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 선생 고현정, 화나지만 공감 가네
성적순으로 앉히고 성적순으로 사물함도 사용하게 하며 성적순으로 꼴찌 반장을 뽑아 갖은 궂은일을 시킨다? 점심시간 배식 중에 실수로 카레를 엎지르자 남은 카레 역시 성적순으로 나눠줘 몇 명 빼고는 맨밥을 먹이고, 시험 볼 때는 화장실도 못 가게 해 결국 오줌을 싸게 만들며, 심지어 아이들의 숨은 가정사를 반 아이들 앞에서 공개해 창피를 준다? <여왕의 교실>의 마여진(고현정) 선생은 비현실적일 정도로 막장이다.
'여왕의 교실(사진출처:MBC)'
자신에게 반기를 드는 학생은 무조건 꼴찌 반장. 제목이 보여주듯 마여진은 선생이라기보다는 교실에 군림하는 여왕처럼 보인다. 이 역할을 맡은 고현정이 <선덕여왕>의 미실을 떠올리게 하는 건 그래서 당연하고, 어쩌면 오히려 이 캐스팅이 그 효과를 염두에 둔 것 같다는 생각마저 든다. 도대체 이 막장 선생 마여진은 왜 이토록 지독하게 아이들을 어른들의 현실 앞에 내세우는 걸까.
만날 중학생 불량배들에게 끌려가 돈을 가져오지 않으면 때리겠다는 위협을 받는 동구(천보근)에게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도망치거나 굴복하는 것뿐이라고 말하는 선생. 그 둘 다 싫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냐는 질문에 목숨을 걸어야 한다고 하는 선생. 이제 겨우 초등학생에게 과연 할 말일까. 또 늘 코미디언 흉내를 내는 동구에게 반 아이들 앞에서 미혼모에 가출한 동구 어머니의 이야기를 꺼내며 “넌 진짜 동구가 되기가 두려운 거야”라고 말하는 잔인하기 이를 데 없는 선생. 마여진은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
<직장의 신>과 비교해 <여왕의 교실>은 판타지가 아니라 현실을 그리고 있다고들 말하는데 사실 마여진 같은 선생은 실제 교실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선생님보다 더 갑이 학부모이기 때문이다. 학교로 항의하러 몰려온 학부모들을 오히려 마여진 선생이 포섭해버리는 시퀀스는 그래서 이것이 드라마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지 현실이라면 불가능한 것일 게다. 그렇다면 <여왕의 교실>은 도대체 뭐가 현실적이라는 걸까.
그것은 작금의 아이들 교육이 앞으로 아이들이 맞닥뜨릴 지독한 현실에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한 질문이 현실적이라는 얘기다. “차별이 어때서? 경쟁에서 이긴 사람들이 특별한 혜택을 누리고 낙오된 사람들이 차별 받는 것은 너무 당연한 것 아닌가. 학교라고 예외는 아니잖아.” “사회의 99%는 너희 부모들처럼 차별 받는 것을 한탄하며 산다.” 마여진 선생이 던지는 이 이야기는 아프게도 모두가 현실이다.
<여왕의 교실>이 때론 지나치고 때론 너무 가혹하다 여겨지는 건, 이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을 진짜 현실을 아이들에게 직접적으로 던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 직시라는 명분이 있지만 그것은 달리 보면 아동 학대처럼 보이기도 한다. 꿈이라던가, 평등이라든가, 자유 같은 이상적인 가치들은 이 냉혹한 현실주의 앞에서는 심지어 무력하게까지 보인다.
그렇다면 이 드라마는 왜 이런 냉혹한 현실을 아이들에게 강요하는 것일까. 지금의 교육이 너무 안일하다는 비판일까. 성적순으로 대변되는 지금의 교육에 대한 비판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드라마의 속내는 교육의 문제보다는 마여진 선생으로 대표되는 냉혹하게 되어버린 현실의 문제를 더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조금 되바라진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순수한 아이들 앞에서까지 냉혹한 세상의 잣대를 강요하는 마여진 선생 같은 괴물을 탄생시킨 지독스런 현실을.
<여왕의 교실>은 그래서 청소년 드라마가 아니다. 이것은 어른들을 위한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잔인하지만 아이들이라는 눈높이로 다시 어른들의 세계를 들여다본다. 동구에게 “너는 친구가 하나도 없다”고 잔인하게 실상을 말하는 마여진 선생에게 동구의 좋은 점들을 일일이 열거하며 “선생님은 이런 동구에 대해 하나도 모른다”고 말하는 하나(김향기)는 그래서 냉혹한 현실 운운하는 어른들을 뜨끔하게 만든다.
<여왕의 교실>은 아이들 앞에 무시무시한 현실의 잣대를 제시하는 마여진 선생과, 그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지켜야할 가치들, 이를 테면 정의나 자유나 평등 같은 것들이 왜 소중한가를 드러내는 아이들이 대결하는 드라마다. 따라서 마여진 선생으로 대변되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현실을 가르치는 것 같지만, 이것은 정반대로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순수와 가치를 가르치는 이야기처럼 보인다. “동구는 좋은 친구”라고 밝히면서 눈물 흘리는 하나의 따뜻한 마음에 가슴 언저리가 따뜻해졌다면 여전히 우리 어른들에게도 가능성은 있는 게 아닐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보영, 그녀는 어떻게 여성들의 워너비가 되었나 (1) | 2013.06.21 |
---|---|
'상어', 왜 이렇게 지지부진해졌을까 (0) | 2013.06.20 |
'출생의 비밀'을 다루겠다면 이 정도는 돼야 (0) | 2013.06.11 |
'최고다 이순신', 조정석을 이렇게밖에 활용 못하나 (5) | 2013.06.10 |
'목소리, 이종석의 매력에 푹 빠져드는 이유 (0) | 201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