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지함과 엄격함을 무너뜨리는 통쾌함, '라디오스타'

'라디오스타'(사진출처:MBC)

'라디오스타'는 게스트를 소개하는 방식부터 남다르다. 거기에는 약간의 깐족거림이 들어있다. '나는 가수다' 출신 가수들을 소개하면서 '나가수의 변방'이라고 부르고, "떨어진 자 김연우, 제 발로 나간 자 백지영, 매니저란 이름으로 날로 먹는 도대체 역할이 모호한 지상렬"로 지칭하는 식이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어딘지 상대방을 예우해주고 띄워주는 그런 토크쇼들과는 전혀 다른 노선을 '라디오스타'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특별한 토크쇼는 '황금어장'이 그러하듯이 게스트를 배려한다기보다는 시청자를 더 배려한다. 그래서 재미를 뽑아내기 위해서는 게스트와의 팽팽한 대결구도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때론 공격적으로 물어뜯기도 한다.

하지만 '라디오스타'의 이런 도발적인 자세는 절대로 게스트를 무시하거나 방송분량만을 쪽쪽 뽑아먹으려는 의도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전혀 다른 접근방식을 고수함으로써 지금껏 우리가 봐왔던 스타들의 다른 이면을 끄집어내는 게 목적이다. 그래서 그 다른 면모를 통해 거기서 우리는 그 스타의 인간적인 면을 발견하기도 한다.

그래서 김연우의 노래 부르는 모습만을 봐왔던 시청자들이라면 '라디오스타'에서의 모습을 보면서 오히려 친근하고 예능감이 넘치는 또 다른 김연우를 발견했을 것이다. 이미 김연우가 '나는 가수다'를 통해 말 그대로 잘 나가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얘기. 그렇다고 겸양을 떠는 건 '라디오 스타'의 방식이 아니다. 오히려 마구 자랑하고 드러내면서 그것을 경거망동 캐릭터로 만들어내는 게 '라디오 스타'의 방식이다.

몇 주 동안 '나는 가수다'를 기다리다 겨우 두 곡 부르고 하차한 김연우에게 윤종신은 "스케치북에 가도 두 곡 부르고 나온다"고 깐족대고, 김구라는 "보컬 트레이너로 유명한데 손님이 뚝 끊겼다"는 얘기를 꺼내고는 "저라도 등록할까요?"하고 장난을 친다. 그러자 기다렸다는 듯이 윤종신이 '타깃을 주부로 돌려 보세요"라고 말하면서 웃음이 빵 터지는 식이다. 얼굴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김연우를 두고 김구라가 '유남규 닮은 가수'라고 끄집어내면 그 옆에서 김희철이 탁구치는 모습을 흉내 내는 방식. '라디오스타'는 그 악동 같은 MC들의 면면이 빛날 때 웃음이 터지고, 그럴 때마다 게스트의 새로운 면면이 슬쩍슬쩍 드러난다.

이러면서도 이런 지나친 듯 보이는 장난이 허용되는 것은 게스트들의 준비된 마음 때문이기도 하다. 김연우는 아예 내놓고 경거망동 캐릭터로 자화자찬을 일삼는데, 이것은 MC들의 공격(?)과 잘 합이 어우러진다. 본인 스스로 '발라드신, 연우신'이라고 말하는 김연우는 MC들의 공격을 허용하는 셈이다.

물론 MC들이 공격만 하는 것은 아니다. 중간중간 스스로 자신을 무너뜨려 웃음을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정석원과 두 달 만났다는 백지영의 얘기에 김희철이 자신은 "세 달이면 이별"이라며 "오래 만났다"고 말한다거나, 백지영이 정석원을 '어버'로 부른다고 하자 윤종신이 자신이 그렇게 아내를 부르면 "진짜 업을 것"이라며 "와이프가 절 업어도 충분히 어울린다"고 말하는 식으로 자신을 무너뜨린다.

흥미로운 건 이 '라디오스타'의 한 없이 엉뚱하고 가벼운 이야기 주제들이다. '무릎팍 도사'가 어딘지 진지한 주제들을 갖고 인생을 이야기한다면 '라디오스타'는 너무 소소해 저게 과연 토크쇼에 어울릴까 생각되는 것들을 주제로 올린다. 김연우의 '털'이 화제로 오르고, "털 많은 사람이 정도 많다"는 지상렬의 엉뚱한 얘기에 "아 그러면 외국사람들은 다 정 많어?"하고 김구라가 받아치는 식으로 이야기는 한없이 가벼워진다. 그런데 희한한 것은 이렇게 진지함을 벗어날수록 묘한 쾌감이 느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대 위에서 그 카리스마 넘치는 김연우가 클럽 춤을 추고 합기도 유단자라는 이유로 전방낙법, 측방낙법, 발차기를 하는 대목에서 터져 나오는 웃음에는 '라디오스타'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웃음의 결이 느껴진다. 그것은 엄격함과 진지함을 무너뜨리는 통쾌함을 가진, 마치 서민들의 일상적인 격 없는 대화가 주는 즐거움이다. 여기에 '라디오스타'라는 정체성에 맞게 음악이 곁들여지면 금상첨화. 이것이 이 특별한 토크쇼가 사는 법이다.


'나가수', 무대를 내려오자 완성된 그들의 음악

'나는 가수다'(사진출처:MBC)

한 때 '재도전'이라는 말은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의 금기어(?)였다. 그만큼 엄정한 청중평가단의 결과에 대한 수용이 이 예능 프로그램에 요구하는 대중들의 정서였으니까.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그렇게 결과에 의해, 혹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하차한 '나가수'의 가수들이 더더욱 그리워지는 것은. 너무 빨리 '나가수' 무대를 내려와 미처 다 보여주지 못한 그들의 음악이 각종 음원차트를 통해 더 빛을 발하는 것은 그 때문일 게다.

정엽이, 김연우가 첫 탈락자가 됐을 때, 또 JK 김동욱이 공연 도중 좀더 '완벽한 노래'를 선보이기 위해 다시 노래를 불러 자진 하차를 결정했을 때, 음원차트는 어김없이 이들의 노래를 가장 꼭대기에 올려놓았다. 정엽이 부른 '잊을게'는 특유의 맺돌 창법을 대중들의 잔상 속에 남겨놓았고, 김연우가 부른 '나와 같다면'은 감성을 자극하던 미성과 절정의 테크니션을 환기시키며 그의 옛 앨범들까지 찾아듣게 만들었다. 한편 '조율'이란 곡을 재발견시킨 JK 김동욱의 울림 있는 목소리는 새삼 귀에 착착 감기는 그의 노래를 자꾸만 듣게 했다.

물론 '나가수'의 무대가 어떤 지르는 창법을 추구했던 것은 아닐 것이다. 아직 이 무대가 대중들에게 적응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서 먼저 귀에 들어온 것이 성량과 고역대의 음폭이었을 뿐이다. 하지만 차츰 '나가수'의 무대가 전해주는 음악의 다양한 즐거움이 인식되기 시작하는 현재, 초창기 성량과 음폭만이 아닌 다른 음악이 주는 매력을 전해주던 하차한 가수들의 노래는 더더욱 그리워질 수밖에 없다. 하차했지만 그들의 노래들이 '나가수'라는 무대를 다채롭게 해왔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기 때문이다.

정엽의 감미로운 목소리, 김건모의 감칠맛 나는 창법, 온 몸으로 흐느끼는 듯한 백지영의 호소력, 아름다움을 느끼게 만드는 김연우의 단단한 미성, 마성의 카리스마로 노래가 아닌 하나의 진심을 덩어리째 보여준 임재범, 깊은 울림의 목소리로 가사 하나하나를 음미하게 해준 JK 김동욱, 그리고 마치 바람처럼 섬세하게 때론 거칠게 노래가 주는 감성을 전해주었던 이소라. 이제는 경연의 무대를 내려와 편안해진(?) 이들의 음악이 더더욱 새롭게 들리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게다.

이것은 '나가수'라는 무대가 가진, 아니 어쩌면 모든 무대가 가진 본질일 것이다. 노래는 어쩌면 무대 위에서 불러지지만 가수가 무대를 내려왔을 때 그 빈 자리가 전해주는 깊은 여운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닐까. 그런 점에서 '나는 가수다'라고 외치는 이 프로그램은 가수의 등장에서부터 흥겨운 무대와 더불어, 무대를 내려온 후까지 그 '가수'라는 정체성이 대중들에게 전해주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셈이다.

그러니 하차한 만큼 그리워지는 존재를 그려내는 '나가수'라는 무대를 지나치게 서바이벌의 살벌한 눈으로만 바라볼 필요는 없다. 이 무대의 '서바이벌'이란 좀 더 팽팽한 긴장감을 부여해 가수들의 최고치를 끌어내기 위한 말 그대로의 장치일 뿐이니. 결과에 의해, 혹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이미 하차했지만, 그래서 더더욱 그리워지는 정엽, 김건모, 백지영, 김연우, 임재범, JK 김동욱, 그리고 이소라. 어쩌면 그들은 무대를 내려옴으로써 드디어 그들의 음악을 완성했는지도 모른다. 언젠가 그들의 무대를 다시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