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씨남정기
-
도대체 못하는 게 뭐야? JTBC의 독보적인 존재감옛글들/네모난 세상 2017. 3. 3. 09:48
JTBC 전성시대, 뉴스·드라마·예능 다 잡았다늘 지금만 같으면 JTBC라는 방송사 브랜드는 지상파의 자리를 지워버릴 듯싶다. 개국한 지 5년이 조금 지났지만 JTBC는 뉴스면 뉴스, 드라마면 드라마, 예능이면 예능 모든 분야에서 독보적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위상을 만들어낸 것일까.지상파와 종편을 통틀어 최고의 뉴스 브랜드를 꼽는다면? 많은 이들이 서슴없이 JTBC 을 꼽을 것이다. 손석희 앵커가 영입된 후 JTBC의 보도부문은 그간 지상파 뉴스들이 언론을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던 그 빈자리를 채워왔다. 공영방송이 국민의 눈과 귀가 되어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시청자들에게는 JTBC 이 반가울 수밖에 없었다. 직접 팽목항까지 내려가서 끝까지 보도했던 세월호 참사 보도는..
-
'불야성' 이요원, 왜 이번 얼음공주는 몰입이 안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2. 8. 09:07
, 이 시국에 가진 자들의 복마전이 눈에 들어올까 갈수록 뚝뚝 떨어진다. MBC 월화드라마 의 시청률 이야기다. 첫 회 6.6%를 기록했지만 계속 조금씩 떨어져 5회에는 4.7%까지 떨어졌다. 물론 동시간대 방영되고 있는 SBS 가 20% 시청률을 넘기며 승승장구하고 있는 탓이 크다. 하지만 단지 그것뿐일까. 의 내적인 요인이 있는 건 아닐까. 의 여주인공은 이요원이다. 물론 유이가 연기하는 세진이라는 인물이 전면에 나서서 이요원의 캐릭터 서이경의 페르소나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그래도 드라마의 키를 쥐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이요원이다. 이요원은 나 등을 통해 다양한 캐릭터들을 연기해왔지만 최근 들어서는 일관되게 ‘얼음공주’ 이미지를 가진 캐릭터들을 연기했다. 무표정하고 차갑지만 정글 같은 일터에서 시원시..
-
지독한 현실이든 사랑이든 판타지를 달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6. 6. 07:01
잘나가는 로맨스, 무얼 말하는 걸까 한때는 tvN 같은 스릴러 장르가 드라마의 중심축을 이뤘다면 KBS 이후로 현재의 tvN 에 이르기까지 달달한 로맨스 장르가 그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방영되고 있는 SBS 와 MBC 는 물론이고, 앞으로 방영될 KBS , 이나 SBS 도 결국 로맨스물이다. 김우빈과 수지, 박보검과 김유정 그리고 이준기와 아이유. 그 캐스팅만 봐도 달달함이 벌써부터 느껴진다. 스릴러물이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 끈 건 우리네 사회 현실과 법 정의의 문제를 이들 드라마들이 정확히 꿰뚫었기 때문이다. 은 여러 미제사건들을 건드렸지만 마지막에 가면 결국 권력의 문제로 귀결된다. 가진 자들은 위법한 행위를 하고도 버젓이 살아가고 못 가진 자들은 억울한 죽음을 당하고도 진실조차 규명 받지 ..
-
을의 정서 저격한 '욱씨남정기'가 남긴 것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5. 8. 08:27
사이다 , 대중은 무엇에 열광했을까 사실 갑과 을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2013년에 쏟아져 나와 이슈화되었다. 땅콩 회항 사건이 한참 전이지만 당시에는 이른바 ‘라면 상무’와 ‘빵 회장’ 그리고 ‘조폭우유’가 있었다. 대중들이 ‘갑질’에 대한 문제들에 민감해 할 때 의 미스 김은 통쾌한 ‘을의 반란’을 일찍이 보여준 바 있고, 는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편으로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갑질 세상을 낱낱이 폭로한 바 있다. 그리고 3년이 지난 2016년. 의 과거 인물인 이재한(조진웅) 형사가 현재 인물인 박해영(이제훈) 경위에게 그토록 세월이 흘러도 달라진 게 없다는 걸 알고 절망했던 것처럼, 3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여전히 갑과 을에 대한 이야기는 끊이지 않는다. 는 바로 이 정서를 빙빙 돌지 않고 정공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