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드라마
-
이젠 5% 넘기도 쉽지 않다, 지상파 드라마의 고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7. 7. 10:08
지상파 드라마, 이젠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때지상파 드라마 이제는 5% 넘기도 쉽지 않다. 한 때 20%, 30% 시청률을 넘겨야 성공한 드라마라 칭하던 때가 있었지만, 언젠가부터 10% 넘기면 선전했다고 얘기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5% 시청률 넘기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 이르렀다. 새로 시작한 KBS 수목드라마 는 4%(닐슨 코리아) 시청률을 내고 있고 MBC 도 5%를 간신히 넘긴 5.3%를 기록하고 있다. SBS 은 심지어 2.8%다. 반면 케이블 채널인 tvN 는 무려 8.4% 시청률이다. 이쯤 되면 지상파와 케이블의 시청률 수치가 완전히 역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게다가 월드컵 중계까지 겹치면서 드라마가 정상적으로 편성되지 못했던 탓이 크다. 하지만 이제..
-
'나저씨'·'예쁜 누나', 지상파 드라마와 확연히 다른 점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8. 5. 3. 12:39
지상파 드라마, 시청자들의 디테일 요구에 부합한가최근 지상파 드라마들을 보다보면 어딘가 ‘현실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한 때는 ‘드라마니까’ 라며 대충 넘어가던 것들이 이젠 ‘드라마라도’ 저건 좀 비현실적인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를테면 KBS 에서 송현철(김명민)이 일하는 은행풍경이 그렇다. 물론 코미디적인 접근을 하고 있어서 어느 정도는 극화된 면이 있지만 그래도 은행이라는 직종에 걸맞은 현실감 나는 이야기들이 잘 보이지 않는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은행이 배경으로 등장할 뿐이다. 물론 단 1년 전만해도 드라마에서 이런 디테일까지 요구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근 비지상파, 즉 tvN이나 JTBC가 내놓는 드라마들이 사건의 배경이 되는 일터의 상당한 디테일들..
-
지상파드라마도 '뷰티풀 마인드'나 '원티드'처럼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7. 26. 08:12
와 , 시청률 낮아도 이런 시도해야 KBS 월화드라마 는 첫 회 시청률이 4.1%(닐슨 코리아)로 나오면서 큰 충격을 줬다. 애초에 KBS의 기대감은 그만큼 높았기 때문이다. 의학드라마인데다 김태희 작가의 대본도 완성도가 높았다. 공감 능력이 없는 의사라는 캐릭터 설정도 참신했다. 하지만 지상파의 벽이 워낙 높았던 걸까. 는 시청률이 3%대까지 주저앉았고 물론 올림픽 방송 때문이라고 하지만 결과적으론 조기종영을 결정했다. 가 이런 의외의 상황에 봉착하게 된 건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다. 하필 동시간대에 SBS 가 들어온 건 가장 큰 악재라고 볼 수 있다. 역시 좋은 드라마지만 여러모로 같은 의학드라마라는 장르 때문에 와 비교선상을 서게 됐다. 는 의학드라마로서의 장르적 성격을 잘 구현해내면서도 동시에 지상..
-
'태후' 이후 뚝뚝, 역시 지상파 드라마의 한계인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4. 30. 08:22
지상파 드라마의 변하지 않는 한계들 KBS 가 방영될 때까지만 해도 지상파 드라마의 ‘부활’을 기대하게 했었다. 무려 4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기록했고, 화제성은 국내는 물론이고 중국이 들썩거릴 정도였다. 대사는 유행어가 되고 드라마에 등장한 PPL이 논란이 될 정도로 업계를 들었다 놨다 했다. 심지어 종영 후 스페셜 방송으로 편성된 프로그램이 본방 드라마 시청률을 압도했으니 무슨 말이 필요하겠나. 하지만 가 지나간 자리를 보면 다시 본래의 지상파 드라마로 돌아간 느낌이다. 종영 후 수목드라마의 패권을 두고 각축전이 벌어질 것으로 여겨졌지만 어째 드라마 대결은 시시해져가는 양상이다. 를 이어 KBS가 야심차게 준비한 은 첫 회 7.6%로 시작해 2회에는 6.5%로 대폭 하락해 동시간대 꼴찌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