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기의 알몸, 혹서기의 잠바, 김C가 만드는 계절감

'1박2일'에서 계절은 실로 중요하다. 계절이 주는 자연적인 도전 자체가 '1박2일'의 미션으로 제시되기 때문이다. 한겨울의 차가운 날씨는 야외냐 실내냐를 정하는 잠자리 복불복을 흥미진진하게 만든다. 갑작스런 기상악화는 목적지 자체를 바꾸게도 만들고, 예상했던 일정에 변화를 주기도 한다. 한여름에 바다에 빠지거나, 한겨울에 얼음장 같은 계곡물에 입수하는 것 역시 모두 계절이 주는 묘미와 한계를 이용한 것이다.

혹한기 대비 캠프와 혹서기 대비 캠프는 이러한 계절을 활용한 '1박2일'만의 아이템. 그런데 이 아이템에 유독 어울리는 존재가 있으니 그가 바로 김C다. 그는 종종 '고통의 달인'으로 불린다. 복불복이 제공하는 고통스러움을 꽤 잘 버텨내기 때문이다. 매운 소스가 들어있는 음식도 별 표정 없이 잘 삼키고, 모두가 꺼려하는 번지점프도 별 감흥 없이(?) 뛰어내린다. 어찌 보면 표정이 없는 것이 아니라 잘 드러나지 않는 얼굴이다. 평상시의 모습 자체가 고통을 버티고 있는 듯한 고행자의 그것이니까.

이것은 김C를 종종 그 자체가 '다큐'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늘 진지한 얼굴은 예능이라는 프로그램의 성격과는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음식을 놓고 하는 복불복게임에서 조금은 과장되거나 놀라는 리액션이 필요한 시점에서도 그는 반응을 억지로 만들어내지 않는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이 웃음과는 상관없어 보이는 진지하기 이를 데 없는 캐릭터가 '1박2일'이라는 야생 버라이어티에 위치하는 존재감이 꽤 크다는 것은 말이다.

지난 혹한기 대비 캠프에서 김C는 박스 하나에 의지한 채 알몸으로 방송을 했다. '1박2일'이 계절 자체를 중요한 아이템으로 삼는 혹한기 대비 캠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추운 기온을 시청자들에게 체감할 수 있게 해주는 일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김C의 희생(?)은 프로그램에 어떤 기본적인 바탕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혹서기 대비 캠프에서 그가 뜨거운 날씨에 두꺼운 잠바를 입고 비닐하우스에 들어가 수박을 따거나, 잠자리에 드는 모습 또한 마찬가지다. 물론 다른 캐릭터가 그것을 했다고 해도 어느 정도는 효과를 거두었을 테지만 공교롭게도 김C가 걸린 것은 '1박2일'로서는 행운이 아닐 수 없다.

그것은 '1박2일'에서 김C만이 가진 독특한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코끼리 열 바퀴'를 돌고도 별 어지러움 없이 달려 나갈 수 있는 고통과 한계에 둔감한 캐릭터를 구축하고 있다. 음식을 먹고 리액션을 보이지 않는 것은 보통은 예능을 썰렁하게 만들지만, 그는 자신의 캐릭터로 그것을 끌어들임으로써 오히려 웃음을 유발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김C의 이런 과장 없는 모습으로 인해 '1박2일'의 리얼리티가 한층 빛을 발한다는 점이다. 심지어 이 프로그램이 "다큐를 예능화 했다"고까지 말하는 데는 김C가 역할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혹한기에는 알몸으로, 혹서기에는 두꺼운 잠바를 입고 카메라 앞에 서는 김C의 존재감은 이처럼 크다. 그 다큐적인 얼굴과 다큐적인 리액션이 그 자체로 리얼리티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그의 본업인 '뜨거운 감자'의 꾸미지 않은 듯 담담하기 그지없는 노래 속에서도, 또 이제는 하나의 부업으로 자리한 각종 다큐멘터리의 내레이션 속에서도 빛을 발한다. 이렇게 보면 김C는 리얼리티 시대가 낳은 최적의 캐릭터를 갖고 있는 셈이다.

‘한반도의 공룡’, ‘누들로드’, ‘북극의 눈물’

다큐멘터리를 규정하는 키워드는 ‘기록’이다. 거기에는 드라마 같은 허구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생생한 현장의 기록이 있다. 하지만 최근 우리에게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 이른바 명작 다큐들에는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해야 할 것 같다. 그것은 볼거리다. 물론 이 볼거리란 단지 스펙타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청자들에게는 도달하기 어려운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뛰어넘는 영상으로서의 볼거리를 말하는 것이다. 최근 연달아 TV를 통해 방영되고 있는 명작 다큐들, 즉 ‘한반도의 공룡’, ‘누들로드’, ‘북극의 눈물’에는 바로 이 시공을 초월하는 볼거리들의 유혹이 넘쳐난다.

EBS ‘한반도의 공룡’은 공룡이 존재했던 8천만년 전의 시간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그 볼 수 없는 시간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이다. 정교한 실사와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이 다큐는 또한 한반도를 공간으로 상정함으로써 이미 익숙하게 보았던 공룡 다큐와 선을 긋는다. 이 작품은 타르보사우르스인 점박이의 일생을 스토리로 엮어가면서 자연스레 당대 우리네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들의 궤적을 찾아간다. 이야기를 통해 엮어진 이 기록물은 그 정보들을 따라가다 보면 거기서 문득 감동과 조우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해준다.

KBS의 ‘누들 로드’는 국수 만드는 기술이 탄생하고 전파되었던 그 궤적을 추적한다. 한 개인이라면 도저히 체험할 수 없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길들을 카메라는 종횡무진 찾아다닌다. 중국 산시성에서 시작한 여행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세 이태리 파스타의 발상지였던 시칠리아로 날아가고, 영국 옥스퍼드 도서관에 보관된 고문서를 통해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파스타가 이태리로 전파된 것을 확인한 후, 다시 일본의 사찰로 날아가 중국에서 어떻게 국수를 만드는 기술이 전파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여행은 계속되어 몽골에 쫓겨 남하한 중국인들에 의해 동남아로 전파된 쌀국수를 찾아간다. 2500년에 달하는 그 긴 생명력을 가진 국수의 탄생과 전파 경로를 지금 이 순간 시간과 공간을 가로지르는 카메라가 시청자들의 눈앞에 생생히 펼쳐놓는 것이다.

한편 MBC의 ‘북극의 눈물’은 온난화로 인해 녹아가고 있는 북극의 상황을 이제 30명 정도 남아있는 마지막 사냥꾼들의 행로를 따라 담담하게 보여준다. 북극의 얼음 위에서 펼쳐지는 바다사자나 일각수 고래의 사냥 장면들은 또한 그 얼음과 함께 생사를 같이하는 북극의 생명들과 같이 조명됨으로써 이 재앙 앞에 동시에 터전을 잃어가고 있는 인간과 자연을 상징적으로 말해준다. TV를 통해 날아든 이 매서운 영상들은 문명에 가려져 보지 못하는 그 파괴되어 가는 환경의 모습을 우리 눈앞에 펼쳐놓는다. 그 아름다운 북극의 영상과 그것이 눈물처럼 녹아 사라져 가는 모습의 대비는 그 자체로 이 다큐의 주제를 압축한다.

이 명작 다큐들이 집 안으로 배달해주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볼거리들은 HD로 보다 선명해진 화면 속에서 더 생생하게 우리의 눈을 유혹한다. 우리가 도달할 수 없는 곳, 또 우리가 도달하지 못하는 시간 속으로 우리를 초대하는 이 볼거리들은 우리에게 관조적인 입장이 주는 즐거움과 깨달음을 동시에 전해준다. 땅에 발붙여 살아가면서 잊고 있었던 것들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을 통해 우리의 모습을 재조명해주는 것, 이것이 이들 명작 다큐들이 가진 진짜 매력이다. 이것은 어쩌면 그간 우리가 주목하지 못했던 다큐의 진짜 얼굴인지도 모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