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아역 연기에 남는 씁쓸한 뒤끝

 

이건 아이들이 아이들이 아니다. 주말극 <다섯손가락>과 <메이퀸> 속에 등장하는 아이들 얘기다. 이 두 주말극은 모두 성공에 대한 욕망과 대결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전략을 가진 드라마다. <제빵왕 김탁구>의 성공 이후에 전가의 보도처럼 다뤄지던 출생의 비밀과 대결, 그리고 성장드라마의 요소를 이 두 드라마에서 모두 발견할 수 있다. 이 두 드라마가 초반부에 아이들을 전면에 내세우고 그들이 어른들 못지않은 대결의 날을 세우고 있는 건 이러한 유사한 전략적 바탕에서 비롯된 것이다.

 

'메이퀸(좌)'과 '다섯손가락(우)'(사진출처:MBC,SBS)

<다섯손가락>에서 인하(김지훈)는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가 데려온 배다른 형 지호(강이석)를 사사건건 무시하고, 밀어내기 위해 거짓말도 일삼는다. 피아노 대결에서 지호를 이기기 위해 다치지도 않은 손에 깁스를 하고 동정표를 얻어 1등을 차지하는가 하면, 대결 당일 지호를 참가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있지도 않은 지호의 친 엄마를 봤다고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인하는 어린 아이라고는 생각하기 힘들 정도로 강렬한 욕망을 드러내 보여주는데, 이 아이를 이렇게 만드는 건 다름 아닌 아빠인 유만세(조민기)다. 유만세는 어린 아이들 앞에서 후계 운운 하면서 경쟁 구도를 노골화하는 혹독함을 보여준다.

 

<메이퀸>에서 해주(김유정)는 어린 시절 버려져 천홍철(안내상)의 집에서 자라난다. 천홍철이 바깥에서 데려온 자식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아내 조달순(금보라)은 그런 해주를 구박하고 못살게 군다. 이 드라마에서 해주는 마치 옛 드라마의 억척 어머니 같은 역할을 해낸다. 동생을 챙기고, 가족의 밥을 챙기고 집안의 궂은일을 도맡아 한다.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지나칠 정도다. 또 이 드라마의 창희(박건태)는 천지그룹의 오너인 장도현(이덕화)의 집에 얹혀사는 아버지 때문에 늘 그의 아들인 일문(서영주)에게 괴롭힘을 당한다. 그런데 이 일문은 창희의 아버지인 박기출(김규철)을 창희 앞에서도 하인 부리듯 하는 패악을 저지른다. 역시 아이로서는 보기 힘든 지나친 행태가 아닐 수 없다.

 

두 드라마가 아역들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그 역할을 연기하는 아이들이 주목받는 것도 사실이다. 아이들이 아이들이 아니라는 얘기는 그래서 여기 등장하는 아이들이 그 나이에 맞는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는 얘기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그 역할을 연기하는 아역들이 어른 못지않은 연기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다섯손가락>의 인하와 지호를 각각 연기하는 김지훈과 강이석이 그렇고, <메이퀸>의 김유정이나 박지빈, 박건태가 그렇다. 특히 김유정은 아역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극 전체를 이끌어가는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해를 품은 달>에 이어 그녀는 이 작품을 통해 확실히 아역의 선을 넘어서버린 느낌이 있다.

 

이렇게 연기력이 어른 못지않은 아역들이 투입되면서 자칫 막장으로 흘러갈 수 있을 정도로 자극이 강한 이 두 드라마는 확실한 두 가지 이점을 갖게 되었다. 그것은 어른들이 당해도 참혹할 정도의 상황을 아이들이 겪게 됨으로써 그 자극을 더 높여주었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에 막장의 느낌을 상당히 상쇄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아역 분량이 드라마에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은 그만큼 연기력으로 무장한 아역들이 많아지는 이유도 있지만, 이러한 드라마로서의 이점들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드라마의 장점이 분명하다고 해도 이를 통해 아이들 같지 않은 아이들이 방송에 점점 버젓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은 그다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드라마의 설정이 점점 막장에 가까운 자극으로 흘러가고, 그 속에 아이들이 배치된 상황은 그래서 마치 우리네 현실을 표징하고 있는 것만 같아 안타깝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막장 같은 세상에 아이들까지 동원하고 있는 듯한 느낌. <다섯손가락>과 <메이퀸>의 아역들을 보면서 어쩜 저렇게 아이들 같지 않게 배역을 잘 소화하고 있는가 감탄하면서도, 씁쓸한 뒤끝이 남는 건 그 때문이다.

'매리는 외박중', 어른 없는 세계를 꿈꾸는 드라마

"우리 아빠 때문에 미안해." "우리 엄마 때문에 미안해." 무결(장근석)의 엄마 감소영(이아현)과 매리(문근영)의 아빠 위대한(박상면)이 다투고 나자, 무결과 매리는 서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마치 부모가 자식 다툼에 대해 얘기하듯.

'매리는 외박중'이라는 작고 귀여운 세계에 어른들은 외박중(?)이다. 위대한과 감소영은 둘다 그럴 듯한 직업이 없다. 어찌 보면 이 두 어른들을 돌보는 건 거꾸로 매리와 무결이다. 매리는 빚 독촉에 시달리는 아빠를 위해 100일 결혼 계약을 하고(그래서 떡볶이집 사장이 되기도 했다), 무결은 여전히 현실감이 없는 엄마가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 정인(김재욱)의 회사와 계약을 한다. 물론 정석(박준규)도 마찬가지. 여전히 매리의 엄마를 잊지 못해 매리를 며느리로 들이려는 그는 좋게 말해 로맨티스트다.

어른 없는 세계에 오롯이 서 있는 네 인물, 매리, 무결, 정인(김재욱), 서준(김효진)은 저들끼리 어른들의 세상과 맞서보려 한다. 어른들의 세상에서 정인의 아버지는 사랑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황혼을 완성하기 위해 아들을 메리와 결혼시키려 하고, 위대한은 딸을 사랑하지만 딸의 사랑은 아랑곳없이 결혼을 시키려 한다. 무결의 엄마 감소영은 아들이 겪는 사랑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어른들을 뒤로 밀어낸 이 드라마는 그래서 그 위에 청춘들의 드라마를 세우려 한다. '우리 결혼했어요' 같은 가상 결혼 설정이 그것이다. 매리는 오전에는 정인과 오후에는 무결과 함께 지내면서 쿨하지만 풋풋한 일과 사랑을 꿈꿔나간다. 그래서 매리가 해보는 가상 결혼이라는 설정은, 흔히 막장드라마로 도드라지게 그려지는 어른들의 세계, 즉 결혼하면 늘 등장하는 정략결혼 같은 것과 대결하는 것처럼 보인다.

어른들은 이 장난 같고 심지어 대책 없어 보이기까지 하는 아이들의 사랑을 용납하려 들지 않는다. 매리의 아버지는 무결을 그저 그런 한량쯤으로 여기고, 정석은 자신의 아들 정인을 마치 자신의 욕망을 위한 소유물처럼 다루면서 사랑 또한 강요한다. 하지만 이런 막장스런 어른들의 강권 속에서도 아이들은 저들끼리 귀엽고 예쁜 사랑을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드라마 속의 네 청춘들이 만들고 있는 음악드라마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다. 시청률 때문에 편성이 되지 않는 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기성세대의 입맛에 맞게 고쳐야 하는 상황 속에서도 정인과 매리는 포기하지 않는다. 매리가 아이디어를 내고 정인이 채택한 사전제작 방식은 그래서 이 '매리는 외박중'이라는 드라마가 꿈꾸는 것이기도 하다. 시청률과 상관없이 오롯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그려내는 것.

이 작품에서 네 명의 청춘을 연기하는 연기자들은 기성 드라마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심지어 만화적이고 동화적인 캐릭터를 보여준다. 문근영은 귀여움의 극치를, 장근석은 귀차니스트와 자유로움의 극치를, 김재욱은 신사다움의 극치를, 그리고 김효진은 스타답고 여성스러운 매력의 극치를 보여준다.

'매리는 외박중'이 시청률이 안 나온다고 작품성이 떨어진다고 말하는 건, 스스로 기성 드라마의 자극적인 공식에 익숙해졌다는 얘기도 된다. 이 드라마는 바로 그 점을 뒤집으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른 없는 세계, 막장 없는 드라마, 동화 같은 판타지 같고 심지어 만화 같지만, 그래도 청춘들의 고민을 담아내는 드라마. 이 사랑스럽고 귀여운 드라마가 꿈꾸는 세계는 시청률이라는 잣대로는 드러나지 않는(혹은 드러날 수 없는) 가치를 갖고 있다.

어른들의 세상에 대한 일침, '별을 따다줘'

거침없이 상승하는 '별을 따다줘'의 그 힘은 어디서 나올까. 부모가 죽고 남겨진 다섯 동생들과 함께 거리로 나앉게 된 진빨강(최정원)의 그 눈물겨운 이야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녀가 보여주는 성장스토리 때문일까. 동생들과 함께 냉혈한 변호사 원강하(김지훈)의 집의 식모로 들어와 벌어지는 현대판 신데렐라 이야기 때문일까, 아니면 그 기묘한 동거에서 벌어지는 해프닝이 주는 유쾌한 웃음 때문일까.

아마도 이 모든 요소들이 이 착한 드라마의 원동력일 것이다. 하지만 이 드라마가 주는 진짜 묘미는 다른 곳에 있다. 냉혈한 원강하로 대변되는 어른들의 세상에 맞서는 '어린 아이 눈빛 공격(?)'이 그것이다. 자신의 영역에 그 누구도 들여놓지 않았던 원강하가 진빨강과 그 동생들을 조금씩 허락하게 된 것은, 그 아무런 사심 없는 아이의 눈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저씨가 제일 좋아요"하고 말하는 진파랑(천보근)의 그 순수한 눈은 원강하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여낸다.

이 드라마가 현실적이라기보다는 한 편의 동화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거기 등장하는 인물들의 대비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즉 이 드라마에는 어른과 아이(아이 같은 마음을 가진 인물들)가 서로 대립하고 있다. 진빨강에게 늘 카드를 내주고 돈을 꾸어주면서도 오히려 그녀를 더 걱정하는 한진주(박현숙)나, 그녀와 함께 빨강을 도와주는 최은말(김지영)은 어른이지만 아이의 마음을 갖고 있는 인물들이다. 또 어딘지 부족한 듯 보이지만 마음만은 따뜻한 우태규(이켠) 역시 덜 자란 아이 같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늘 냉정한 원강하를 비롯하여, 자신의 욕망에만 사로잡혀 있는 JK생명의 사장 정인구(김규철)와 그 아내 이민경(정애리), 그리고 그 딸인 정재영(채영인) 같은 인물들은 어른들의 표상이다. 그들은 물질적인 욕망에 빠져 사람을 보지 못하게 된 인물들로, 순수한 아이 같은 마음들을 견딜 수 없어 한다. 그것이 이미 어른이 되어 잃어버린 자신들의 순수했던 마음을 자꾸 반추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원강하는 어느 날 불쑥 자신에게 찾아온 그 순수한 아이 같은 마음 때문에 흔들린다.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어딘지 잘못되어 있다는 생각으로 괜스레 런닝머신 위에 올라 자신을 학대하는 그는, 조금씩 아이들에게 마음을 열어간다. 진빨강은 어른흉내를 내던 철없던 캐릭터. 그런 그녀는 동생들을 통해 아이 같은 순수한 마음을 되찾고, 그것을 힘으로 다시 냉혹한 사회에 설 수 있게 된다. 진빨강과 원강하가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되는 그 과정 역시 어른들의 세상에서 아이들의 순수함을 찾아가는 그 과정으로 보인다.

흔히들 세상에 가장 무서운 것이 자식들의 눈이라고 한다. 이 드라마는 그것의 확장판으로서 아이들의 무섭고도(?) 순수한 눈으로 세상을 들여다본다. 이것은 동화의 힘이다. 그 순수한 세계를 읽을 때마다 나이든 우리가 현실 속에서도 자꾸만 잃어버렸던 어떤 것을 찾게 되는 것은 그 힘이 우리 마음을 흔들어놓기 때문이다. 참으로 지긋지긋한 어른들의 세상 속에서 우리는 어쩌면 동화를 꿈꾸는지도 모르겠다. '별을 따다줘', 이 아이 같은 제목을 가진 드라마가 힘을 발하는 것은 거꾸로 이 각박한 세상의 어른스러움을 말해주는 건 아닐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