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1988>, 이 소소한 가족의 이야기에 끌리는 까닭

 

1988년은 역시 88올림픽이 떠오르는 해다. 그러니 <응답하라1988>의 첫 회 부제인 손에 손잡고가 떠올리는 것 역시 당시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울려 퍼지던 코리아나의 그 노래다. 하지만 <응답하라1988>88올림픽이라는 시대적 이벤트보다 주목하는 건 쌍문동 골목에서 소소하게 살아가는 가족들의 이야기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물론 덕선(혜리)이 올림픽 피켓걸로 뽑혀 마다가스카르 피켓을 들기로 되어 있었지만 해당국이 불참하는 바람에 빠지는 줄 알았다가 운 좋게도 우간다 피켓을 들게 된 사연은 88올림픽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이야기다. 하지만 그 이야기보다 더 중요한 건 그런 덕선의 사정을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듯한 가족에 대한 그녀의 서운한 마음이다.

 

그녀는 늘 자기는 별로 챙기지 않는 듯한 가족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고 그런 서운함을 알게된 아버지 성동일은 따로 그녀를 불러내 다독인다. 사실 대단할 것도 없는 사건이다. 하지만 가장 모든 걸 다 알 것 같은 가족이 사실은 더 잘 모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에 손잡고걸어 나가는 것이 가족이라고 말하는 이 드라마는 그 소소함이 오히려 따뜻한 느낌을 준다.

 

말이 없어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없는 아들 때문에 속이 상한 라미란이 아들에게 얘기를 해달라고 말하고 어색하게 안아주는 장면도 그렇고, 믿고 있던 아들의 방에서 담배갑이 나와 충격을 먹은 쌍문동 엄친아 선우 엄마가 먼저 간 아빠의 부재를 얘기하는 장면도 그렇다.

 

대단하거나 충격적인 사건 따위는 없지만 가족 간의 그 소소한 이야기가 의외로 먹먹한 느낌으로 다가오는 건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지지고 볶는 삶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가족의 삶이기 때문이 아닐까. 저녁 때가 되면 서로 서로 반찬을 갖다 주고 나눠주는 이웃의 풍경도 그렇고, 골목 한 켠에 놓여진 평상에서 아줌마들이 함께 콩나물을 다듬거나 만두를 빚는 풍경도 그렇다.

 

그래봐야 골목에서 나누는 수다에 불과할 수 있지만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이웃 간의 불미스런 사건까지 벌어지는 요즘과 비교해보면 그 장면이 주는 정감은 그 무엇보다 강하게 다가온다. 결국 복고란 현재의 결핍을 채워주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응답하라1988>이 우리에게 감성적으로 전해주는 건 바로 현재에는 사라져버린 가족과 이웃 사이의 훈훈한 정 같은 것이 아닐까.

 

최근 드라마들은 한없이 독해져 있다. 심지어 가족 간에도 음모가 난무하고 서로가 서로를 위해하며 복수한다. 그래서 막장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나오기도 한다. 이렇게 살벌해진 드라마들 틈바구니에서 <응답하라1988>의 이 소소함은 너무나 가녀리게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드라마의 소소함이 더욱 빛나는 것일 게다. 조금은 촌스럽고 심지어는 별 일이 하나도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덤덤하지만 그래서 그 안에서 오히려 발견하게 되는 진정한 가족의 풍경을 발견할 수 있으니.



왜 나영석 PD처럼 신원호 PD도 내려놨다 말하는 걸까

 

솔직히 <응답하라 1994>보다 잘 될 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응답하라1988>의 기자간담회에서 신원호 PD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심지어 그는 두 번째까지 잘 되다가 세 번째 폭망하는 현상이 재밌을 것이다. 망할 거란 생각이 나도 든다. 이번 시리즈의 성공을 장담하지 않고, 기대도 하지 않는다.”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왜 망한다고 말할까. 여기서 떠오르는 인물과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나영석 PD<삼시세끼>. <삼시세끼>에 대해서 나영석 PD는 방영 전 만난 필자에게 이번에는 진짜 망한 것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 망했다는 얘기는 실제 방송에서도 여러 차례 나오기도 했
. 이서진이 그랬고 게스트로 온 윤여정이 그랬다. 하지만 결과는 어땠나. <삼시세끼>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그렇다면 이런 놀라운 성공을 거둔 프로그램에 왜 그들은 망했다고 말하는 걸까. 그것은 통상적인 프로그램의 룰에서 보면 자신들의 시도가 망할 수 있는 요건들을 갖추고 있다는 표현이다. 이를테면 시골에서 시커먼 남자 둘이 농작물을 키우고 밥을 해먹는 아이템은 사실 기존 예능의 불문율로 보면 해서는 안되는 아이템이라는 점이다. 그러니 그 공식 안에서는 망했다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어디 새로운 작품이 공식 안에서 만들어질까. 결국은 공식 바깥으로 나왔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보면 이번 신원호 PD망할 것이라는 말이 오히려 기대를 갖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 말은 이미 <응답하라> 시리즈의 연속 성공으로 한껏 올라 있는 기대감을 눌러 놓는 것이면서 또한 그런 기대감 때문에 오버하지 않는다는 자기 결심이기도 하다. 성공을 위해 시청률을 만들어낼 법한 코드들을 따라가기보다는 오히려 더 담담하게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건네겠다는 것이다.

 

<응답하라 1988>은 제목에서 묻어나듯 1988년을 시대상으로 다룬다. 물론 시대는 배경일 뿐이고 그 시대의 공기가 제공하는 가족적인 이웃의 이야기가 진짜 알맹이다. <한 지붕 세 가족>2015년 판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86년부터 94년까지 방영된 <한 지붕 세 가족>은 지금에는 찾아보기가 힘든 골목을 사이에 두고 있는 다세대주택의 이웃사촌들이 엮어가는 정이 넘치는 드라마였다. <한 지붕 세 가족>이 방영되던 그 중간지점으로서의 1988년을 신원호 PD가 굳이 소환한 건 당대가 그나마 이러한 이웃 간의 가족이야기가 가능한 시점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2015년에 1988년 이웃사촌들의 이야기는 어딘지 생뚱맞아 보일 수 있다. 세련됨과는 정반대로 가는 것이고 지금의 개인화된 도회적 삶과도 한참 동떨어진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이 맨땅의 헤딩같은 시도에 신원호 PD가 스스로 폭망이라는 표현까지 쓰는 것일 게다. 하지만 바로 그 점이 어쩌면 우리가 <응답하라> 시리즈에 바라는 것일 수 있다. TV만 틀면 쏟아져 나오는 다 비슷해 보이는 코드화된 자극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담담해도 우리의 감성을 적셔줄 수 있는 그런 이야기.

 

물론 시청률은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는 일이다. 하지만 시청률을 떠나서 1988년을 중심으로 한 80년대의 가족적인 이야기들과 당대를 단박에 회고시키는 음악들이 벌써부터 기대된다. 과연 망했다고 했던 <삼시세끼>처럼 <응답하라 1988>도 의외의 지점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을까. 아마도.



나영석 PD가 끌어주고 신원호 PD가 밀어주면

 

이제 일주일 남았다. <응답하라 1988>의 첫 방송. 아마도 <응답하라> 시리즈를 못내 기다려왔던 팬들이라면 이 일주일이 길게도 느껴질 법 하다. 그도 그럴 것이 <응답하라 1997>이 성공하고 시즌2는 나오지 않을 것처럼 얘기했던 신원호 PD였다. 하지만 <응답하라 1994>가 나왔고 그것 역시 성공하자 분위기는 <응답하라> 시리즈가 이제 계속해서 나올 것만 같은 쪽으로 흘러갔다.

 


'응답하라1988(사진출처:tvN)'

하지만 거기서도 신원호 PD는 선을 그었다. 할 것인지 말 것인지 무성한 소문만 돌뿐 구체적인 계획은 계속 미뤄졌다. 그러다가 2년여가 지나서야 <응답하라 1988>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그러니 <응답하라>의 팬들 입장에서는 기다림이 길고도 긴만큼 기대감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응답하라 1988>은 이러한 기다림과 기대감만큼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을까.

 

촬영 때문에 도무지 시간을 낼 수 없는 신원호 PD인지라, 총괄기획을 맡고 있는 이명한 본부장에게 슬쩍 <응답하라 1988>에 대해 물었다. 주저 없이 대본이 잘 빠졌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그렇다면 기대할만한 얘기였다. 신원호 PD만큼 꼼꼼하게 연출을 해내는 감독도 많지 않으니 말이다.

 

<응답하라 1988>은 가족에 대한 이야기라고 한다. 이 드라마의 소개에는 쌍팔년도 쌍문동, 한 골목 다섯 가족의 왁자지껄 코믹 가족극이라고 짤막하게 적혀 있다. 가족극이라고 하면 한 가족의 이야기를 담는 것 정도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한 골목 다섯 가족이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이건 지금에는 볼 수 없는 풍경이다. 과거에는 골목을 사이에 두고 이웃들까지 큰 범주로서 가족 같은 관계가 있었지만 지금은 층간소음으로 불미스런 일까지 벌어지는 아파트촌의 삶이 우리네 현실이 되어 있다. 그러니 이 코믹하고 왁자지껄한 가족극의 이야기는 의외의 향수와 따뜻함이 우리의 마음을 푸근하게 해주지 않을까.

 

흥미로운 건 <응답하라 1988><삼시세끼> 어촌편과 앞뒤로 편성되어 또 얼마나 큰 시너지를 낼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다. 이미 신원호 나영석의 이 라인업은 2년 전 <응답하라 1994><꽃보다 누나>의 연속 편성에서 폭발적인 힘을 발휘한 바 있다. 당시 <꽃보다 누나>는 첫 회에 9% 시청률(닐슨 코리아)을 넘겼고 첫 회 2%를 간단히 넘기는 것으로 시작해 최고 1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한 바 있다.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격. 이명한 본부장은 이 나영석 신원호 라인업을 통해 올 한 해 tvN의 다양한 성과들을 잘 마무리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나영석과 신원호가 이른바 블록버스터들을 전면에서 성공시켜나가고, 주중의 레귤러 프로그램으로 자리를 잡은 <집밥 백선생>이나 <수요미식회> 같은 허리를 받쳐주는 프로그램들이 포진했으며, 여기에 <오 나의 귀신님>이나 <두 번째 스무 살> 같은 tvN표 드라마들까지 선전했으니 올해 tvN의 수확은 대단했다고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 그 중심에 서 있는 인물들이 나영석 PD와 신원호 PD. 다음 주로 예정된 이들의 콜라보레이션은 그래서 마치 올 한 해 tvN의 성취를 표징하는 사건처럼 보인다. 이들은 또다시 믿고 보는 PD로서의 성공담을 들려줄 것인가. 다음 주가 몹시도 기대되는 시점이다



<더 폰>, SF 스릴러가 이렇게 토착적인 느낌을 주는 까닭

 

우리에게 SF 스릴러는 어딘지 할리우드 영화에서나 어울리는 어떤 것처럼 여겨지는 면이 있다. 그만큼 많이 시도되지도 않았고 시도됐다고 해도 할리우드를 따라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게 다반사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 <더 폰>은 적어도 이런 전형적인 궤도에서는 벗어나 있다. 꽤 촘촘히 짜여진 구성으로 SF와 스릴러가 잘 엮어져 있는데다가 시간을 중첩시키는 편집도 괜찮다.

 


사진출처:영화<더 폰>

하지만 무엇보다 <더 폰>의 성취라고 한다면 SF 스릴러라는 낯선 장르가 꽤 토착적인 느낌을 준다는 것이다. 청계천과 종로 뒷골목에서 추격전이 벌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 아니고 거기에는 우리네 정서를 자극하는 범죄물의 코드들이 담겨져 있고 무엇보다 가족이라는 끈끈함이 그 바탕에 깔려 있다. 이런 토착적인 느낌은 이 영화에 대한 몰입을 높여준다.

 

<더 폰>의 설정은 그리 새로운 건 아니다. 해외의 SF 스릴러물이나 국내의 웹툰 등에서 종종 봐왔던 시간의 중첩(과거와 현재가 연결되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적인 장치다. 1년 전 살해당한 아내 연수(엄지원)에게 1년 후 전화가 오면서 그 남편 고동호(손현주)가 과거를 되돌려 현재를 바꾸려고 뛰고 또 뛰는 것. 이렇게 한 줄로 설명하면 어딘가 뻔해 보이지만 실제 영화는 훨씬 더 긴박감이 넘친다. 게다가 이 첫 번째 SF 설정은 이야기가 진전되어가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변주하며 반전에 반전을 일으킨다.

 

과거의 결과가 바로 현재에 변화를 준다는 점에서 그 교차 편집은 이 영화가 가진 스릴러의 긴박감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즉 과거의 일들이 벌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현재 어떤 일들을 해야할 것인가 하는 점과, 과거의 일로 인해 현재 겪게될 것들을 어떻게 미연에 방지해낼 것인가 하는 점들이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교차편집을 통해 효과적으로 중첩되어 있다는 점이다. 클라이맥스의 액션 역시 과거와 현재가 겹쳐지며 벌어진다는 점에서 그 효과도 두 배로 다가온다.

 

하지만 이런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는 스릴러 요소들보다 더 강력한 힘을 만드는 건 부부인 연수와 고동호가 전화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어떻게든 복원해내려고 하는 가족이라는 틀이다. 이들은 1년 이라는 시간으로 떨어져 있지만 서로를 도우며 자신을 대신 희생하려고까지 한다. 그러면서 차츰 깨닫는 건 평상 시 자신이 소홀해왔던 가족의 소중함이다.

 

<더 폰>이라는 한국형 SF 스릴러를 이처럼 토착적인 느낌으로 만들어내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연기자는 단연 손현주다. 이미 드라마 <추적자>를 통해 가족을 위해 뛰고 또 뛰는 가장연기로 한국의 리암 니슨이라는 별칭을 얻은 그가 아닌가. 평범했던 가장이 점점 사건 속으로 깊숙이 뛰어들어 살인자와 대적해가는 과정은 손현주라는 배우에 의해 훨씬 더 현실적인 느낌으로 그려졌다.

 

사실 SF와 스릴러가 연결되어 있는 것도 이색적이지만 거기에 한국형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도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이 그저 무리한 장르의 퓨전만이 아니고 꽤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고 그것이 효과적인 시너지를 내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그 중심에는 역시 손현주라는 믿고 보는 배우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