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 이승기가 발견시킨 김희애와 이미연

 

나영석 PD<꽃보다> 시리즈는 배낭여행 프로젝트라는 부제가 붙어 있지만 여행만큼 중요한 것이 인물의 재발견이다. <꽃보다 할배>가 재발견시킨 것은 어르신들이었다. 어딘지 고압적이고 권위적일 것만 같던 어르신들이 아이처럼 순수해지고, 심지어 청춘들에게 소통의 손길을 내밀었을 때 대중들은 반색했다. 어르신들이 귀요미처럼 여겨지게 되는 순간 세대 간의 벽은 무너졌다. 여기서 짐꾼 이서진은 어르신들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세대 간의 소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주었다.

 

'꽃보다 누나(사진출처:tvN)'

그렇다면 <꽃보다 누나>가 재발견시킨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누나로 지칭되는 여자들이다. 여기서 중요해지는 인물은 이승기다. 그는 누난 내 여자니까-”를 외치며 뭇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지만 김자옥이 여행 전 사전미팅에서 말한 것처럼 여자를 잘 모르는동생이다. 대표로 한 사람이 드라이기를 챙겨가자고 하자, 누나들은 그럼 줄 서서 기다려야 하니?”하고 일제히 그에게 핀잔을 줄 정도로.

 

터키 공항에 내린 지 한 시간 만에 이승기는 윤여정의 말처럼 별 쓸모없는 애가 되어버린다. 숙소까지 갈 교통편을 찾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며 땀을 뻘뻘 흘리기는 하지만 그다지 성과는 없는 이승기가 짐꾼에서 으로 강등되는 순간, 그러나 누나들의 존재감과 캐릭터는 살아나기 시작했다. 윤여정은 특유의 센 이미지와 함께 유창한 영어로 똑 부러진 문제해결능력을 선보였고, 김자옥은 어떤 상황에서도 결코 초조해하지 않는 초긍정의 성격을 드러냈다.

 

무엇보다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 두 인물은 김희애와 이미연이다. 김희애는 사실상 자신이 다 찾아놓은 교통편을 은근슬쩍 이승기의 공으로 돌려놓는 모습을 통해 지혜로운 여성의 한 면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또한 모성애에 가까운 모습이기도 했다. 마치 아이를 키우는 엄마가 사실은 자신이 해놓은 일이지만 아이가 스스로 한 것처럼 느끼게 해주기 위해 한 발 물러서 멀리서 바라만 보고 있는 그런 모습.

 

이미연은 특유의 급한 성격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주변 인물들을 살뜰히 챙기면서 동시에 이승기의 부족한 면을 채워주려는 든든한 누나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틀째 여행에서 사전답사를 가는 이승기를 따라가면서 등을 토닥여주기도 하고, 함께 윤여정과 걸어갈 때는 친근하게 손을 꼭 잡고 걷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팽이에 정신 팔린 이승기가 뿔뿔이 흩어진 누나들 때문에 멘붕을 겪는 사이에도 이미연은 누나처럼 그를 챙겨주기도 했다.

 

이승기는 이 과정에서 삼룡이가 되어버렸지만, 바로 그 빈 구석이 누나들의 여성성을 끄집어내주고 있다는 점은 어쩌면 <꽃보다 누나>의 캐스팅이 의외의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보여진다. 여자를 잘 모르는이승기가 여자에 대해 하나씩 알아가는 이야기는 <꽃보다 누나>의 핵심적인 재미이자 의미이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이승기라는 시점을 통해 여배우들의 진짜 얼굴을 발견하면서 동시에 여성성을 재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결국 이 여행은 이승기의 성장담과 여배우들의 배우가 아닌 여성으로서의 발견을 동시에 그려낸다. 이승기와 여배우들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은 그래서 중요하고, 그 시작점으로서의 이 된 짐승기는 최적의 캐릭터가 되는 셈이다. 센 이미지 뒤에 숨겨진 섬세함과 세심함을 보여주는 윤여정과,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소녀 같은 김자옥, 우아함과 지혜로움을 동시에 드러내주는 김희애, 그리고 털털하면서도 붙임성 좋은 사근사근함을 보여주는 이미연까지. 이승기의 빈 구석은 그녀들의 현명함을 끄집어내주는 동인으로 작용한다.

 

저마다 스크린과 TV를 통해 배우로서의 페르소나를 가진 네 명의 여배우들을 재발견한다는 것. 그리고 그를 통해 여성성의 특별함을 경험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흥미롭고 즐거운 일이다. 보호본능처럼 그 여성성을 끌어내게 만드는 이승기의 허당기는 윤여정이 눈물을 쏟을 만큼 큰 웃음을 주는 <꽃보다 누나>의 핵심적인 재미이기도 하다. 그러니 <꽃보다 할배>에서 이서진이 중요했던 만큼, <꽃보다 누나>에서 이승기는 단연 주목되는 인물이다. 비록 누나들의 구박을 받고 있지만 바로 거기서부터 이 예능의 동력이 생겨나고 있으니 말이다.

심상찮은 tvN 전성시대 케이블 트렌드 만드나

 

이명한 CP의 얼굴은 싱글벙글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꽃보다 할배>가 펄펄 날더니 이어 <응답하라 1994>는 후속작의 부진 같은 우려는 일찌감치 깨버리고 전작의 아성마저 뛰어넘어버렸다. 그에게 <꽃보다 할배>의 나영석 PD<응답하라 1994>의 신원호 PD 그리고 이 두 작품에 모두 단단한 밑그림을 그려주고 있는 이우정 작가 모두 KBS 시절부터 함께 잔뼈가 굵어온 동생들이나 마찬가지다. 이들은 지금 케이블 채널의 새로운 신화를 쓰고 있다. 2%만 나와도 대박이라 부르던 케이블이 이제 7%는 기본이고 두 자릿수 시청률까지 노리고 있다니.

 

'응답하라 1994(사진출처:tvN)'

오는 29일 밤은 어쩌면 그래서 케이블 채널의 새로운 기록이 달성될 지도 모르는 분위기다. <응답하라 1994><꽃보다 할배>의 후속인 <꽃보다 누나>가 연속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앞에서 당겨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이 형국. 어디서 많이 보던 그림이 아니던가. KBS <해피선데이>의 최전성기 시절의 그림이다. 앞에서 신원호 PD<남자의 자격>이 당겨주고 뒤에서 나영석 PD<12>이 밀어주던 그림. 그래서 이명한 CP가 조심스럽게 기대하는 두 자릿수 시청률은 그리 불가능한 일처럼 여겨지지 않는다.

 

2년 전 이명한 CPCJ로 이적하던 시점만 하더라도 상황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케이블에 대한 인지도가 조금씩 생기고는 있었지만 지금처럼 보편적 시청층을 겨냥하기보다는 여전히 충성도 높은 마니아층을 상대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에는 이른바 케이블 라이크한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제 아무리 좋은 기획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그로부터 2년이 흐른 현재 상황은 바뀌었다. 이명한 CP여전히 케이블 라이크한 프로그램은 필요하지만 지금은 보편적 시청층을 함께 가져가기 위한 노력도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tvN으로 대변되는 CJ의 케이블 운영은 그렇게 보면 꽤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에는 일단 채널을 알리기 위해 다소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소재와 마니아층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방식을 취했지만 어느 정도 채널에 대한 인지도가 생기기 시작하자 노선을 서서히 바꾸어왔던 것. 이른바 이명한 사단으로 불리는 KBS <해피선데이> 출신 제작진들을 대거 스카우트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셈이다. 송창의 대표로 상징되는 초창기 PD들이 케이블의 존재를 알렸다면, 이제 그 기반 위에서 이명한 사단이 특유의 보편적 마인드로 폭넓은 시청층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

 

tvN의 약진은 또한 KBS 시스템에서는 좀체 시도하기 어려운 참신한 도전들이 일상적으로 시도되는 케이블의 분위기가 제공한 것이기도 하다. 여전히 <12>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KBS의 분위기 속에서 <꽃보다 할배><응답하라> 시리즈는 나오기 어려운 콘텐츠임에 분명하다. 특히 <응답하라> 시리즈의 신원호 PD를 떠올려 보라. 과연 KBS에서 예능 PD에게 드라마를 과감하게 맡길 수 있었겠는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물론 지상파만큼 안정적일 수는 없겠지만 무언가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하려는 젊은 PD들에게는 오히려 안전하다는 것이 고마울 수만은 없는 일이다.

 

물론 이번 tvN의 약진은 그 중심에 심지어 스타 PD와 작가의 반열에 오른 몇몇 제작자들이 있는 게 사실이다. 나영석 PD와 신원호 PD 그리고 이우정 작가가 없었다면 이처럼 강력한 시너지를 만들어내지는 못했을 게다. 이명한 CP는 나영석 PD와 신원호 PD의 장점이 서로 다르다고 말했다. “신원호 PD 같은 경우에는 어떤 장르를 주던 기본 이상을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나영석 PD는 비슷한 분야 안에서 브랜딩 하는 능력이 뛰어나죠.” 여기에 예능에 정서적인 살을 붙이고 톡톡 튀는 캐릭터를 만드는데 탁월한 이우정 작가까지 더해지니 더할 나위 없는 드림팀이 구성되었던 것.

 

고무적인 것은 <꽃보다 할배><응답하라> 시리즈가 단순한 콘텐츠의 재미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꽃보다 할배>는 뒤늦게 실버 파워 트렌드를 만들어내면서 오히려 지상파에서 이 트렌드에 뛰어들게 만들었으며, <응답하라> 시리즈는 90년대 복고 트렌드를 전면에서 이끌어냈다. 즉 프로그램을 만든다기보다는 하나의 트렌드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이들 프로그램이 갖는 의미가 남다르다는 점이다.

 

<꽃보다 누나><응답하라 1994>의 합동작전은 과연 지상파를 넘을 수 있을 것인가. 사실 요즘은 지상파 예능에서도 두 자릿수 시청률을 내는 것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그러니 만일 이 괴물 같은 프로그램들이 두 자릿수 시청률을 만들어낸다면 그것은 어쩌면 케이블이 지상파를 압도하는 새로운 트렌드로 이어질 지도 모를 일이다. 과연 이 일은 실현 가능한 일이 될 것인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