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이 지키는 유일한 어른 윤계상이 유괴범이라는 건(‘유괴의 날’) ‘유괴의 날’, 아이조차 도구로 삼는 비정한 세상에 대한 풍자 도대체 누가 이 아이의 진짜 보호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지니TV ENA 수목드라마 에서 명준(윤계상)은 로희(유나)를 유괴했다. 유괴할 위인이 못돼는 마음 약한 사람이지만 병원에 있는 딸을 살리기 위해 집 앞까지 갔고, 갑자기 차 앞으로 뛰어들고는 쓰러진 로희를 엉겁결에 집으로 데려왔다. 유괴처럼 보이지 않지만 결과적으로는 유괴를 하게 된 것이다. 그는 유괴범이다. 딸의 수술비를 위한 것이라고 해도 그 유괴의 목적은 결국 돈이다. 그 돈을 받아내기 위해 아이는 수단이자 도구가 된다. 그런데 이 어리버리한 유괴범 명준은 깨어나 기억을 잃은 채 자신을 아빠라 여기는 로희 앞에서 어쩔 줄 몰라 하고, 결국 딸처럼 로희를 챙기기 시작한다. 로희에게.. 더보기 '펜트하우스' 죽고 또 죽고.. 개연성 따윈 필요 없고 자극만? '펜트하우스', 사람은 없고 작가가 만든 사이코패스들만 넘쳐난다 죽고 또 죽고... 벌써 몇 명이 죽은 걸까. SBS 월화드라마 는 매회 인물이 죽어나간다. 드라마 시작부터 헤라팰리스 고층 건물에서 누군가에 의해 추락 사망하는 민설아(조수민)로 문을 열었다. 민설아가 떨어질 때 전망엘리베이터를 탄 심수련(이지아)은 그와 눈을 마주친다. 그리고 민설아는 이 주상복합의 상징처럼 세워진 헤라 조각상 위로 떨어져 피투성이가 된 채 사망한다. 아마도 이런 시작은 가 거대한 욕망의 표상처럼 보이는 헤라팰리스가 민설아 같은 이들의 피 위에 세워졌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드라마는 그 장면에 그런 의미를 담기보다는 이곳에 살아가는 인간 같지 않은 이들이 벌이는 폭력들을 병치함으로써 시청자들의 뒷목을.. 더보기 '라이프', 왜 조승우가 악역을 맡아야 했는지 이제 알 것 같다 ‘라이프’ 조승우, 악역 같은데 단순 악역이 아닌 이유이제야 왜 조승우가 이런 역할을 맡았는지 이해가 간다. 이수연 작가의 전작이었던 에서 조승우는 황시목이라는 검사 역할을 연기했다. ‘첫 번째 나무’라는 뜻의 ‘시목’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이 검찰이라는 거대한 비밀의 숲의 숨겨진 적폐들을 드러내는 중심 역할을 해냈다. 그는 어느새 이수연 작가의 페르소나 같은 배우로 다가온다.그래서였을까. 그가 이수연 작가의 새 드라마 에서 구승효라는 상국대학병원 신임사장 역할을 한다는 것이 어딘가 의아하게 다가왔다. 구승효는 사학재단을 인수해 실상을 병원으로 수익을 내려는 화정그룹이 그 ‘의료 서비스 사업’을 만들어내기 위해 이 병원에 온 인물이다. 그는 만성 적자의 원인이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 더보기 '라이프', 당신이 믿고 다니는 병원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일 ‘라이프’, 강력한 항원 조승우 vs 만만찮은 항체 이동욱놀랄 만큼 입체적이다. 병원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만이 아니라, 그것이 병원 밖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고, 생명을 살린다는 그 의사의 본분을 담는 병원이 또한 자본이라는 괴물의 시스템 속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걸 새삼 확인시킨다. 병원을 소재로 하는 의학드라마가 이토록 입체적으로 병원을 보여준 적이 있던가. JTBC 월화드라마 가 담아내고 있는 병원이다. 구승효(조승우)는 물류센터 사장으로 화정그룹이 인수한 상국대학병원을 맡게 되면서 각 과별 경영실적부터 챙겨본다. 가장 적자 폭이 큰 과가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그리고 응급과. 그 과들을 어떻게 처리할까 고민하던 차에 ‘지방병원 파견 근무’ 제도라는 게 있다는 걸 알게 되고 그 .. 더보기 '식량일기', 키운 닭 먹는 딜레마만큼 애매한 재미와 의미 사이 ‘식량일기’, 농사의 과정을 보여주는 의미는 충분하지만tvN 새 예능프로그램 가 첫 회에 주로 화제가 된 건, 과연 직접 알에서부터 부화시켜 키운 닭을 과연 잡아먹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즉 출연자들이 처음 상견례(?)를 할 때 사온 닭과 식재료들로 닭볶음탕을 해먹었을 때는 그토록 맛있기만 했던 그 음식을, 이제 그 재료들까지 직접 생산해 만들어먹어야 한다는 미션이 주어지자 과연 키운 닭을 먹을 수 있을까 하는 딜레마가 생겼던 것. 이는 닭을 식량으로 보느냐 아니면 관계를 맺은 하나의 생명으로 보느냐의 차이였다. 내가 직접 키우지 않고 누군가 잡은 닭은 아무런 감정 교환이 없었다는 점에서 식량으로 볼 수 있지만, 알이 부화되어 나온 병아리들을 손수 키우며 그 과정을 들여다본 이들은 쉽게 그 닭을 식..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