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소
-
'감빵' 매력적 캐릭터·소박한 욕망, 신원호 주특기 나왔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2. 1. 09:31
신원호 PD의 마법, ‘감빵생활’이 주는 판타지라니도대체 이 따뜻함의 정체는 뭘까. tvN 수목드라마 을 보다보면 감방도 결국은 사람 사는 곳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교도소는 구치소와는 공기 자체가 다르다는 엄포에도 불구하고 제혁(박해수)이 지내게 된 감방 안 사람들은 의외로 따뜻하고 인간적이다. 감방에 처음 들어가게 된 제혁이 보게 되는 첫 번째 에피소드로 라면을 끓여먹는 이야기는 이들의 반전 매력을 드러낸다. 마치 탈옥이라도 할 것처럼 쉬쉬하며 무언가를 공모하던 이 감방사람들은 그러나 그것이 뜨끈한 물에 라면을 끓여먹으려는 ‘작전’이었다는 걸 보여주며 이들이 꿈꾸는 것들이 이런 소소한 것이 주는 행복이라는 걸 알려준다. 그 감방의 방장격인 장기수(최무성)는 겉보기에 무시무시한 포스를 풍기지..
-
'감빵생활', 박해수의 담담함이 주는 묘한 매력의 비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7. 11. 25. 11:38
‘감빵생활’, 힘겨운 상황에 대처하는 슬기로운 방법왜 하필이면 감방생활이었을까. 그리고 거기에 ‘슬기로운’이라는 수식어를 달아놓은 건 무슨 뜻이었을까. 시리즈로 우리에게 익숙한 신원호 PD의 작품 세계를 떠올려보면 tvN 수목드라마 은 이례적이다. 감방이라는 공간 자체가 어딘지 비일상적이고, 따뜻함보다는 차가움이 먼저 느껴지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런 이질감을 신원호 PD는 단 첫 회만에 지워버렸다. 슈퍼스타 프로야구 선수 제혁(박해수)이 동생을 성폭행하려는 괴한과 격투를 벌이다 중상을 입혀 구치소에 수감되고, 그 곳에서 보내는 며칠간의 이야기가 의외로 일상적이고 심지어 따뜻한 느낌마저 줬기 때문이다. 물론 교도소와 구치소는 다를 수 있겠지만 구치소라고 해도 우리가 막연히 상상하는 그런 곳은 아니라는 걸 보..
-
'그것이 알고 싶다' 1000회, 왜 조현아 논란을 재점화 했을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9. 7. 09:55
1000회 맞은 , 자축보다는 문제제기를 하다 1000회를 맞은 SBS 는 왜 조현아 대한항공 전 부사장의 구치소에서의 특혜를 집중 조명했을까. 1000회라고 하면 무언가 그간의 가 해왔던 일들과 그 성과들을 재조명할만한 일이었다. 하지만 는 그런 ‘기념 방송’을 하기보다는 지금 현재에도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불편부당한 일들을 알리는 것을 선택했다. 가 포착한 건 구치소에서 자행되고 있는 법 정의의 불공정. 누구나 들어서 막연히 알고 있을 만한 이른바 ‘범털’과 ‘개털’의 현실이다. 하지만 가 자세히 들여다 본 교도소 내 범털들의 수감 생활은 놀라운 각종 특혜들로 거의 수감생활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이른바 ‘집사 변호사’라고 불리는 이들이 하루에도 여러 차례 접견이라는 명목으로 불러내 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