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스케6>, 완벽한 콜라보와 패자부활전 사이

 

<슈퍼스타K6>의 톱11이 확정됐다. 김필, 버스터리드, 장우람, 송유빈, 여우별밴드, 이해나, 미카, 임도혁, 곽진언, 이준희, 브라이언 박이 그들이다. 사실 특별한 이변이랄 것도 없었다. 워낙 실력자가 많이 나온 <슈퍼스타K6>인데다 거의 모두가 톱11에 들어갈 만했고 그만한 실력을 갖춘 참가자들이었기 때문이다.

 

'슈퍼스타K6(사진출처:Mnet)'

그나마 이변이라면 브라이언 박이 추가로 합격되면서 톱10이 톱11이 됐다는 것 정도. 하지만 이것도 이미 이전 <슈퍼스타K>에서 종종 벌어졌던 일들이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흥미로운 건 패자부활에 대한 반응이다. 11 대결을 통해 일찌감치 톱10에 합류한 김필, 버스터리드, 장우람, 송유빈, 여우별밴드, 이해나, 미카와 달리 임도혁, 곽진언, 이준희, 브라이언 박은 패자 부활로 추가 합격되었는데 여기에 대해서 그다지 이견이 없다는 점이다.

 

사실 임도혁이나 곽진언이 11 미션에서 상대방에게 졌다고 해도 그들이 톱10에 합류하지 못할 것이라 여기는 이들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어쩌면 이번 톱11에서 가장 주목받는 출연자가 바로 그들이기 때문이다. 김필과 임도혁 그리고 곽진언이 벗님들이라는 팀명으로 부른 당신만이는 올해 <슈퍼스타K6>가 발굴해낸 최고의 음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장우람은 보컬 선생님으로 최고의 기량을 갖춘 출연자다. 그러니 김필과 곽진언이 그리고 임도혁과 장우람이 콜라보 미션으로 당락을 가른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슈퍼스타K6>의 패자부활을 두고 말들이 쏟아져 나오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기껏 떨어질 것처럼 출연자들을 낙심하게 만들었다가 다시 부활시키는 건 자칫 이 오디션 프로그램의 긴장감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 편으로는 출연자들을 너무 괴롭히는 인상을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방송을 중심으로 놓고 보면 패자부활이 단점만 있는 건 아니다.

 

오디션 프로그램의 과정은 그 자체가 출연자들의 히스토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즉 허각은 우승자가 될 때까지 무수히 떨어지고 패자부활하는 것을 반복했고, 그 과정에서 존박과의 우정을 보여주면서 그만의 특별한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또 버스커버스커는 톱10에서 떨어졌다가 예리밴드가 톱10을 포기함으로써 보결로 들어와 톱2에 오르는 오뚜기 같은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즉 프로그램의 묘미로 보거나 출연자들을 계속 긴장하게 만들어 최고의 기량을 뽑아내게 하는 방식으로도 패자부활은 충분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특히 요즘처럼 콜라보 미션이 오디션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는 상황에서 패자부활이라는 방식은 유용할 수밖에 없다. 즉 곽진언과 김필이 부른 들국화의 걱정말아요 그대는 순식간에 음원차트 1위에 오를 정도로 최고의 무대와 화제를 쏟아냈다. 곽진언과 김필 그리고 임도혁이 부른 당신만이는 지금도 여전히 그 감동의 여운을 남길 정도로 그 무대가 대중들에 의해 회자된다. 이런 완벽한 무대를 만든 그들 중 어느 하나를 어떻게 떨어뜨릴 수 있을 것인가.

 

콜라보 미션이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가장 주목받는 아이템이 됐다는 건 경쟁의 서바이벌 속에서도 음악으로 하나 되는 모습이 오히려 대중들에게 더 깊은 감흥을 준다는 걸 말해준다. 오디션은 누군가를 떨어뜨리고 자신은 올라가야 하는 생존경쟁의 장이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대중들은 그 경쟁을 무화시키는 콜라보의 현장에 더 큰 감동을 받게 된다. 이것은 누가 이기느냐가 아니라 누가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가에 더 집중하려는 대중들의 정서를 반영한다.

 

패자부활은 물론 오디션의 경쟁적인 분위기를 깨는 필요악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당락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쨌든 그 과정을 통해 완벽한 콜라보의 감동을 전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패자부활로 톱11에 들어간 임도혁, 곽진언, 이준희, 브라이언 박에 대중들이 고개를 끄덕이는 건 그래서다. 당연히 들어갈 만한 실력을 갖춘 그들이 앞으로 보여줄 또 다른 완벽한 무대를 대중들은 기대한다.

 

‘내 생애 봄날’ 수영이 제시한 소녀시대 롱런 해법

 

제시카의 탈퇴로 소녀시대는 우울하지만, 수영은 봄날을 맞은 것 같다. 그녀가 출연하고 있는 MBC <내 생애 봄날>은 그녀에게 확실한 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별 기대 없이 봤던 시청자들도 수영의 연기에 적잖이 놀라는 분위기다.

 

'내 생애 봄날(사진출처:MBC)'

실제로 수영의 연기는 <내 생애 봄날>의 이봄이라는 캐릭터에 거의 녹아들어 있다. 거기에는 캐릭터와 수영의 실제 성격이 잘 맞아 떨어지는 부분도 있지만, 그동안 연기를 위한 보이지 않는 남다른 노력이 있었을 것이란 걸 드라마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멜로드라마에서의 연기가 힘든 것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과의 감정 선을 함께 맞춰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즉 처음에 만나 차츰 관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캐릭터들의 심리변화를 통해 보여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보면 수영과 감우성의 밀고 당기는 케미는 분명 보는 이들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럽다.

 

물론 이렇게 된 것은 상대역인 감우성의 공이 크다. 감우성은 특유의 힘 빼는 연기<내 생애 봄날>이라는 드라마 전체를 지극히 현실적으로 만드는 힘을 발휘한다. 과장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만큼 편안하기 때문에 주변 인물들조차 그 편안함 속에서 실제 같은 연기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수영이 거기에 녹아들 수 있다는 것은 그만한 준비가 되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수영은 이번 연기를 통해 자신의 길을 확실히 찾아낸 것 같다.

 

최근 제시카의 탈퇴 혹은 방출이야기로 소녀시대는 우울하다. 하지만 엄밀하게 얘기하면 이것은 하나의 성장통으로 봐야 한다. 대중들은 소녀시대가 영원한 소녀시대로 남겨지길 바라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바람이다. 즉 소녀들은 성장하고 저마다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것이 당연한 순리다. 다만 그 과정과 절차가 상처를 덜 주고 더 주는 것의 차이를 남길 뿐이다.

 

제시카는 소녀시대에서 분명 자신의 역할을 했지만 그것이 온전히 자기 혼자만의 영역을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소녀시대의 그 어떤 멤버들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최근 태연이 <히든싱어3>에서 2회전에 소녀시대의 (gee)’를 부르고 탈락하는 이변을 낳은 것은 역시 소녀시대는 전체가 함께 모여야 완전체가 된다는 걸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아마도 그렇기 때문에 제시카가 소녀시대와 분리되는 것에 대해 팬들의 우려가 생기는 것일 게다. 즉 개인의 성장과 꿈은 저마다 커질 수밖에 없는 일이지만 탈퇴나 방출 같은 극단적인 선택이 아니라 소녀시대라는 완전체를 유지해가면서 그것을 해나갈 수 있게 소속사가 어떤 배려나 대비책을 마련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아쉬움이 남아도 영원히 9명의 멤버가 똑같이 같은 길을 걸어간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니 소녀시대에 공식적으로 남았건 아니건 큰 틀에서는 제시카의 선택도 어느 정도는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

 

이제 남은 문제는 앞으로 소녀시대를 어떻게 유지해나갈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 해법으로서 수영이 <내 생애 봄날>에서 보여주는 호연은 괜찮은 답이 아닐까 싶다. 써니가 <룸메이트>에 출연해 특유의 예능감을 보여주고, 태티서가 소녀시대의 새로운 유닛으로 신보를 발표하는 등의 모습은 이제 앞으로 소녀시대의 활동이 모두가 함께하는 것만큼 각자 자신들의 활동영역을 넓혀가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걸 미루어 짐작하게 한다.

 

따로 또 같이면 어떠랴. 수영이 <내 생애 봄날>에서 드디어 자신의 영역으로서 연기의 세계에 발을 내딛고 괜찮은 성취를 보여주는 모습은 그래서 우울한 소녀시대에 따뜻한 봄날의 위로를 안겨준다. 시간이 지나면 상처는 아물 것이고, 그 상처는 그녀들을 더 성장시킬 것이다. 소녀시대라는 틀에만 자꾸 머물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찾아나가며 그 틀을 유지하는 것. 이것이 향후 소녀시대라는 걸 그룹이 롱런하는 길이 아닐까.

 

아이유로 선 공개된 서태지 소격동’, 그 반응은?

 

서태지의 소격동프로젝트가 아이유의 목소리로 선 공개됐다. 노래가 아니라 다른 것들로 계속 이슈가 됐던 서태지인지라, 음악에 대한 관심은 더 뜨거울 수밖에 없다. ‘어디 노래는 얼마나 괜찮은지 들어보자는 조금은 뒤틀린 심사에, 그래도 서태지니 기대된다는 기대감이 얹어져 반응도 양 갈래로 나뉜다.

 

'소격동 프로젝트(사진출처:서태지 컴퍼니)'

그렇다면 아이유가 부른 소격동은 어떨까. 먼저 늘 새로운 장르로 신선한 충격을 안겨줘 왔던 서태지라는 존재감만큼의 특별한 새로움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일렉트로닉 사운드에 조용히 읊조리듯 부르는 발라드는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지 모르지만 팝에서는 이미 여러 가수들에 의해 시도됐던 것들이다.

 

하지만 그런 장르적인 것을 떠나서 음악 자체로만 들어보면 소격동이라는 노래가 담고 있는 독특한 정서 같은 것이 느껴진다. 거기에는 서태지가 예전에 불렀던 발라드들의 목소리가 떠오르는 향수와 추억이 만져진다. 그러면서도 과거에 묻혀진다기보다는 지금 현재의 트렌디하고 세련된 날카로움이 묻어난다.

 

무엇보다 아이유가 먼저 소격동프로젝트의 문을 연 것은 탁월한 선택이라 여겨진다. 7,80년대의 음악을 불러도 전혀 이물감이 없을 정도로 아날로그 감성을 자기 식으로 잘 풀어내는 아이유가 아닌가. 아이유가 부르는 소격동은 그래서 마치 이미 예전에 서태지가 불렀던 노래를 다시 부르는 듯한 편안함마저 느껴진다.

 

아이유 특유의 따뜻한 목소리는 심지어 일렉트로닉이 가진 차가움마저 부드럽고 따스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이 부조화는 그래서 소격동이라는 곡이 가진 이중적인 특징을 균형 있게 잡아준다. 그 이중적인 특징이란 가벼운 발라드 감성처럼 느껴지면서도 소격동이라는 공간이 주는 시대적 정조가 주는 무거운 비감이 뒤섞여 있는 데서 나온다.

 

벌써부터 인터넷에는 이 곡의 가사를 거꾸로 들어보면 전혀 다른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즉 앞에서부터 들으면 마치 연인이 옛 추억을 되밟는 듯한 아련한 그리움이 느껴지지만, 뒤에서부터 가사를 되짚어보면 과거 소격동에서 벌어진 어떤 사건(?)에 대한 시대적 정조를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음악적 감성이라는 것은 어느 정도의 향수와 추억을 담아내기 마련이다. 그래서 현재에 되돌아보는 과거란 심지어 시대적 아픔마저도 하나의 그리움처럼 아련하게 느껴질 수 있다. 마치 영화 <써니>에서 시위대가 광장에서 전경들과 부딪치는 80년대의 최루탄 뽀얀 풍경 위에 조이(Joy)터치 바이 터치(Touch by Touch)’가 흐를 수 있는 것처럼.

 

소격동이라는 결과물을 두고 보면 그것이 과거 서태지가 해왔던 파격적인 혁신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지 몰라도, 듣기 좋으면서도 정서를 건드리는 꽤 괜찮은 성취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즉 잘못된 홍보 마케팅으로 신곡에 대한 괜한 호들갑이 만들어낸 논란 같은 것이 없었다면, 노래의 발표만으로도 충분히 역시 서태지라는 소리를 들을 법한 곡이라는 점이다.

 

하지만 괜한 예능 단독 출연 사실로 만들어진 서태지에 대한 논란들은 여전히 남아 있다. 게다가 아직 서태지가 부르는 소격동은 발표되지도 않았다. 과연 반전은 일어날 수 있을까. 영화 <명량>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 있다면이라는 말처럼, 서태지는 과연 시끄러운 논란마저 긍정적인 화제로 바꿔낼 수 있을까. 시선은 이제 서태지가 부르는 소격동에 집중되고 있다.

 

제시카의 소녀시대 탈퇴가 말해주는 것

 

다가오는 공식 스케줄을 기대하며 준비하고 있었으나, 회사와 8명으로부터 오늘 부로 저는 더 이상 소녀시대의 멤버가 아니다라는 통보를 받았다. 저는 소녀시대 활동을 우선시하며 적극적으로 전념하고 있는데, 정당치 않은 이유로 이런 통보를 받아서 매우 당혹스럽다.”

 

'소녀시대(사진출처:SM엔터테인먼트)'

소녀시대 제시카가 SNS에 남긴 짤막한 글은 대중들에게는 너무나 갑작스런 일로 다가왔다. 그만큼 의혹도 클 수밖에 없었다. 탈퇴냐 방출이냐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었고, 그녀의 연인으로 알려진 타일러 권이라는 이름이 인터넷 검색어 순위에 하루 종일 랭크되었다.

 

이유에 대한 분석이 쏟아져 나왔다. 제시카가 타일러 권과 사업적으로도 얽혀 있어 소녀시대의 단체 스케줄과 마찰을 일으켰다는 얘기도 나왔고, 그런 사업이 소녀시대 전체의 이미지를 도용하는 듯한 뉘앙스에 대한 불편함도 제기되었다. 제시카의 글에는 일방적인 통보의 뉘앙스가 들어 있지만, 이전부터 제시카의 단독 행보에 쌓인 문제가 터진 것이라고 SM측은 밝혔다.

 

탈퇴인지 방출인지, 그게 어느 것이든 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는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런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제시카 탈퇴 혹은 방출 같은 사안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소녀시대는 그 이름에 걸맞게 우리네 걸 그룹의 대명사처럼 된 존재들이다. ‘소녀들이 가진 그 풋풋함과 활력 하나만으로도 이미 대중들의 마음에 들어왔던 그녀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소녀라는 아이콘은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녀시대라는 걸 그룹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된 것도 사실이다. 그녀들은 어느새 성장했고 누군가를 만나 연애를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나이가 됐다.

 

윤아, 수영, 티파니에 이어 태연 그리고 이제는 제시카까지. 소녀시대가 연애시대가 됐다는 건 이제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게 됐다. 그 나이에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건 그 자체가 오히려 이상한 일일 것이다.

 

게다가 이번 제시카의 일로 또 하나 상기되는 건 이제 이 소녀들이 사업을 꿈꿀 만큼 훌쩍 자라나 있다는 점이다. 걸 그룹으로서 음악 활동에만 집중하던 소녀시대가 이제는 제각각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그녀들이 이제 더 이상 우리가 그간 생각해왔던 그 어린 소녀가 아니라는 걸 의미한다.

 

물론 8인의 소녀시대는 앞으로도 계속 활동할 것이다. 제시카 역시 단독으로 충분히 음악활동을 할 수 있는 가수다. 팬들 역시 변함없는 애정을 보여줄 것이다. 그들의 말대로 소녀시대는 영원한 소녀시대니까.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녀들이 점점 여인으로 성장해가고 그 성장한 만큼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줄 것이란 점에서 소녀시대는 이미 한 시대를 떠나보내고 있다고 여겨진다. 제시카의 탈퇴 혹은 방출은 이제 이 소녀시대라는 한 틀로서만 보이던 멤버들이 각각 한 사람씩의 존재로 분리되어가는 현 과정을 드러낸다. 성장과 독립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물론 팬들로서는 아픈 일이기도 하지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