요. 나는 임금님을 구하다 죽을 것입니다. 내가 임금을 위해 죽으면 임금께선 백성들을 지켜주실 것이요. 내가 믿는 것은 그 뿐입니다.”

 

아마도 조선시대의 사대부들은 연준 같은 생각을 했을 게다. 그것이 당연한 도리라 여겼을 테고. 하지만 장현은 다르다. 그는 애초부터 백성을 버리고 먼저 도망친 임금을 구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보다는 오랑캐들에 의해 피난을 가다 위험에 처한 길채(안은진)나 은애(이다인), 종종이(박정연), 방두네(권소현) 같은 백성들을 구하는 일이 더 중요했다. 그래서 그들을 구하기 위해 사지로 뛰어들어 오랑캐들과 싸우는 일도 마다치 않았다. 

 

<연인>이라는 드라마는 어찌 보면 병자호란이라는 거대한 비극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지만, 장현과 길채의 지극히 사적인 사랑이야기를 담는다는 점에서 어딘가 한가로운 서사가 아닌가 하는 느낌을 주는 게 사실이다. 긴박한 상황들이 펼쳐지지만, 그 속에서도 장현과 길채의 주고받는 ‘썸’에 가까운 설레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한 관계가 그려진다. 

 

그런데 이건 드라마가 한가로운 서사를 그리고 있어서가 아니다. 오히려 이 사적인 사랑 이야기가 저 연준이 도리이자 대의로 이야기하는 비현실적인 임금을 향한 충성과 팽팽한 대결구도를 만들고 있어서다. 과연 전쟁이라는 위급한 상황에서 장현처럼 가까운 님을 구하는 일이 더 중요할까 아니면 연준처럼 임금을 구하는 일이 더 중요할까. 이 지점은 <연인>이 갖고 있는 문제의식이다.  

 

물론 실제 조선시대였다면 연준의 선택이 선비의 도리라 여겨졌을 테지만, 현재의 관점이 투영되어 그려진 <연인>이라는 세계에서는 정반대로 장현의 선택이 더 당연하고 현실적이라고 여겨진다. 임금이 먼저가 아니라 백성이 먼저이고, 국가도 국민들이 있어야 존재한다는 것이 지금 현 시대에 대중들이 갖는 국가관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백성을 버리고 먼저 도망친 임금이 아닌가. 

 

길채를 향한 장현의 사랑은 그래서 연준의 임금에 대한 충성과 대비되면서 더 의미를 갖는다. 병자호란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으면서도 제목을 <연인>이라 붙인 것에서도, 저 조선의 사대부들이 그토록 ‘님’을 찾으며 임금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곤 하던 일들이 오히려 더 한가로운 거라는 걸 꼬집는 뉘앙스가 느껴진다. 도대체 사랑하는 사람 하나를 구하지 못하는데 무슨 나라를 구한단 말인가. 

 

“이제 그대가 어디에 있든 반드시 그대를 만나러 가리다.” 장현이 길채에게 하는 이 말은 그래서 더더욱 무게감을 갖는다. 그건 사랑하는 연인에게 하는 맹세지만, 모두가 임금을 바라보던 시절에 하는 말이기에 더더욱 그렇다. <연인>은 그래서 지극히 사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지만 그것이 오히려 더 문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무게감을 갖는다. 전쟁이 깊어질수록 시청자들이 이들의 사랑에 더 몰입하게 되는 이유다. (사진:M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