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
-
윤복희의 기도에 민심이 들끓는 진짜 이유옛글들/네모난 세상 2016. 12. 2. 09:15
기도, 사과, 약속, 도대체 얼마나 많은 가치들을 망칠건가 ‘대한민국을 위해 기도합니다. 내 사랑하는 나라를 위해 기도합니다. 억울한 분들의 기도를 들으소서. 빨갱이들이 날뛰는 사탄의 세력을 물리쳐주소서.’ 윤복희가 SNS에 남긴 짧은 글 하나는 엄청난 후폭풍으로 돌아왔다. 마지막 한 줄에 담겨진 ‘빨갱이’, ‘사탄’ 같은 단어들이 앞부분에 들어간 ‘기도’와는 너무나 어울리지 않는 부적절함을 드러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이 글에는 현 시국에 광화문 광장에 모인 촛불집회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하지만 ‘빨갱이’라는 표현과 ‘세력’이라는 단어가 붙어 우리들이 어쩔 수 없이 먼저 떠올리게 되는 건 그간 그런 어처구니없는 표현으로 매도되던 우리 사회의 많은 양심의 목소리다. 박정희 독재 시절의 반복. 빨갱이와..
-
'개콘'과 '징비록'의 비상, 현실 공감의 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4. 21. 09:32
풍자 세진 , 현실을 떠올리는 지금 대중들의 마음이 꼭 저렇지 않을까. KBS 이 공교롭게도 보여준 선조(김태우)의 파천 장면은 대중들로 하여금 지금 현재 우리가 처한 현실을 떠올리게 했다. 나라가 백척간두의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음에도 제 한 목숨 살기 위해 백성을 버리고 도망치는 선조. 그를 막아 세운 백성들은 “이럴 거면 나라는 무슨 소용이고 임금이 왜 있어야 되느냐”고 토로했다. 사극의 힘은 과거의 박제된 역사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는 걸 명백히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것은 그저 임진왜란 당시 벌어졌던 기록이지만, 재현된 기록은 지금 현재를 상기시킨다. 세월호 1주년에 ‘성완종 리스트’로 시끌시끌한 현 시국이 아닌가. 대중들에게 의 이 한 장면이 새롭게 읽히게 된 데는 그만한 민심이 움직였기 때문이..
-
'작정하고 본방사수', 이것이 민심이다옛글들/명랑TV 2015. 1. 24. 13:42
TV 앞의 여론, “미쳤네. 저 여자.” 어린이집 폭행 교사의 뉴스를 보던 김기용씨는 그 충격적인 CCTV 장면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곽희경씨는 “저거 저거 정신 나갔네. 저게 선생이야?”하고 되물었고, 이학규 할아버지는 “저게 진짜인가? 진짜?”라며 도무지 믿지 못하겠다는 모습을 보였다. 김부선의 딸 이미소가 “엄마 내가 저러면 어떻게 할 거야?”하고 묻자 김부선은 마치 자기 일이나 된다는 듯이 “내가 저거 죽여. 내가 죽여버려.”라고 말했다. 장동민의 아버지인 장광순씨는 “우리 손자를 그랬다면 나는 때린 손모가지를 딱 부러뜨려야지.”라고 했고, 어린이집 교사 10년차인 박은주씨는 “보호자가 어떻게 아동을 학대하냐? 직장 다니는 어머니들을 얼마나 답답할까. 잘하는 교사들도 많은데.. 저런 일 터지면 ..
-
'명량', '해적', '해무'에 비친 세월호의 바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8. 18. 09:47
의 민심, 의 고래, 의 참상 , 에 이어 까지. 공교롭게도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에 나온 한국 영화 3편이 모두 바다를 공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들이 모두 단 몇 달 전 있었던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건 그 공간이 바다라는 사실 때문만은 아니다. 거기에는 세월호 참사가 벌어지기 이전부터 이미 영화 제작자들의 마음 속에 틈입되었을 현실들이 깔려 있다. 놀라운 일이 아닌가. 세월호 참사가 벌어지기 전부터 제작된 영화들이 마치 예언이라도 한 것처럼 이 안타까운 일을 환기시킨다는 것은. 3백여 척이 넘는 왜적들과 어느 방향으로 휘돌아갈지 알 수 없는 죽음의 회오리 바다 위에서 그것도 국가로부터 버림받은 장수와 병사들 그리고 민초들이 두려움을 넘어 세상과 싸우는 이야기 은 세월호 참사에서 숭고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