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
-
'정글의 법칙', 병만류에 담긴 깊은 뜻옛글들/명랑TV 2012. 10. 12. 08:41
병만류가 있어 다큐 그 이상이 가능했다 의 이지원 PD는 마다가스카르에 가기 전 많은 관련 프로그램 제작진들로부터 자문을 얻었다고 한다. 의 한 제작진은 “이미 다큐 등을 통해 마다가스카르의 동물들은 거의 다 찍었다”며 만의 차별화된 영상이 가능할까 의구심을 표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지원 PD 역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는 것. 이 고민은 사막을 빠져나와 마다가스카르의 숲으로 들어가는 날까지 계속되었다고 했다. 그러다 여우원숭이들이 서식하는 숲으로 막 들어서면서 번뜩 아이디어가 이지원 PD의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병만족을 ‘병만류’로 설정해 직접 동물 대 동물로서 마다가스카르의 생물들과의 교감을 갖게 하자는 것. 어찌 보면 대단해보일 것도 없는 아이디어처럼 보였지만, 바로 이 ‘병만류’라는 설정은..
-
드라마보다 이 다큐에 열광한 까닭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9. 3. 09:31
, 오랜만에 느끼는 다큐의 맛 새롭게 과 이 동시에 시작했던 지난 8월18일, 이례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통상적으로 주말극의 동시출격으로 시선이 가기 마련이지만, 이 날 이 두 드라마는 라는 다큐멘터리에 무릎을 꿇었다. 시청률 13.8%. 같은 시간대의 과 은 11%대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물론 그 후에는 자극으로 무장한 주말극이 이 다큐멘터리의 시청률을 앞질렀지만, 그래도 12%대의 고른 시청률을 유지한 의 저력은 놀라운 것이었다. 의 그 놀라운 저력은 그림 같은 압도적인 영상과 그 속에 담겨진 흥미로운 내용이 잘 어우러진 결과다. 거친 목탄으로 그려진 그림에서 시작해 서서히 영상으로 바뀌는 오프닝은 의 영상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사람 키를 훌쩍 넘긴 크기의 참치가 펄떡 펄떡 뛰고, 고대 로마시절..
-
다큐 표방 '1박', 그 다큐가 변했다옛글들/명랑TV 2012. 2. 1. 09:56
진짜 야생으로 가는 다큐, '1박2일'은? 다큐를 표방해온 '1박2일'. 그런데 최근 들어 다큐는 더 독해졌다. 과거 '1박2일'이 모델로 삼았던 건 '6시 내 고향'이나 '전국노래자랑' 같은 편안한 교양 프로그램 속의 다큐적인 영상이었다. 그 때는 그것이 대중들에게 다큐로 인식되었으니까. 그래서 연예인들이 전국을 떠돌며 한 끼 식사에 목숨을 걸고, 야외취침을 하며, 아침에 퉁퉁 부운 맨 얼굴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참신하게 여겨졌다. 그런데 그 다큐가 달라졌다. 리얼리티 시대에 들어서 다큐는 좀 더 야생의 상황 속으로 뛰어들었다. EBS의 '극한직업' 같은 다큐는 고열 속에서 작업하는 이들이나, 폭풍 속에서 조업하는 이들이 처한 거친 야생의 장면들을 포착해낸다. 디스커버리 채널은 아예 극한의 자연을 특화..
-
다큐, 당신은 언제부터 이렇게 재미있었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1. 23. 08:25
일상 속으로 들어온 다큐의 특별한 진화 사람만큼 진한 향기를 내는 소재가 있을까. 특히 그 사람과 첫 만남을 가질 때는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여러 번 만나 향기에 익숙해지고, 그래서 무덤덤해지는 만남처럼 흥이 깨지는 일도 없다. 피천득의 '인연'이나 조동진이 부르는 '제비꽃' 속의 만남들이 가슴에 아련히 남는 것은 그 긴 세월 동안 단 몇 번의 만남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 번의 만남'이다. 이 인물다큐는 단 세 번의 만남이라는 제한으로 오히려 만남의 향기를 더 진하게 전한다. '세 번의 만남' 속에서 장재인은 갑작스럽게 신데렐라가 된 그 변화에 놀라는 얼굴로 다가왔다가, 힘들 때 이대 앞에서 사먹던 치즈케이크와 홍대 클럽에서 봤던 오디션, 그리고 노래가 좋아 자퇴를 하고 아르바이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