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삶의 속도와 온도 “그렇게 바쁘게 산다고 문제가 해결이 돼?” 임순례 ‘리틀 포레스트’한겨울 눈길을 헤치고 혜원(김태리)은 고향의 빈 집으로 내려온다. 차디 찬 그 집에 혜원은 난로를 피우고 눈밭을 헤쳐 실해 보이는 배추를 뽑아와, 팔팔 끓인 배추 된장국에 밥을 지어 맛있게 먹는다. 그 순간 차가운 집도, 그 집처럼 몸도 마음도 추웠던 혜원도 따뜻한 온기로 채워진다. 임순례 감독의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첫 도입부를 채우는 이 장면은 이 영화가 하려는 이야기를 압축해서 담아놓는다. 시험에도 떨어지고 남자친구와도 소원해진 혜원은 그 현실이 겨울이다. 쉬지 않고 열심히 살아가는 것 같은데 삶의 온도는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그래서 무작정 고향으로 돌아온 혜원에게 초등학교 동창이자 절친이었던 은숙(진기주)이 왜 돌아왔냐고 .. 더보기 오경화, 늘 응원해주는 든든한 존재가 있다는 것 ‘정년이’와 ‘나의 해리에게’로 주목받는 배우, 오경화“암시롱도 않당께. 야 그런 꿈이 있다는 것도 다 네 복이다, 어? 네 마음이 정 그러면 가서 끝까지 한번 부딪혀 봐.” tvN 드라마 ‘정년이’에서 윤정년(김태리)의 언니 윤정자(오경화)는 그런 말로 동생의 꿈을 응원해준다. 천재 소리꾼이었지만 세상에 상처받고 조용한 삶을 살아온 윤정년의 엄마 서용례(문소리)는 그래서 딸이 소리를 하는 걸 반대한다. 그럼에도 소리가 좋아 무대에 서고 싶다고 하자 서용례는 그 고집을 꺾기 위해 윤정년을 광에 가둬버린다. 먹을 것도 주지 않는 엄마 때문에 동생이 걱정된 윤정자는 잘못했다고 빌라 하지만 윤정년의 마음은 확고하다. 지금 자신의 마음을 꺾어버리면 평생 후회할 것 같다는 것. 1956년 전후로 피폐해진 삶 속에.. 더보기 오경화, 우리는 왜 이 배우에게 마음을 빼앗겼을까 ‘나의 해리에게’ 신혜선 친구이자 ‘정년이’ 김태리 언니지니TV 오리지널 ‘나의 해리에게’가 종영했다. 그 끝은 경계성 정체성 장애를 겪던 주은호(신혜선)가 이제 또 다른 인격인 주혜리(신혜선)와 아름다운 이별을 하는 것이었다. 사랑하는 누군가를 잃는다는 상처와 회복의 과정을 이 드라마는 가슴 저릿한 사랑과 우정의 이야기로 풀어냈다. 그 과정에서 저마다 상처 입은 과거를 안고 있던 정현오(이진욱), 강주연(강훈)도 모두 행복을 찾아갔다. 경계성 정체성 장애를 가져 주은호와 주혜리를 오가는 1인2역을 했던 신혜선과, 그와 너무나 아름다운 사랑을 완성시킨 정현오 역할의 이진욱, 그리고 극중 이름인 강주연처럼 사실상 진짜 주연 역할을 해낸 강훈은 물론이고 조연이지만 톡톡 튀는 연기로 백혜연이라는 인물에 생명.. 더보기 김태리, 어떤 역경도 뚫고 나가는 청춘의 기세 ‘정년이’로 또다시 청춘의 아이콘으로 돌아온 김태리“참말로 고맙구만이어라. 하지만 받지 않겄습니다. 그 길은 제 길이 아니어라.” tvN 드라마 ‘정년이’에서 윤정년(김태리)은 자명고 대본을 내주며 오디션을 볼 수 있게 해주려는 매란국극단 스타 문옥경(정은채)의 호의를 거절하며 그렇게 말한다. 문옥경은 장터에서 윤정년이 소리를 하는 걸 듣고는 단박에 천부적인 재질이 있다는 걸 알았고, 그래서 그를 매란국극단에 들어올 수 있게 도운 인물이다. 그런 문옥경의 호의가 고맙지만 이를 거절하는 정년에게서는 보다 당당하게 제 힘으로 서고 싶은 청춘의 기세가 엿보인다. “안 그래도 다들 지가 지 실력으로 이 국극단 들어온 거 아니라고 떠들어 싼디, 여기서 또 쉬운 길을 선택해 불믄, 그 사람들 말이 맞다고 인정하는 .. 더보기 김태리 인생캐 경신하나... ‘정년이’ 반응 심상찮다 ‘정년이’, 완벽 빙의된 김태리, 그 성장서사에 시청자도 빠져든다우리 소리가 이토록 힙했던가. tvN 토일드라마 ‘정년이’는 먼저 채공선이 부르는 ‘남원산성’으로 눈과 귀를 매료시킨다. 눈 내리는 어둑한 밤, 유려한 한옥집의 풍광 위로 낭낭하게 울려 퍼지는 ‘남원산성’은 듣는 이들의 마음을 이상하게 애절하게 만든다. “소리를 하면은 속이 뻥 뚫리는 거 같아 갖고 좋던디요.” 소리꾼이 되고 싶다는 공선에게 명창 임진(강지은)이 화려함 때문이냐고 묻자 공선이 하는 그 말은 소리가 가진 진짜 힘이 어디서 나오는가를 한 마디로 꺼내놓는다. “이 가슴에 뭐가 탁 맥힌 것맨치 답답하고 외롭고 할 때마다 소리를 하다 봉께는 그리 되었구만이라.” 때는 1931년 일제강점기다. 춥디 추운 겨울 눈 내리는 한데서 달달 ..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