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올해 대중문화, ‘헬조선’과 무관한 게 없었다

728x90

영화, 드라마, 예능까지, ‘헬조선의 그림자

 

올해의 대중문화를 단 한 마디로 표현한다면 헬조선이 되지 않을까. 이른바 ‘N포세대들이 우리나라를 자조하며 일컫는 이 단어는 아이러니하게도 올 한 해 우리네 대중문화의 동력이 되었다.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분노와 답답함이 그나마 대중문화의 판타지와 위안 속에서 숨 돌릴 수 있는 여지를 찾게 했던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출처:영화<내부자들>

헬조선의 그림자를 여지없이 느낄 수 있는 건 영화 <베테랑><내부자들>의 대흥행이다. 상반기 블록버스터 시장을 천만 관객을 훌쩍 넘기며 전면에서 이끈 <베테랑>의 그 동력은, 하반기로 와서는 청소년 관람불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7백만 관객을 넘보는 기록적인 수치를 만들어낸 <내부자들>로 이어지고 있다. 두 영화는 결국 우리네 젊은이들이 우리 사회를 헬조선이라 부르는 그 현실을 끌어와 영화로나마 카타르시스를 제공했다.

 

<베테랑><내부자들>이 드러내고 있는 헬조선의 그림자는 무소불위의 힘을 발휘하는 자본의 권력과 그 권력에 붙어 기생하는 시스템들(정치부터 언론까지)이다. 이들 영화는 현실 어딘가에서 봤음직한 인물들과 상황들을 영화 속으로 끌어와서는 한껏 그 부조리한 권력 시스템의 더러움을 고발하고 폭로함으로서 관객들에게 통쾌함을 선사했다. 단 몇 시간 동안의 즐거움일 수 있지만, 또 그것이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어차피 바뀌지 않는 현실이 주는 막막함 앞에 대중들은 그 작은 위안 속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올해의 드라마들 역시 헬조선의 그림자를 여러 각도에서 비추어 냈다. 작년 <미생>에 이어 노동운동을 소재로 다룬 <송곳>은 현실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동자들의 부당해고 문제를 세세하게 그려내며 심지어 대처요령까지 알려줌으로써 화제가 되었다. 물론 현실 그 자체보다는 판타지를 추구하는 드라마 시청 소비패턴의 성격상 시청률은 낮게 나왔지만 충분히 그 가치가 인정될 수밖에 없는 드라마였다.

 

헬조선의 그림자를 역으로 알려준 올해의 드라마는 <응답하라1988>일 것이다. 1988년 쌍문동 골목으로까지 돌아간 이 드라마는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이웃 간의 정과 훈훈한 이야기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다. 결국 복고의 힘이란 현실의 결핍에서 나온다고 볼 때, <응답하라1988>이 케이블 채널로서는 이례적으로 무려 18%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냈다는 건 얼마나 지금의 현실이 깊은 결핍으로 가득 차 있는가를 말해준다. 살풍경한 헬조선의 현실 속에서 대중들은 드라마가 그려내고 있는 시간여행의 위로 앞에 눈물지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예능 프로그램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가장 뜨거운 예능 프로그램으로 <삼시세끼>를 떠올려보라. 복잡한 도시를 떠나 잠시 현실을 잊고 오로지 삼시세끼를 챙겨먹는 일에만 몰두하는 것에 이토록 대중들이 열광했다는 건 놀라운 일이 아닌가. 이것은 거꾸로 지금의 대중들이 그저 걱정 없이 세끼만 챙겨먹게 해달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많던 쿡방 트렌드도 결국은 헬조선의 그림자 안에서 그나마 찾을 수 있는 작은 위안으로서 요리와 음식이라는 소재에 대중들이 빠져들었다는 걸 말해주지 않는가. 이제 거대한 꿈이나 현실을 깨치고 이상을 추구하는 일 따위는 헬조선에서는 결코 이뤄지지 않는 일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그래서 포기 세대들은 그런 거창한 꿈이나 이상을 추구하지 않는다. 섣불리 현실을 바꾸려고도 하지 않는다. 워낙 공고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바위에 부딪쳐 깨지기보다는 작은 힐링과 위안으로 하루하루를 위무하려는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올 한 해 대중문화의 키워드가 헬조선이었다는 걸 부정하긴 어려울 것 같다. 한 해의 키워드가 헬조선이 된다는 건 실로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그래도 이를 어떻게든 대중문화의 틀로 끌어오려는 노력들이 있어 때론 위로를 주고 때론 각성하게 해주며 답답한 현실에 작은 숨통을 틔워준다는 건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내년에는 제발 헬조선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지 않기를 바라지만 그게 그리 쉬울 것 같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