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이몽>, 아빠는 왜 딸 보호에 집착하게 됐을까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이하 동상이몽)>에는 과도하다 싶을 정도로 딸의 옷차림에 집착하는 아빠의 이야기가 전해졌다. 핑크색 옷이 남자들을 자극한다며 딸이 입고 밖에 나가지 못하게 막기도 하도, 핫팬츠를 입은 딸에게 심지어 그런 건 쓰레기들이나 입는 것이라고 폭언을 하는 아빠. 통금시간도 8시로 정해놓고 1분만 늦어도 잔소리를 늘어놓는 그는 제아무리 보호 차원이라고 해도 과도하다 싶었다.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사진출처:SBS)'

하지만 <동상이몽>이 늘 그러하듯이 아빠의 입장을 대변하는 화면에서는 그가 왜 그렇게 과도하게 딸의 보호에 집착하게 됐는가가 드러났다. 딸이 핫팬츠 차림으로 찍어 SNS에 올린 사진을 누군가 캡처해 인터넷에 게시해놨는데 거기에 입에 담지 못할 악플과 음란한 댓글들이 줄줄이 달려 있었다는 것. 그걸 보게 된 딸이 엄청난 충격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아빠가 그토록 딸의 옷차림에 신경 쓰고 통금시간을 정해 잔소리를 늘어놓은 이유는 바로 그 충격적인 사건 때문이었다. 물론 성격적인 면도 있었지만 그보다 이처럼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는 세상에 아리따운 딸이 노출되는 것 자체가 그에게는 큰 불안으로 자리했던 것.

 

<동상이몽>은 물론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루지는 않았다.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너무 심각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지 않았을 수 있다. 하지만 짧게 방영된 딸의 사진이 게재된 SNS의 이야기는 결코 가볍게 볼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 현재 맞닥뜨리고 있는 이른바 투명사회의 어두운 그림자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의 저변을 타고 우리에게 일상화되어 있는 셀카 문화는 이 투명사회가 작동하는 중요한 방식 중 하나다. 스스로 자신의 사적인 영역을 과시하듯 드러내는 것이 마치 반드시 해야만 하는 어떤 것이 되어버린 사회. 이 사회에서는 모든 것이 전시되는 가치로서 매겨지기 마련이다. 즉 전시되지 않으면 소외감을 느끼는 사회라는 것.

 

하지만 이렇게 부추겨진 전시는 <동상이몽>이 보여주듯 그 자체로 이상하게 소비되거나 심지어 범죄행위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그것은 사생활이 공개된 이도 피해자로 만들지만 누구나 그런 사진 아래 버젓이 자극적인 댓글을 달아야 될 것 같은 환경 속에서 아무 생각없이 댓글을 단 이들 또한 가해자이자 피해자로 만들어낸다.

 

<동상이몽>의 아빠는 심지어 이런 내막을 모르고 봤을 때는 너무나 집착이 과도해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건 아닌가 할 정도로 비춰졌다. 하지만 이것이 어디 아빠의 잘못인가. 그런 과도한 집착을 하게 만드는 이 사회의 불안함이 그 진짜 원인이 아닐까. 그 모습이 심지어 병적이라면 정상적인 아빠를 그렇게까지 몰고 간 사회 역시 병적이라는 얘기는 아닐까.

 

<동상이몽>은 결국 아빠가 딸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고, 딸 역시 아빠를 사랑한다는 걸 보여줬다. 그렇다면 이들의 갈등을 만들어낸 건 도대체 뭘까. 우리가 매일 같이 당연한 듯 하고 있는 투명사회의 무수한 강령들, 즉 자신을 과시하듯 전시함으로써 존재가치를 인정받거나 그런 전시된 것에 자극적인 코멘트를 다는 것이 하나의 문화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 사회가 만들어내는 불안 요소들 때문이 아니었을까.



<화정>의 새로움, MBC 사극 되살릴까

 

어느 입장 하나 공감가지 않는 게 없다. MBC 월화 사극 <화정>이 그리는 캐릭터들의 특징이다. 먼저 이 사극의 중심에 서 있는 광해군(차승원)을 떠올려보라. 역사가 기록한 폭군의 시각을 벗어나 이 사극은 왜 광해군이 그렇게 냉혹한 결정들(친족들을 제거한 일)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화정(사진출처:MBC)'

적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임진왜란 당시 선조(박영규)에 의해 꼭두각시처럼 세워졌으나 끝내 인정을 받지 못한 왕. 그로 인해 그를 따르는 대신들도 없는 상황에 지지 없는 왕좌 위에서 어린 영창대군을 앞세워 시시각각 용상을 넘보는 이들을 보며 서운함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끼는 왕. 영창대군과 정명공주가 잠시 궁을 빠져나간 일로 그들을 제거하려 했다는 누명까지 쓰는 왕. 광해군이 왜 냉혹해졌는가 하는 그 이유에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광해군과 맞서 있는 영창대군의 모친 인목대비(신은정)의 입장에서 보면 그녀의 선택들 역시 공감할 수밖에 없다. 광해군 스스로도 잘 알고 있듯이 그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영창대군의 안위다. 그래서 선조가 독살 당하던 날 영창대군을 제거하려 한 시도가 있었다는 사실은 그녀로 하여금 광해군을 믿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결국 이 시도를 한 주범인 임해(최종환)를 내침으로써 광해군은 비로소 인목대비로부터 왕위의 재가받을 수 있게 된 것.

 

그렇지만 이것이 끝이 아니다. 인목대비의 불안감은 사라지지 않는다. 게다가 끝없이 그 불안감을 부추기며 영창대군을 왕위에 세우려는 외척들은 그녀가 왕좌에 대한 욕심을 갖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된다. 모성애만큼 잔인한 게 없다고 하던가. 인목대비의 선택은 자식의 안위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어떤 욕망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어린 시절 광해군을 세자라 부르기 보다는 줄곧 오라버니라고 부르며 자라났던 정명공주(정찬비)는 광해군과 인목대비 사이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광해군이 임해를 살해하고 자신과 영창대군까지 죽이려 할 것이라는 백성들의 이야기에 그녀는 불같이 화를 낸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이야기 사실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두려워진다.

 

그 두려움 때문이었을까. 정명공주가 광해군을 오라버니가 아닌 전하라고 부르자 광해군은 그녀의 변화를 직감하고는 쓸쓸해진다. 하지만 돌아서는 길, 정명공주가 오라버니라 부르며 대보름날 더위를 사가라고 하자 마음이 뭉클해진다. 그렇게 오래오래 매년 더위를 사가라는 정명공주의 이야기에 두 사람이 모두 눈물을 글썽이게 된 건 그들의 애틋한 오빠 동생 관계를 확인하는 동시에 그들이 처한 외적인 상황들이 겹쳐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찔한 성벽 위에서 발을 헛디딜 뻔한 영창대군의 손을 잡아주며 광해군은 너무 위험한 곳에 올라왔다는 의미심장한 말을 던진다. 괜스레 두려운 영창대군이 뒷걸음질을 치자 광해군은 내가 두려우냐?”고 물으며 자신도 네가 두렵다고 고백한다.

 

고립무원 광해군의 외로움과 두려움 그리고 생존하기 위한 몸부림이 이해되는 반면, 인목대비의 모성애에 고개가 끄덕여지고 또한 정명공주의 갈등 역시 공감이 간다. 어느 한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캐릭터들이 이렇게 저마다의 입장을 설득하고 있다는 건 <화정>이라는 사극의 새로운 면모다.

 

사극이라고 하면 역사를 다룰 수밖에 없고, 그 역사는 어떤 식으로든 한 사람의 관점을 취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것은 구시대적 관점이다. 지금은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관점들이 공유되는 시대다. 그러니 <화정>이 제시하는 이 다각적인 입장들의 충돌은 우리가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도로서 다가온다.

 

MBC 사극은 지금껏 1인칭 시점의 이야기들을 풀어온 바 있다. <대장금>이나 <상도>, <허준>, <선덕여왕>, <이산> 등등 인물을 전면에 내세운 사극은 그들의 관점으로 일대기를 다루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런 사극의 관점은 이제는 조금 패턴화된 면이 있다. 따라서 이 문법에서 살짝 벗어나 있는 <화정>의 시도는 참신하게 다가온다. 그간 살짝 고개를 숙이고 있던 MBC 사극. <화정>은 그 MBC 사극을 되살릴 수 있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