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나의 거리>의 서민적 멜로, 왜 특별하게 느껴질까

 

너 왜 이렇게 사냐? 마음잡고 착하게 살 수 있잖아.” 창만(이희준)이 유나(김옥빈)에게 던지는 이 멘트는 일반적인 멜로의 대사는 아니다. 유나는 소매치기다. 전설적인 소매치기였던 아버지 때문에 그 길로 들어섰다. 죽어가던 아버지가 제 손가락까지 자르며 소매치기를 그만두라고 만류했지만 유나는 마치 중독된 사람마냥 거리로 나와 행인들의 가방을 노린다. 그녀를 좋아하게 된 창만은 지금 유나를 그 거리로부터 구해내려 하는 중이다.

 

'유나의 거리(사진출처:JTBC)'

JTBC <유나의 거리>가 그리는 멜로는 우리가 늘상 드라마에서 봐오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거기에는 대기업 회장님 아들도 없고, 잘 나가는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문직 종사자나 보기에도 멋진 커리어 우먼 따위는 없다. 창만(이희준)은 건실한 청년이지만 노가다를 전전하며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남자. 지금은 어쩌다 보니 다세대주택 주인 한만복(이문식)이 운영하는 콜라텍 총지배인으로 일하고 있다.

 

창만이 한만복의 다세대주택에서 거기 사는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과정은 마치 신데렐라 이야기를 하향평준화한(?) 느낌을 준다. 즉 창만은 물론 뭐든 고장 난 것도 척척 고치고, 문제가 있을 때마다 해결사 역할을 하면서도 꽤 많은 지식을 갖고 있는 인물이지만 현실에서 보면 어디 내세울 것 없는 스펙의 소유자다. 그는 지극히 평범하다.

 

평범한 그가 도드라져 보이는 것은 그를 둘러싼 다세대주택 사람들이 그보다 못한 삶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소매치기로 전전하는 유나나 꽃뱀으로 살아가는 그녀의 동거인 미선(서유정), 한때는 전국구였지만 지금은 기초생활수급자 신세로 옛 부하인 한만복에 얹혀사는 장노인(정종준)이나 개장수로 살아가는 한만복의 처남 홍계팔(조희봉), 이희준과 예전에 함께 노가다를 했던 칠쟁이 변칠복(한영웅) 등등. 하나 같이 현실에서 소외된 인물들뿐이다.

 

유나와 예전에 함께 소매치기 일을 했으나 지금은 전 강력계 형사 봉달호(안내상)와 결혼해 살아가는 박양순(오나라) 역시 노래방을 운영하면서 근근이 살아간다. 여자를 찾는 손님들에게 아내인 박양순을 방에 넣어줄 정도로 봉달호의 삶 역시 바닥이다. 이런 소외된 인물들 속에서 평범함은 비범함으로 보인다. 창만이 판타지적인 존재로 보이는 것은 이 드라마가 낮은 인물들에게 던지는 시선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주변을 둘러보면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건 이들처럼 낮은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드라마 속 왕자님은 드라마에나 존재할 뿐, 현실에서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비현실적인 왕자님과 신데렐라의 사랑에 잠시나마 빠져드는 것일 게다. 하지만 그렇게 드라마가 끝나고 나면 우리는 다시 현실로 돌아오고 그만큼 텅 빈 허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유나의 거리>는 그 정반대를 보여준다. 낮은 시선으로 더 힘겹게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실하게 살아가는 창만 같은 인물을 통해 어떤 희망 같은 걸 전해준다. 창만과 유나가 서로에게 바라는 것은 저 판타지 드라마들이 늘 보여주던 엄청난 부나 성공 같은 것이 아니다. 그들은 그저 평범하게 살기를 원하는 것뿐이다. <유나의 거리>의 서민적 멜로는 그래서 그 평범함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힘겨운 현실에 대한 페이소스를 담아내고 있다.

다른 듯 같은 94<서울의 달>2014<유나의 거리>

 

1994년 김운경 작가가 쓴 <서울의 달>은 파격적인 드라마였다. 상류층의 삶을 주로 다루던 당시 드라마 분위기에서 달동네 서민들의 삶을 소재로 했다는 것만으로도 그 가치는 충분했다. 드라마가 상류층 삶의 선망에 머물던 것을 서민들의 현실 공감으로 바꾸어주었던 것이 <서울의 달>에 시청자들이 열광한 이유. 당시 이 드라마는 5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했다.

 

'유나의 거리(사진출처:JTBC)'

그로부터 20년이 흐른 2014, 김운경 작가는 또다시 서민들의 이야기, <유나의 거리>로 돌아왔다. <서울의 달>이 달동네 하숙집을 배경으로 했다면, <유나의 거리>는 다세대주택이 배경이다. 각자 떠돌다가 어찌 어찌 흘러들어와 한 공간에 머물게 된 이들이 엮어가는 따뜻한 사람 사는 이야기가 20년 차를 가진 두 드라마의 공통된 주요 스토리다.

 

김운경 작가 스타일 그대로, <유나의 거리>는 특별히 자극적인 설정 없이 마치 본격 소설을 읽는 듯한 잔잔한 흐름을 보여준다. 막장드라마들이 주로 하는 빠른 전개에 대한 강박이나 억지 스토리 같은 건 아예 보이지 않는다. 대신 <유나의 거리>의 매력은 보는 이들을 푸근하게 만드는 인물의 캐릭터에 있다.

 

소매치기를 소매치기하는 유나(김옥빈)는 감옥에 수시로 들락거리는 아버지처럼 배운 손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가끔씩 길거리의 행인들 지갑을 넘본다. 본인은 벗어나고 싶지만 마치 중독처럼 거리로 이끌린다. 그 단점을 빼고 나면 그녀는 어느 날 우연히 만나게 된 건실하지만 집도 없이 살아가게 된 설명하자면 긴딱한 사정을 가진 청년 김창만(이희준)을 챙겨줄 정도로 정이 많다.

 

유나가 사는 다세대주택의 주인 한만복(이문식)은 과거 잘 나갔던 건달이지만 지금은 한 풀 꺾인 콜라텍 사장이다. 여전히 건달 행세지만 한때 자신이 모셨던 낭만건달 장노인(정종준)을 여전히 모실 정도로 정은 있는 인물이다. 치고 올라오는 후배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그를, 그저 사람 좋은 할아버지처럼 보이는 그래도 한 때는 쌍도끼로 불렸던 장노인이 돕는다. 후배의 개업식에 건달의 역사를 운운하며 계보를 나열하고, 한국어를 잘 모르는 일본인에게 문신을 해서 쌍도끼산토끼문신으로 바뀐 장노인은 기막힌 코믹 캐릭터를 보여준다.

 

김창만은 유나의 소개로 이 다세대주택에서 비관 자살한 여자의 빈 방으로 입주한 인물로 별로 잘 하는 게 없어 보이지만 뭐든 척척 해내는 인물이다. 드라마는 이 다세대주택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코믹하면서도 따뜻하게 그려낸다.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이들이 어떤 사건 속에서 서로를 도와가는 이야기는 그 자체로 훈훈한 느낌을 전한다. 여기에 김창만과 유나의 심상찮은 멜로가 덧붙여진다. 두 사람의 관계는 그들이 숨기고 있는 진짜 삶, 이를테면 유나의 소매치기 습관 같은 것들이 하나의 장애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사실 김운경 작가의 <서울의 달>을 떠올리게 하는 드라마를 20년이 흐른 후에 다시 볼 수 있다는 건 그 자체로 즐거운 일이다. 하지만 한 편으로는 20년이 흘러도 여전히 달라지지 않은 서민들의 신산한 삶을 드라마를 통해 확인한다는 건 한편으로는 씁쓸함을 남긴다. <유나의 거리> 첫 회에 잠깐 보여지는 서울의 달은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은 느낌을 전해준다. 여전히 쓸쓸하고 처연한 그 느낌. <유나의 거리>를 보며 <서울의 달>을 보던 20년 전 그 가슴 한 구석에 느껴지던 그 따뜻함을 여전히 느낄 수 있다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