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유 감독
-
임윤아 매직, ‘폭군의 셰프’ 벌써부터 심상찮다옛글들/이주의 드라마 2025. 8. 26. 13:22
‘폭군의 셰프’, 셰프 임윤아, 폭군 이채민도 시청자도 사로잡았다‘이 식감 이 맛은 생전 처음 느껴보는 맛.’ ‘고기가 씹히는 게 아니라 녹네..’ ‘입안 가득 담기는 육즙과 이 양념 맛은 대체 뭐란 말인가.’ 먹어보지도 않고 고기 몇 점 올라온 소반의 음식을 보고 대접이 소홀하다는 둥 일부러 트집을 잡는 채홍사 부자 임송재(오의식)와 임서홍(남경읍)은 일단 먹어보고 평가해달라는 연지영(임윤아)의 제안을 받아들여 한 점 고기를 입에 넣고는 그 맛에 절로 눈이 커진다. 같은 사극 배경에 쿡방과 먹방이 결합한 전형적인 요리 드라마의 한 장면 같지만, 이 요리를 만든 연지영이 그들의 반응을 보며 속으로 쾌재를 부르는 말들은 어딘가 사극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표고버섯의 구아닐산, 멸치의 이노신산, 그리고 ..
-
장태유 감독의 균형잡힌 톤 없이 ‘밤피꽃’의 성과가 가능했을까옛글들/이주의 드라마 2024. 2. 26. 10:06
장태유 감독이 부여한 ‘밤피꽃’의 유쾌하면서도 진중한 톤 드라마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대본이다. 매력적인 캐릭터와 흥미진진한 사건전개가 펼쳐지는 그 밑그림이 분명하게 그려져야 그 위에 연출이든 연기든 힘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흔히들 드라마는 ‘작가 놀음’이라고 말하곤 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작가만큼 중요해진 건 연출자의 몫이다. 그건 최근작들이 멜로면 멜로, 액션이면 액션, 사극이면 사극처럼 분명한 한 장르에 머물기보다는 그 장르들이 복합적으로 뒤섞이는 경향을 띠기 때문이다. 이 때 필요한 건 다양한 장르들이 튀지 않게 조율하며 전체 드라마의 톤을 맞춰내는 일이다. 무려 18.4%(닐슨 코리아)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종영한 MBC 은 그 다양한 장르들의 겹침이 많은 작품이다. 낮과 밤이..
-
이세영, 안은진 이어 이하늬가 꽃피운 MBC 사극(‘밤에 피는 꽃’)옛글들/이주의 드라마 2024. 2. 18. 11:01
‘밤에 피는 꽃’의 성공이 MBC 사극에 갖는 의미와 가치 결국 조여화(이하늬)는 자신의 오라비가 시아버지인 좌상 석지성(김상중)에 의해 죽었다는 걸 알게 됐고, 왕 이소(허정도) 또한 선왕의 죽음이 석지성이 사주한 독살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밤처럼 깜깜한 어둠 속에 묻혀 있던 진실이 꽃이 고개를 드는 중이고, 이제 그 꽃은 마지막 서사를 향해 꽃피울 참이다. MBC 금토드라마 이 단 한 회만을 남기고 있다. 최종 빌런 석지성이 어떤 결말을 맞이하게 될지, 또 조여화가 이 수절과부의 굴레를 벗어나 금위영 종사관 박수호(이종원)와 행복한 미래를 그려나갈지 자못 궁금하고 기대된다. 이미 어느 정도 결말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 거둔 성취가 MBC 사극에 갖는 의미와 가치가 새삼스럽다. 사실 MBC 사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