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18초', 엑소가 나와도 안 사는 묘미 되살리려면 본문

옛글들/명랑TV

'18초', 엑소가 나와도 안 사는 묘미 되살리려면

D.H.Jung 2015. 8. 13. 09:03
728x90

<18>, 그 짧은 시간이 오히려 가능성이 될 순 없나

 

SBS 파일럿 프로그램 <18>를 보며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을 굳이 떠올릴 필요는 없다. 방송 콘셉트가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인터넷 개인방송 트렌드는 이미 우리뿐만 아니라 범세계적인 현상이다. 그러니 그 소재를 가져왔다고 다 같을 수는 없는 법이다. 그런데 그 <마이 리틀 텔레비전>과는 다른 <18>의 콘셉트가 효과적이었는가는 미지수다. 18초라는 짧은 시간 동안의 동영상을 찍어 올리는 건 실제로 이 18초가 가장 집중하는 시간이라는 의미가 있을지는 몰라도 그다지 재미있고 기발한 영상이 나오기가 사실상 힘들기 때문이다.

 


'18초(사진출처:SBS)'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인터넷 개인방송을 스튜디오에 재현하는 형태로 끌어들여 효과를 봤다. 즉 하나의 집 구조로 되어 있는 스튜디오에 마치 개인방송을 하는 BJ들이 그러하듯이 각각의 방에 들어가 저마다의 콘셉트로 방송을 하는 걸 찍어 보여주는 것이다. 거기에 이 프로그램은 2중으로 필터링을 했다. 한 번은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방송을 하고 또 한 번은 그걸 편집해 TV로 방송하는 것. 2중의 필터링은 인터넷 방송의 묘미를 그대로 살리면서도 지상파 시청자들에게 자칫 낯설 수 있는 개인방송의 재미를 친절하게 가이드 해주었다.

 

<18>는 대신 스포츠 중계 하듯이 개인방송 8개를 중계하는 형식을 취했다. 즉 스포츠 중계 방식을 통해 개인방송에 대한 코멘트와 해설을 넣어 그 낯설음을 극복하려 했다는 점이다. 게다가 현장으로 나가게 된 카메라는 지구 반대편인 영국 런던에서 영국인이 하는 방송을 여기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을 만들었다. 프로그램이 글로벌한 색깔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이 현장 중계 방식 덕분이다.

 

하지만 문제는 18초라는 짧은 시간에 있었다. 결국 스포츠 중계도 그 경기 내용이 재미있을 때 빛을 발하는 법이다. 봉만대의 지상파 에로드라마는 그 기획이나 촬영하는 과정이 더 재미있다. 모두가 출연하고 있는데 혼자만 스텝 역할을 도맡아하는 배우 이상화의 시무룩은 그가 만든 18초 드라마보다 더 흥미롭다. SNS스타 허지혜와 만나 정우성 엽기원숭이 사진을 재현하는 김나영의 영상 역시 그 18초를 찍는 과정이 훨씬 재미있다. 마찬가지로 엑소의 찬열이 당구 묘기를 보여주는 그 18초 영상보다 당구장에서 짜장면을 시켜놓고 18초에 먹기를 시도하다 너무 뜨거워 포기하는 장면이 더 시선을 잡아끈다.

 

중요한 건 이런 메이킹 장면은 인터넷에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18초 영상에는 올라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그 영상을 찍는 지상파의 카메라가 포착하고 있을 뿐이다. 이렇게 되면 출연자들이 찍는 개인동영상과 지상파 카메라가 찍는 영상 사이에 틈이 생긴다. 지상파 카메라가 찍는 그들의 메이킹 영상은 재미있는데 막상 개인동영상은 별로 재미가 없다는 점이다.

 

메이킹 장면의 묘미는 인터넷 방송의 특징 중 하나다. TV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이 어떻게 찍히고 있는가를 대부분 숨기기 마련이지만(물론 예외도 있다. 나영석 PD의 예능은 대표적이다) 인터넷 방송은 그 프로그램이 어떻게 찍히는가 까지를 보여줄 때 더 흥미로워진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18초 동영상이라는 틀은 가능성이기도 하지만 한계가 더 많다는 점이다. 애초에 18초를 염두에 두고 찍는다면 그걸 결코 리얼하고 자연스러울 수가 없다. 이것이 경쟁적으로 이뤄진다면 자칫 너무 자극적인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대신 오래도록 찍은 것 중에 18초의 순간을 편집하거나 선별해낸다면 자연스러울 수는 있어도 너무 방향성이나 전략을 찾기가 힘든 우연에 기대는 일이 될 수 있다.

 

<18>는 개인방송 시대에 지상파가 그 새로운 방송 영역을 끌어안으려는 시도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파일럿이 정규가 되기 위해서는 18초라는 틀을 한계가 아닌 가능성의 지대로 만들어낼 수 있는 또 다른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메이킹 필름을 인터넷에서도 그대로 실시간으로 보여주면서, 거기서 나오는 18초 영상을 제작진 혹은 출연진이 편집해 하나의 작품으로 내놓는 두 가지 영상을 모두 취하는 방식 같은 것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