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1박2일', 의외로 괜찮은 유호진PD 셀프디스 본문

옛글들/명랑TV

'1박2일', 의외로 괜찮은 유호진PD 셀프디스

D.H.Jung 2013. 12. 1. 12:18
728x90

<12>, 기대감 뺄수록 기대되는 까닭

 

우리의 장점은 다 고갈됐다.” <12>을 새롭게 이끌 유호진 PD는 시즌3 첫 방송을 앞두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장점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장점을 묻는 질문에 장점이 없다는 답변. 어찌 보면 황당하게도 느껴질 수 셀프디스다. <12>이라는 프로그램을 예능의 자존심으로까지 여기는 KBS와는 사뭇 다른 태도가 아닐 수 없다.

 

'1박2일(사진출처:KBS)'

이러한 <12>의 셀프디스 분위기는 시즌3의 첫 촬영 예고편에서도 묻어난다. 차태현은 죄송한데 이게 다인가요?”하고 물었고, 김준호는 누구 한 명 데리고 와하고 말했다. 자막으로 표기된 것만 봐도 떠들썩한 섭외의 최종결과’, ‘저조한 인지도’, ‘저조한 자신감같은 문구들이 전하는 고개 숙인 <12>’의 분위기를 미루어 알 수 있다. 새롭게 시작하는 마당에 왜 유호진 PD는 자신감이나 기대감을 내세우지 않고 오히려 자신 없음기대감 없음을 내세운 걸까.

 

여기에서 유호진 PD가 가진 의외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유호진 PD는 독불장군식으로 <12> 혼자 달려 나가기보다는 지금 현재 대중들이 체감하는 <12>에서부터 시작하겠다고 못을 박은 것이다. 사실 현재의 <12>은 전성기가 거의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추락한 것이 사실이다. 패턴의 반복으로 기대감은 거의 사라졌고, 새로운 예능 형식들에 비해 어딘지 구닥다리 느낌마저 주는 것도 사실이다. 유호진 PD는 이것을 부정하기보다는 인정하는 지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셈이다.

 

결국 예능 프로그램에서 전제되어야 할 것이 제작진의 생각과 대중들의 생각이 공유되는 지점이라고 볼 때 유호진 PD의 마인드는 일단 합격점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누가 새로운 멤버가 될 것인가를 두고 인터넷이 뜨겁게 달궈지기도 했지만 그것은 새 멤버에 대한 기대감이 아니라 기대 없음의 표현이 더 많았다. 아마도 이 실상을 잘 파악하고 있기에 유호진 PD떠들썩한 섭외의 최종결과같은 다소 부끄러운 마음을 드러내는 자막을 붙였을 게다. 셀프디스는 그런 점에서 일단 괜찮은 접근방식으로 여겨진다.

 

<12>이 시즌2를 하면서 망가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프로그램의 본질을 잃어버리고 자꾸만 겉핥기만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12>의 본질은 늘 대중들과 함께 하는여행이었다. 그래서 대중의 이름을 빌어 와 복불복을 하고 까나리 액젓을 마시기도 했고, 때로는 제작진 전원이 비를 맞으며 야외취침을 하기도 했던 것이다. 또 대중들과 함께 정서를 공유했기 때문에 때로는 감탄하고 때로는 고통스러운 여행을 했던 것이다.

 

요는 복불복이나 여행 그 자체보다 먼저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 정서적인 유대감이라는 점이다. 저 복불복이 저 여행이 우리들의 여행이라고 느껴지는 것과 저들만의 여행이라고 느껴지는 것은 천지 차이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유호진 PD<12>의 현재 초라한 모습을 꺼내놓고 대중들과 다시 소통을 이어가려는 노력은 그 어떤 새로운 게임의 개발이나 새로운 여행지의 발굴보다 훨씬 중요한 문제가 된다.

 

뭔가 잘 안 되는 이들의 여행은 뭔가 잘 안 풀리는 현실을 살아가는 대중들에게도 어쩌면 정서적인 공감대를 줄 수 있다. 이 대중들의 정서적 지점과 제작진이 처한 현실 그리고 출연자가 느끼는 무력감 같은 것이 하나의 공감대로 엮어진다면 <12> 시즌3의 여행은 분명 다른 가능성을 만들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여행이라는 아이템이 낡아서, 형식 그 자체가 식상해서, 아니면 새로 들어온 출연자들이 재미가 없어서 <12>이 추락했던 것만은 아니다. 그보다는 대중들의 정서를 어루만지지 못하고 함께 하지 않으면서 저 혼자 앞으로 달려가기만 하는 소통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대중들이 공감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추락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시작하는 마당에 유호진 PD의 셀프디스는 그런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물론 남은 것은 이 정서적 공감대를 어떻게 유지하고 또 어떻게 흥미로운 방향으로 이끌어갈 것인가 일 테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