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이제훈부터 서인국까지, 주인공으로 본 새 드라마 빛과 그림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10. 6. 10:07
뭘 봐야할지 모르겠다면.. 쏟아진 신작들 매력 포인트 총정리한꺼번에 드라마들이 너무 많이 쏟아져 나왔다. 월화에 JTBC , SBS , MBC 가 수목에 SBS , MBC 에 이어 tvN 이 경쟁에 합류했다. 너무 많아 어떤 걸 봐야할지 고민스러운 분들을 위해 각 드라마들의 중요 캐릭터와 그 장단점들을 정리했다.◆ 이제훈의 , 그 평범과 비범 사이월화극의 최강자가 된 건 놀랍게도 tvN 이다. 무려 9.2%(닐슨 코리아) 시청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비지상파의 이런 선전에 그간 주춤했던 지상파들도 일제히 전열을 가다듬고 이 전장에 뛰어들었다. SBS 은 첫 회 5.9%로 시작해 4회 만에 8.6%를 찍을 만큼 그 관심의 상승곡선이 가파르다. 이 작품의 가장 큰 매력은 이수연(이제훈)이라는 미스터리한 ‘무쇠..
-
한 장의 사진 통해 본 '미션' 김은숙 작가의 놀라운 성취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10. 1. 09:42
‘미션’이 담아낸 의병, 개화기, 여성, 멜로, 글로벌 콘텐츠tvN 드라마 은 추석특집으로 드라마를 감독판으로 재구성해 방송하면서 ‘Gun, Glory, Sad ending’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이 부제들은 어찌 보면 김은숙 작가가 그간 멜로 장인으로 불리며 그려왔던 작품들과 비교해 이 작품이 얼마나 도전적이었는가를 잘 드러내준다. ‘총과 영광 그리고 새드엔딩’은 김은숙 작가가 을 통해 확장시킨 자신의 세계를 압축해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이 가진 가장 큰 성과라면 먼저 역사교과서에 박제된 사진 정도로 남아있던 ‘의병’이란 존재들을 살아 움직이는 인물들로 재조명했다는 점이다. 우리는 역사교과서에서 한번쯤 봤던 의병의 사진을 기억한다. 1907년 경기도 양평에서 영국기자의 요청에 의해 찍었다는 ..
-
'알쓸신잡3', 어째서 유시민·김영하의 독무대가 됐을까옛글들/명랑TV 2018. 9. 30. 09:54
‘알쓸신잡3’, 소피스트도 울고 갈 이야기꾼 유시민과 김영하“정치적 삶(공동체의 삶)은 오직 말과 행동으로 이뤄진다. 말을 통해서 공공의 삶에 개입할 수 있다.” tvN 에서 앞서나가던 그리스가 왜 기독교 문화가 들어오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는가를 묻는 질문에 김영하는 한나 아렌트의 그 말을 꺼내놓는다. 기독교적 세계관은 말과 정치의 참여를 죄의 근원으로 보고 ‘관조’를 중시하게 만들었다는 것. 공적인 삶이 아니라 사적인 삶으로서 기도하고 관조하는 삶을 강조함으로써 결국은 권력자들에게 유리한 시스템이 되었다는 것이다.그 말을 듣던 유시민은 당시 공공교육이 전혀 존재하지 않던 그리스에서 사설교육을 담당하던 소피스트들이 부당하게 폄하된 면이 있다고 했다. 말하고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했던 당대 그리스의 민주..
-
'내 뒤에 테리우스', 소지섭이라 가능한 요원과 시터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9. 29. 09:41
‘내 뒤에 테리우스’ 소지섭, 육아도 사랑도 첩보도 다 잡을 수 있을까제이슨 본이 시터가 됐다? MBC 새 수목드라마 의 발칙한 상상은 아마도 여기서 시작되지 않았을까. 아이를 돌보고 키우는 일이 국정원의 첩보보다도 더 힘들다고 말하는 는 그 이야기 자체가 빵 터지는 풍자다. 아마도 살림하고 육아하는 주부들이라면(남녀를 막론하고) 한참을 웃으며 공감했을 그런 이야기.코미디를 밑바탕에 깔고 있는 첩보물은 이미 나 같은 영화를 통해 시도된 바 있다. 거기에는 평범한 인물들이 어느 날 중대한 국제적 사안 속에서 벌어지는 첩보전에 투입되어 엄청난 활약을 하게 되는 이야기가 주로 다뤄졌다. 하지만 는 정반대다. 전직 NIS 블랙요원으로 활약하던 김본(소지섭)이, 남편이 죽어 일과 육아전쟁을 홀로 마주하게 된 고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