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헌 때문에 안 본다? 그러기엔 <내부자들>이 너무 아깝다

 

이병헌 때문에 안 본다? 여전히 대중들에게 그리 환영받지 못하는 이병헌이다. 그래서 그가 출연하는 영화마다 그런 얘기가 나온다. <터미네이터 제네시스>가 방영됐을 때도 그랬고 <협녀>가 영화관에 걸렸을 때도 마찬가지 목소리가 나왔다. 결과적으로 보면 <터미네이터><협녀>도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 안 좋은 성적에는 크든 작든 어떤 식으로든 이병헌의 이미지가 작용했을 수밖에 없다.

 


사진출처:영화<내부자들>

그렇다면 <내부자들>은 어떨까. 이병헌에 대한 대중들의 좋지 않은 이미지를 떼놓고 보면 꽤 잘 만들어진 영화다. 대본도 촘촘하고 연기도 나무랄 데가 없다. 우리네 현실의 암담함을 부패한 정계와 재계 그리고 언론과 법조계까지를 망라해 싸그리 그 추악한 맨얼굴을 드러내 보이는 영화이니 여기 등장하는 인물들이 다소 과장되게 엽기적인 일들을 벌이면 벌일수록 묘한 카타르시스가 느껴지는 영화다.

 

그 느낌은 이렇다. 우리가 신문지상이나 방송을 통해 접하듯, 짐짓 정의를 부르짖고 또 너무나 신사적인 행동과 지적인 말들을 번지르르하게 하던 그런 인물들이 시종잡배들처럼 쌍욕을 섞어서 얘기하는 장면을 볼 때의 느낌이다. 그건 그 자체로 폭로의 성격을 띤다. <내부자들>은 그런 영화다. 착한 인물 찾기가 어려운 이 영화는 그 더러움을 더욱 더럽게 그려내는 것으로서 숨겨진 실체를 폭로하는 쾌감을 선사한다.

 

이 영화에서 이병헌이 맡은 역할은 정치깡패 안상구라는 인물이다. 잔혹하기가 이를 데 없고 몰디브와 모히또를 헷갈릴 정도로 무식하다. 결코 착한 인물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안상구라는 인물은 처음 볼 때는 살벌한 깡패였지만 차츰 동정적인 시선으로 그를 바라보게 된다. 그 이유는 나쁜 놈들보다 더 나쁜 놈들이 주변에 널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안상구는 그나마 나은 축에 속해 보이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그 밑바닥에 깔려 있는 건 복수심이다. 안상구의 복수심은 그래서 관객들이 이 영화 속의 추잡한 정재계언론에 있는 권력자들의 행태를 보며 갖게 되는 증오와 잘 맞아떨어진다. 절대 좋은 인물은 아니지만 공동의 적을 갖게 되면서 일종의 동지의식 같은 걸 느끼게 된다고나 할까.

 

그런 점에서 보면 이병헌과 안상구라는 인물의 만남은 기막힐 정도로 주효했다고 여겨진다. 대중들이 갖고 있는 이병헌에 대한 불편함은 이 영화 속 안상구라는 인물이 주는 불편함과 기묘하게 어우러진다. 하지만 그 불편함이 더 큰 악당들과 마주하면서 조금씩 상쇄되고 급기야는 시시껄렁해도 그나마 인간적인 안상구라는 인물에 마음을 열게 되는 과정을 영화가 그리고 있다는 건 배우 이병헌으로서는 굉장한 기회가 아닐 수 없었을 게다.

 

물론 연기를 기가 막히게 했다고 해도 그걸로 대중들의 마음이 쉽게 풀어질 것 같지는 않다. 연기는 연기고 남는 불편함은 불편함이다. 하지만 연기자로서 자신의 이미지 때문에 괜찮은 영화조차 망가지게 할 수도 있다는 그 불안감은 적어도 이 영화에서는 느껴지지 않는다.

 

이미 불거진 사건 때문에 아마도 이병헌은 순수한 이미지나 고고한 이미지의 역할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연기자는 물론 연기를 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또한 그의 평상시 이미지와 완전히 분리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몰입을 방해하는 역할은 응당 피하는 게 대중들에 대한 예의다. 그런 점에서 보면 <내부자들>의 안상구라는 인물은 꽤 이병헌에게는 맞춤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걱정 마시라. 이병헌은 이 영화에 기능적으로 잘 어우러져 있고 그것이 불편한 느낌을 주지도 않으니. 그 때문에 영화를 안 보기엔 <내부자들>이 너무나 아까운 걸작이다.



스타, 이점만큼 리스크도 커져버린 까닭

 

JTBC는 결국 이영돈 PD가 출연하는 두 프로그램을 모두 내려버렸다. <에브리바디>는 본래 종영을 준비 중이었던 걸로 알려졌지만 야심차게 준비했던 <이영돈 PD가 간다>2월에 시작해 3월에 폐지된 비운의 프로그램이 되어버렸다.

 

'이영돈 PD가 간다(사진출처:JTBC)'

프로그램의 폐지 발표는 사안이 터지고 조금 지난 후에 이뤄졌지만, 사실 이 결단은 이영돈 PD가 식음료 광고를 찍었다는 사실이 세간에 알려진 바로 그 때 이미 JTBC의 긴급회의를 통해 정해진 사안이었다. 그럴 수밖에 없다. 신뢰에 금이 가게 한 행위이기 때문에 더 이상 방송을 한다는 건 불가하기 때문이다.

 

이영돈 PD의 이번 논란과 방송 폐지결정은 지금 현재 방송가가 갖고 있는 스타 리스크에 대한 단면을 보여준다. 방송사가 이영돈 PD 같은 스타를 영입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일이기도 하지만, 또한 그 스타가 가진 이미지나 신뢰를 방송사가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JTBC는 손석희 앵커를 영입해 시사 보도 분야에 대한 대중적인 신뢰를 가져온 바 있다. 이미 예능과 드라마에서 어느 정도 대중적 지지를 갖고 있는 JTBC는 이영돈 PD를 통해 상대적으로 약했던 교양에 대한 인지도 제고를 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스타를 데려와 어떤 성과를 가져가려면 그 스타가 지속적인 이미지에 대한 신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영돈 PD는 그릭 요거트를 탐사보도의 아이템으로 하면서 타 업체의 식음료 광고를 찍는 상식 이하의 행동을 했다. 무엇 때문인지 그는 그런 행위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지 의식하지 못했던 것 같다. 결국 프로그램 폐지가 결정된 후 이영돈 PD는 다시는 광고를 찍지 않겠다며 자숙하겠다고 했다.

 

최근 대중들이 스타를 바라보는 시선은 그 어느 때보다 깐깐해졌다. 이태임과 예원 사태가 보여주듯 사적인 상황에서 벌어진 일도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이 사태로 인해 이태임은 모든 프로그램에서 하차했고 예원 역시 <우리 결혼했어요>에서 하차하라는 대중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런 사안은 스타 개인에 머물지 않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비난으로도 이어진다. 스타 리스크는 이제 껴안았다가는 프로그램마저 날아가는 후폭풍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병헌을 두고 벌어진 50억 협박사건은 고스란히 그가 출연한 영화에 찬물을 끼얹었다. <협녀><내부자들>은 일찌감치 제작이 끝났지만 이병헌 사태가 일파만파 퍼지면서 개봉 시기가 계속 미뤄질 수밖에 없었다. 이제 이 사건은 일단락된 분위기지만 그것이 남겨놓은 여파는 아직도 남아있다. 이 여파가 영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벌어진 김태우와 길건의 계약문제를 두고 벌어진 진실공방으로 인해 김태우가 출연하고 있는 <오 마이 베이비> 역시 세간의 도마 위에 올랐다. 소속사와 소속 연예인 사이에 벌어지는 분쟁은 사실 보는 관점에 따라 완전히 달리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대중들의 시선은 을의 위치에 있는 소속 연예인쪽으로 향하기 마련이다. 김태우가 눈물을 쏟아내며 이 문제를 길건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리하게 된 건 이런 정서적 흐름을 읽었기 때문이다. 역시 문제는 프로그램으로 이어진다. 과연 이런 일을 겪은 김태우가 <오 마이 베이비>에서 예전 같은 모습을 보일 수 있을까.

 

이영돈 PD의 사례처럼 스타 의존도가 거의 100%인 프로그램은 문제가 생기면 접을 수밖에 없다. 스타 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거기에 따르는 리스크도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 스타와 상관없이 프로그램이 안정적이고 탄탄하다면 이런 문제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세금문제가 논란이 되어 장근석이 통편집됐지만 승승장구했던 <삼시세끼> 어촌편은 단적인 예다. <삼시세끼>는 그 프로그램의 단단한 힘으로 오히려 더 승승장구했다. 스타에 대한 의존보다는 프로그램 포맷 자체가 가진 경쟁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진 시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