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결사곡' 김보연의 소름 돋는 광기, 상상초월 전개 시작되나 '결사곡', 역시 임성한 작가.. 결국 드러낸 자극적 본색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였나. TV조선 토일드라마 이 드디어 본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임성한 작가 특유의 '갑자기 사망'이 4회 만에 등장했다. 극장에서 갑자기 가슴을 부여잡고 도움을 요청하는 신기림(노주현)을 아내 김동미(김보연)가 모른 척 내버려둬 사망하게 만드는 장면이 엔딩에 등장하면서다. 그 한 장면은 평이한 가족드라마처럼 보였던 전개를 순식간에 호러물로 바꿔 놨다. 너무나 살뜰하게 신기림을 챙기는 것처럼 보였으나 사실 김동미에게 다른 속내가 있었다는 게 드러나는 장면이었다. 죽어가는 남편을 방치한 채, 웃는 듯한 표정으로 눈물을 흘리는 김동미의 광기어린 모습은 소름 돋는 끔찍함을 드러냈다. 이어진 예고편에서는 신기림의 장례식과 더불어 김.. 더보기 '펀치'와 '강남1970', 김래원의 특별함은 뭘까 김래원, 절제와 광기의 절묘한 조화 2006년 개봉했던 라는 영화 속에서 김래원의 가능성이 발견되었다면, 최근 드라마 와 영화 에서의 그는 그 가능성을 최대치로 끄집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과거 그에게서 발견됐던 것은 ‘광기’와 ‘감성’을 공유한 배우였다. 그는 한없이 순진무구해 심지어는 바보처럼 보이는 얼굴이었다가 어느 순간 악마 같은 광기를 폭발해내는 얼굴로 돌변할 때 그 에너지를 드러낼 줄 아는 배우였다. 에서의 김래원은 그 다소 단조롭던 두 가지 얼굴이 여러 개로 변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이태준(조재현)을 검찰총장으로 만들어내는 박정환은 욕망에 충실했던 인물이었다. 그는 이태준의 충실한 개가 되어 검사로서 해서는 안 되는 일까지 하는 냉혈한이었다. 그랬던 그가 시한부 인생 판정을 받고 그 와.. 더보기 '제보자'가 우리에게 그토록 제보하고 싶었던 것 , 왜 모두가 아는 얘기를 영화로 만들었나 사실 의 이야기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다. 줄기세포 연구로 난치병 질환을 가진 이들의 희망이 되어버린 이장환 박사(이경영), 하지만 그것이 완전히 조작되었음을 제보하는 그와 함께 줄기세포 연구를 해온 심민호 팀장(유연석), 그리고 그 제보를 받아 진실을 파헤치는 의 윤민철 PD(박해일). 이 영화는 누가 봐도 이름만 바꿔 놓았을 뿐, 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황우석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영화는 일찌감치 윤민철 PD의 입을 통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진실이 우선이냐 국익이 우선이냐”고. 그러자 돌아오는 답변이 기막히다. “진실이 국익”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 말 한 마디로 윤민철 PD는 온 나라가 열광하는 이장환 박사의 숨겨진 진.. 더보기 '비밀의 문', 한석규만 봐도 흥미로운 까닭 한석규의 왕 연기, 어떤 점이 달랐을까 확실히 믿고 보는 배우 한석규는 달랐다. 에서 욕하는 모습조차 인간미로 소화해낸 한석규 덕분에 우리는 지금까지 사극을 통해 봐왔던 왕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한글을 창제하고 배포한 세종의 그 격의 없는 왕의 모습에서는 저잣거리 백성들을 향하는 그 낮은 자세가 느껴졌다. 교과서 속에 박제되어 있던 세종은 그렇게 한석규를 통해 재해석됐고 비로소 살아있는 인물로 되살아났다. 그리고 돌아온 은 한석규의 영조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이다. 아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 왕의 면면이 평이할 리가 없다. 따라서 한석규가 해석해낸 영조는 자상한 면과 광기어린 면이 뒤섞여 있는 왕이다. 그 광기를 은 맹의라는 비밀문서를 통해 보여준다. 노론과의 결탁을 뜻하는 그 맹의에 수결함으로.. 더보기 ‘블랙스완’, 소름은 어떻게 전율이 되었나 ‘블랙스완’, 예술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느꼈어요. 저는 완벽했어요.” 니나(나탈리 포트만)가 무대 마지막에 이런 얘기를 건넬 때 아마도 대부분의 관객들도 똑같이 느꼈을 것이다. 그 완벽함에 대한 전율을. ‘블랙스완’. 발레를 소재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은 제목처럼 백조가 아닌 흑조를 다룬다. 그러니 발레라는 백조의 겉모습을 생각하고 극장문을 들어선 관객이라면, 그 충격적인 흑조의 모습을 발견하고는 경악을 금치 못할 지도 모른다. 휴먼드라마 같은 장르를 기대했다면, 심지어 공포에 가까운 파격적인 영상으로 주인공의 이상 심리를 포착한 이 작품을 과잉으로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예술의 겉면이 아니라 그 뒷면을 경험하거나 목도한 적이 있는 관객이라면 그 소름끼치게 충격적인 장면들에 두려움을 느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