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전>, 강용석 빈자리 채울 보수 왜 찾기가 어려울까

 

강용석 없는 <썰전>은 어떨까. 불륜스캔들로 인해 강용석이 <썰전>에서 하차하게 되면서 그 빈 자리를 누가 채울 것인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늘 논란의 중심에 서 있던 강용석이지만 방송에 있어서 그만큼 잘 소화해내는 인물도 없다는 것이 방송가의 중론이다. 그랬기 때문에 늘 논란 속에서도 그가 여러 프로그램을 할 수 있었던 것.

 


'썰전(사진출처:JTBC)'

하지만 능력보다 더 중요한 건 결국 대중들의 호감이다. 논란에 논란이 더해지고 불륜스캔들도 명쾌한 해명이 되지 않으면서 결국 강용석은 비호감의 그늘이 짙어졌고 그 영향은 방송 프로그램에도 그대로 미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썰전>은 사실상 강용석과 이철희라는 두 인물의 힘에 의해 세워진 프로그램이나 다름없다. 그러니 강용석의 하차는 <썰전>에는 큰 고민거리가 될밖에.

 

JTBC 관계자에 의하면 애초에 강용석이 불륜스캔들로 시끄러울 때부터 늘 준비(?)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어떤 기사가 나오거나 사안이 터질 때마다 강용석에게 직접 전화해 확인해왔고, 강용석 하차 시 여러 복안들을 고민해왔다고 했다. 그 안에는 강용석과 이철희를 모두 교체시키는 방안, 강용석을 하차시키고 그 자리를 다른 보수 진영 인물로 채우는 방안이 모두 있었다. 하지만 최근 존재감이 커지고 있는 이철희를 뺀다는 건 더 큰 모험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강용석만 교체하는 방안이 결정된 것.

 

그런데 생각보다 이 일이 쉽지 않다고 한다. 즉 보수진영에 강용석 만큼의 역할을 해줄 인물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사실 진보의 논리는 다소 거칠어도 쉽게 대중들의 마음을 건드리는 면이 있다. 하지만 보수는 그 수구적인 입장 때문에 대중적인 지지를 얻는 게 쉽지는 않다. 그러니 자칫 잘못하면 방송을 통해 비호감의 이미지까지 가질 위험도 있다. 이는 정치인으로서는 치명적인 일이다. 즉 보수의 입장을 대변하면서도 호감 정도는 아니지만 괜찮은 이미지를 전해줄 수 있는 인물을 찾는 게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보통의 시청자들에게 보수가 가진 이미지가 너무나 비호감으로 굳어 있다는 것이 그 근본적인 이유가 될 것이다. 실제로 보수가 그 진정한 가치나 철학을 보여주지 못하고, 가진 자들의 수구적인 입장만을 드러내는 모습을 우리네 서민들은 너무나 자주 목도해온 바 있다. 그러니 서민들의 입장에서 이런 보수의 모습이 호감으로 다가올 리가 만무다.

 

물론 그렇다고 강용석이 진정한 보수의 입장을 대변해왔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는 다만 정치를 가십처럼 씹어서 엔터테인먼트화하는 데 능숙했을 뿐이다. 그래서 강용석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다 그런 거 아니냐는 식의 현실론이 깔린 조소가 느껴질 때가 많다. 즉 그는 방송에 능통했을 지는 몰라도 정치적인 그의 식견으로 시선을 잡아끈 적은 별로 없다. 따라서 제작진의 고민은 그나마 그처럼 방송이라도 하는 인물을 보수쪽에서 찾으려 해도 찾기가 쉽지 않다는데 있다.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이지만 <썰전>에서의 강용석의 빈자리는 그래서 보수의 인물 찾기 같은 모양새를 갖게 되었다. <썰전> 측은 한동안 이철희와 대적할 보수측 인물을 여러 명 세워보면서 그 출연가능성을 타진해본다고 밝혔다. 일종의 오디션의 자리가 된 것. 첫 번째 그 자리는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이 일일 패널로 참여했다. 과연 이 보수의 입을 대변할 <썰전> 오디션(?)의 최종 인물은 누가 될까. 강용석의 빈 자리로 생겨난 새로운 관전 포인트다



<썰전>에 담긴 JTBC의 속내

 

JTBC의 변화가 예사롭지 않다. 최근 손석희씨를 보도부문 사장으로 영입한 것은 JTBC가 여타의 종편들과 확실한 선을 긋겠다고 나선 것이나 마찬가지다. 아직 특정 뉴스나 시사 프로그램을 맡는다는 얘기는 나오고 있지 않지만, 향후 손석희씨가 JTBC 뉴스의 얼굴 역할을 할 것이라는 걸 예측하는 건 어렵지 않다. 지난 5.18에 즈음해 채널A와 TV조선이 망언에 가까운 보도를 내면서 결국 사과까지 했던 사실은, JTBC로서는 부담스러우면서도 확실한 선 긋기의 기회가 되어주었다.

 

'썰전(사진출처:JTBC)'

시작부터 ‘TBC의 부활’을 기치로 내건 JTBC는 사실 보수 장사를 전면에 내세운 종편 프레임으로 분류되는 것이 못내 불편했던 셈이다. 타 종편들과 달리 자체 제작 드라마를 여전히 만들어내고 있고, <무자식 상팔자> 같은 드라마는 1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JTBC만의 가능성을 보여준 바 있다. 최근에는 <히든싱어>가 4% 이상의 시청률을 내면서 케이블을 포함한 지상파 이외의 채널에서 늘 수위를 차지했던 tvN을 앞지르기도 했다.

 

그런데 JTBC에서 유독 주목을 끄는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썰전>이다. 시청률은 2%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 파괴력이나 가치는 그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거기에는 JTBC가 하려는 방송의 방향, 즉 종편과는 정치적인 성향이 다르고, 지상파와는 확실히 차별화되는 지점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썰전>을 보면 그 안에 JTBC의 속내를 볼 수 있다.

 

<썰전>의 두 코너 중 앞 부분에 배치된, 김구라를 메인MC로 해서 강용석 변호사, 이철희 소장이 진행하는 시사 토크쇼 ‘하드코어 뉴스깨기’는 JTBC의 정치적인 입장을 잘 보여주는 코너다. 이 시사토크쇼는 MC들의 자리배치 하나만으로도 확실한 색깔을 그려낸다. 삼각 테이블에 거의 얼굴이 맞닿을 정도로 가깝게 한 면씩을 차지하고 앉아 있는 형국은 그 자체로 오로지 말로만 승부하겠다는 하드코어 토크쇼의 성격을 드러내주고, 프라이버시 영역을 침범하는 좁은 거리가 만들어내는 공격성은 보다 직설적이고 솔직한 이야기를 나누겠다는 독한(?) 혀들의 전쟁을 예고해준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거기 보수를 대변하는 강용석 변호사와 진보를 대변하는 이철희 소장이 함께 앉아 있고, 다른 한 면에 김구라가 마치 JTBC의 방송 성향을 대변하듯 앉아 있다는 것이다. 이 프레임은 보수든 진보든 한 테이블에 앉아 소통하겠다는 정치적인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고, 동시에 정치적 입장 그 자체보다는 방송으로서의 즐거움과 재미를 더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즉 정치적 입장보다 대중의 즐거움을 선택하겠다는 얘기다.

 

전반부에 배치된 ‘하드코어 뉴스깨기’가 JTBC의 정치적인 입장을 보여준다면, 후반부에 배치된 코너 ‘예능심판자’는 방송사로서의 지상파와의 차별점을 보여준다. ‘예능심판자’는 지상파를 망라한 모든 프로그램과 예능인들을 그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JTBC 같은 위치에서만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만일 지상파에서 이런 프로그램을 한다면 그 자체가 공정하지 않게 보였을 것이다.

 

바로 이 위치의 독특함 때문에 ‘예능심판자’는 훨씬 자유롭게 가감 없는 비평을 해낼 수 있게 되었다. 지상파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소재라는 지점은 JTBC가 만들어내려 하는 차별점을 잘 보여준다. <히든싱어> 같은 어찌 보면 성대모사 가창력 대결이라는 B급의 영역도 잘 구성하고 세련되게 포장하면 지상파가 하지 못한 특별한 영역을 개척할 수 있다는 얘기다.

 

들리는 이야기에 의하면 오는 7,8월 즈음해서 손석희씨의 행보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한다. 과연 JTBC는 종편과의 선 긋기에 성공할 수 있을까. 결국 방송사의 성격을 말해주는 것은 프로그램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적어도 <썰전> 같은 프로그램이 가진 가능성과 포석을 평가절하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채워진다면 방송사의 이미지는 자연스럽게 변화할 테니 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