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회사란 도대체 뭘까.

한때는 평생을 책임져줄 것처럼 여겨지던 그 곳이

이제는 단물 다 빠지면 어떻게든 뱉어내는 그런 곳이 됐다.

 

그 공포감을 <나의 아저씨>의 한 장면은 회사 퇴직 후 변변찮게 살아가는 맏형의 대사 한 마디로 표현한 바 있다.

"회사에서 잘리는 순간 너 바로 나 된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이야기>에서 

어떻게든 버텨내려 안간힘을 썼지만 제 손으로 스무 명을 잘라내라는 회사의 요구에

끝내 사표를 던지고 나온 김부장이 집에 온 장면은 너무 리얼해서 가슴을 후벼판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멍하니 정신이 나간 듯한 표정의 김부장에게서

뭔가 이상함을 감지한 아내는 번뜩 남편이 드디어 회사를 그만뒀다는 사실을 직감한다. 

처음에는 설거지 하던 손을 떨더니 이내 표정을 바꿔 짐짓 남편을 향해 다가가 물을 튕기며 장난을 친다.

“어이. 어이 백수. 김백수씨? 와이프는 주말에 면접인데 일할 건데, 너는 놀게?"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짓궂게 놀리며 손가락으로 옆구리를 찔러가며 묻는다. 

"퇴직금 얼마 나왔어, 어? 내놔. 내놔, 내놔. 어? 나 가방도 사고 옷도 사고 해외여행도 가고, 어?"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그러자 김부장은 들킨 게 멋쩍은 듯 배가 고프다며 먹을 거라도 달라고 한다. 

하지만 아내의 다소 과장된 장난은 멈추지 않는다.

"어? 돈 줘, 돈 줘, 돈 줘, 돈, 어? 내가 100만원 주면 내가 아주 라면을 기똥차게 하나 끓여준다.”

그리고 당혹스러워 하는 남편을 지긋이 바라보던 아내는

양팔을 벌리고 말한다.

"고생했다. 김부장."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그 말은 수십 년을 일해온 김부장의 시간들을 다독이는 말이었다. 

그런데 이 바보 같은 김부장이 하는 말이 끝내 나를 울린다. 

"미안해."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아마도 그건 더 버텨내지 못했다는 것에 대한 미안함이겠지만

수십 년을 전쟁터 같은 회사에서 돌아온 사람이 해야할 말은 아닐게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렇게 말하는 건, 김부장의 삶이 얼마나 그 지독한 일터에서 버티는 일로 점철되었던가를 말해준다,

어쩌면 당연한 것처럼 되어버려 버티지 못한 것이 오히려 미안할 정도로.

짐짓 장난까지 치며 남편을 위로하려 했던 아내지만

남편의 그 한 마디에 아내는 가슴이 먹먹해진다.

"미안하긴 뭐가 미안해? 아휴..."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두 사람은 꼭 껴안고 뜨거운 눈물을 흘린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회사 혹은 사회로부터 버림받았다고 느껴지는 순간

그럼에도 돌아올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건 다행이 아닐까.

이 노부부의 장난과 위로와 눈물이

언젠가는 떠날 수밖에 없는 직장인들의  한 생애를 압축하는 것만 같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새글들 > 나를 울린 명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러니까... 그건 쨉도 안돼."  (0) 2025.09.16
첫, 사랑, 사람, 삶  (2) 2025.08.07
골이 아니야, 트라이지  (4) 2025.07.31
넌 실수가 아니야  (1) 2025.07.28
사람들이 왜 너를 못 알아볼까?  (1) 2025.07.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