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트콤
-
'응답하라1994', 양상국도 울고 갈 촌스러움에 빠져드는 까닭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0. 28. 09:30
, 왜 촌스러움을 전면에 세웠을까 기성 드라마와 비교해보면 는 세련된 드라마는 아니다. 첫 회를 삼천포(김성균)의 상경기 하나로 오롯이 채워 넣은 것은 기존 드라마 문법으로 보면 모험에 가까운 것이었다. 대체로 멜로드라마의 첫 회란 남녀 주인공에 맞춰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는 꽤 많은 시간을 삼천포의 상경기에 할애했다. 이것은 자칫 잘못하면 드라마에 시트콤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었다. 아마도 이런 선택을 과감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은 예능을 해봤던 경험 때문일 게다. 드라마? 꼭 그 문법을 따라갈 필요가 뭐가 있단 말인가. 는 그래서 예능이 그러한 것처럼 때론 조금은 과장된 시트콤적인 상황을 통해 캐릭터와 웃음을 만들어내면서 필요하면 내레이션으로 상황을 설명하기도 하고 인물의 심리를 대놓고 드러내기도 한다..
-
확 바뀐 '우결', 왜 시트콤 같을까옛글들/명랑TV 2012. 10. 15. 09:27
, 결혼 놀이가 재미는 있지만... ‘리얼과 가상을 넘나드는 커플들의 좌충우돌 가상결혼생활을 통해, 연애와 결혼에 관한 현실적 고민의 해답을 찾아본다.’ 이것이 의 프로그램 소개다. 즉 가상이지만 그것을 통해서 현실을 모색한다는 얘기다. 물론 이 소개는 의 초반에는 꽤 진지한 기획의도였을 게다. 가상 결혼이라는 것이 자칫 연예인의 은밀한 사생활을 엿보는 자극으로 비춰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꽤 오랫동안 프로그램이 지속되면서 는 어떤 패턴이 만들어지기도 했고, 결혼생활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권태감이 생긴 것도 사실이다. 이제 설레는 만남과 밀당, 스킨십, 이벤트 그리고 이별로 이어지는 그 패턴은 시청자들에게는 그게 그거인 이야기로 다가오기도 한다. 마치 반복된 결혼생활이 점점 자극에 무뎌져 가게 되..
-
<스탠바이>가 <하이킥>보다 나은 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5. 17. 10:47
시트콤, 굳이 심각해질 필요 있을까 는 확실히 만큼 화제가 되고 있지는 않다. 시청률에 있어서도 5% 정도에 머물러 있다. 역시 시트콤에 있어서는 김병욱 PD가 갖는 존재감이 그만큼 크다는 반증이다. 시리즈가 시트콤들 중에서 가장 도드라진 지점을 차지하는 이유는 그것이 좀 더 현실을 반영한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은 그 자체가 낮은 자들이 높은 자들에게 날리는 것이니까. 그래서 시리즈를 볼 때 우리는 조금 진지해진다. 캐릭터가 표상하는 현실 반영적인 지점을 찾아내려 하고, 그들 사이의 권력 관계와 그 변화를 예민하게 바라본다. 또 이야기 소재에 있어서도 그 스토리가 갖는 풍자적 의미 같은 것을 찾아내려 한다. 당연히 이런 지점들은 이라는 시트콤에 화제성을 높이는 요소다. 하지만 때로는 과도한 의미화가 시..
-
‘하이킥3’의 정극 흉내, 시트콤 아니었나?옛글들/명랑TV 2012. 3. 10. 11:41
김병욱 감독조차 시트콤이 싫어진 건 아닐까 '하이킥3'는 시트콤이다. 물론 그걸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굳이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하이킥3'가 시트콤으로서 가져야할 코미디적인 요소들이 태부족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코미디적인 요소들이 임팩트 있게 살아나지 않는 '하이킥3'는 그래서 어떨 때는 청춘 멜로물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서지석과 박하선의 '손발이 오그라드는 애정행각'과 윤계상, 김지원, 안종석의 빗나간 큐피드 화살이 만들어내는 안타깝기 그지없는 사랑이 이 시트콤의 중심축처럼 여겨진다. 시트콤이라고 해서 멜로가 불필요하다는 건 아니다. 아니 어쩌면 잘 짜여진 멜로는 발랄한 코미디와 대비를 이루면서 시트콤의 새로운 재미를 덧붙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시트콤으로서의 충분한 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