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명량', '해적', '해무'에 비친 세월호의 바다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명량', '해적', '해무'에 비친 세월호의 바다

D.H.Jung 2014. 8. 18. 09:47
728x90

<명량>의 민심, <해적>의 고래, <해무>의 참상

 

<명량>, <해적>에 이어 <해무>까지. 공교롭게도 여름 블록버스터 시장에 나온 한국 영화 3편이 모두 바다를 공간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들이 모두 단 몇 달 전 있었던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건 그 공간이 바다라는 사실 때문만은 아니다. 거기에는 세월호 참사가 벌어지기 이전부터 이미 영화 제작자들의 마음 속에 틈입되었을 현실들이 깔려 있다. 놀라운 일이 아닌가. 세월호 참사가 벌어지기 전부터 제작된 영화들이 마치 예언이라도 한 것처럼 이 안타까운 일을 환기시킨다는 것은.

 

'사진출처:영화<명량>'

3백여 척이 넘는 왜적들과 어느 방향으로 휘돌아갈지 알 수 없는 죽음의 회오리 바다 위에서 그것도 국가로부터 버림받은 장수와 병사들 그리고 민초들이 두려움을 넘어 세상과 싸우는 이야기 <명량>은 세월호 참사에서 숭고하게 희생된 이들을 떠올리게 한다. 제 살길이나 찾자며 도망치는 왕이나 신하들은, 가라앉는 배에 무력했던 정부의 리더십과 승객들을 책임지기는커녕 제 목숨 하나 챙기려 도망치는 선장을 연상케 한다.

 

죽을 줄 알면서도 그 명량의 바다로 나가는 이순신 장군과 병사들의 모습에서는 그 가라앉는 배의 두려움 속에서도 학생들을 향해 달려갔던 숭고한 선생님과 승무원들의 희생이 떠오른다. <명량>1400만 관객을 넘어 전무후무한 1500만 관객을 향해 달려가는 신드롬은 새삼 일어난 이순신 장군 열풍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어쩌면 세월호 참사로 인해 무겁게 생겨난 우리의 마음 깊숙이 존재하는 부채감 때문인지도 모른다.

 

<해적>은 코미디를 전면에 내세운 영화지만 거기에서도 세월호의 잔상이 어른거린다. <명량>이 그러한 것처럼 이 영화에서도 국가는 좀체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민초들은 떠돌다 산적이나 해적이 되고 국가는 왕권을 인정받기 위해 명나라의 재가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이 영화의 기막힌 풍자는 명나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가져오는 옥쇄를 고래가 꿀꺽 삼켜버린다는 설정이다.

 

그런데 왜 하필 고래인가. 조정은 고래가 옥쇄를 삼켰다는 그 사실이 백성들에게는 왕권을 인정하지 않는 하늘의 뜻으로 읽힐 것이라며 해적까지 동원해 옥쇄를 되찾으려 한다. 즉 고래는 여기서 선량하지만 핍박받는 대다수의 백성들(천심)을 상징화한다. 어미 고래는 그저 자식을 보호하려할 뿐이지만 조정은 그 자식을 볼모삼아 고래를 죽이려 한다. 세월호의 침몰을 마치 우리나라의 침몰로 느낀 분들이라면 그저 자식 하나 보호하려 안간힘을 쓰다 쓰러져가는 고래에서 그 비슷한 잔상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해무>IMF 시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감척사업으로 인해 폐선이 될 위기에 몰린 전진호가 밀항에 손을 대면서 벌어지는 참사에 대한 이야기다. 만선의 꿈은 일찌감치 사라져버렸고 그저 생존하기 위해 벌인 일은 사람다운 땀과 노동의 공간이었던 전진호를 지옥 같은 살육의 공간으로 바꿔버린다. 그리고 침몰하는 배. 여기서도 우리는 세월호의 한 자락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무엇이 선량했던 그들을 그렇게 악귀 같은 모습으로 변모하게 만들었던가. 가라앉는 전진호는 그래서 자본의 논리 속에 인간실종으로 내몰린 세월호라는 결과를 상징화한다.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바다 안개, 해무의 정국. 그 혼돈의 시간 속에서 그 혼돈에 가려진 채로 폭력들이 자행된다. 하지만 제 아무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안개 속에서 벌어진 일이라 해도 그것을 마음속에서 마저 지울 수는 없다.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지 몇 달 마치 그 일이 없었던 것처럼 조용해도 그걸 지울 수는 없는 것처럼. 그 원죄의식과 부채감은 그래서 고스란히 남은 자들에게 파국으로 다가온다.

 

<명량><해적> 그리고 <해무>라는 영화 세 편이 모두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한다는 건, 영화가 그걸 기획했기 때문이 아니라, 이미 이 참사가 벌어지기 전부터 우리네 참혹한 현실이 그 참사를 예고하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이미 그 전부터 <명량>의 바다는 버림받은 민심으로 들끓었고, <해적>의 바다는 무고한 백성들의 고래를 살육해왔으며, <해무>의 안개 가득한 바다 속으로 벼랑 끝에 몰린 가장들을 내몰아왔다. 그렇다면 세월호 참사는 그 무수한 과정들의 결과인 셈이다. 올 여름 극장가에는 웃음 속에서마저 그 지켜주지 못했다는 부채감과 잘못된 세상에 대한 분노, 그리고 같은 현실 속에서 느껴지는 그 아픔에 대한 공감대가 뒤섞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