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프로듀스101', 어째서 출연자보다 걸 그룹들이 다시 보일까

728x90

<프로듀스101>, 적어도 알게 된 걸 그룹에 대한 몇 가지

 

101명의 연습생들이 <M카운트다운> 무대에서 ‘Pick me’를 부르는 장면은 한 마디로 장관이었다. 지금껏 이토록 많은 인원이 함께 하는 군무와 합창은 없었을 게다. 그 압도적인 인원이 저마다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무대 위에서 매력을 뽐내는 모습은 그 자체로 시선을 끌 수밖에 없었다. 자칭 국민 걸 그룹을 탄생시키겠다고 연 Mnet<프로듀스101>이 출연한 연습생들과 만든 첫 번째 무대다.

 


'프로듀스101(사진출처:Mnet)'

그런데 그들이 서 있는 무대가 예사롭지 않다. 네 개의 삼각형 무대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위쪽과 좌우로 나뉘어져 있다. 그냥 그렇게 서 있는 무대라고 생각하겠지만 그 삼각형 중 어느 삼각형에 들어갈 것인지, 그리고 그 삼각형 속에서도 꼭지점 앞쪽에 설 것인지 아니면 뒤에 설 것인지가 사실은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

 

중앙에 있는 삼각형의 맨 앞자리 꼭지점에 서는 인물이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는 건 당연한 일. 이건 우리가 무심코 봐왔던 걸그룹의 배치와도 무관하지 않다. <프로듀스101>에 참여한 연습생들은 그래서 어떻게든 이 꼭지점에 서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이 프로그램의 상징처럼 사용되는 삼각형은 그런 의미다. 꼭지점을 향해 줄 서기. 혹은 무한 경쟁.

 

이 장면은 그 자체만으로도 시청자들의 정서를 불편하게 만든다. 그것이 다름 아닌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시스템 구조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간 오디션 프로그램 역시 사실 그 시스템 구조는 이 삼각형이었지만 그걸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다. 하지만 <프로듀스101>은 다르다. 아예 대놓고 그 삼각 시스템을 드러내고 그 안에서 방출되지 않기 위해 목숨을 걸라고 말한다.

 

특이한 건 <프로듀스101>은 그 많은 연습생들을 세워놓고도 오디션 과정을 통해 그들을 스타로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금껏 3회가 방영됐지만 시청자들에게 눈도장을 찍은 몇몇 인물이 있을 뿐, 그 이름조차 기억하기가 쉽지 않다. 워낙 숫자가 많은 데다 등급별로 색깔만 다를 뿐 같은 옷을 입혀 놓으니 개성이 살아날 리 없다.

 

<슈퍼스타K>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이 첫 회 첫 인물을 세우는 것에 그토록 공을 들이고, 그 인물이 사실상 그 해의 오디션 스타로 발돋움하는 것을 여러 차례 봐왔던 시청자들에게는 <프로듀스101>의 이 같은 진행이 이상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최고의 걸 그룹을 만든다고 주장하고, 그래서 등급까지 나눠 치열한 경쟁을 붙이지만 정작 그 개개인의 인물들은 별로 주목되지 않는 이상한 상황.

 

그러다 보니 <프로듀스101>은 누가 누군지는 알 수 없어도 서로 경쟁하고 있고, 그것이 결코 쉽지 않으며 그럼에도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는 막연한 그림들로 다가온다. 그것은 다름 아닌 우리가 무심코 봐왔던 걸 그룹의 진면목이다. 지금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소녀시대나 2NE1, 시스타나 에이핑크 같은 걸 그룹들도 저런 치열하고 눈물 나는 연습생시절을 보냈을 거라는 생각을 비로소 하게 된다.

 

그리고 이 오디션의 출연자들이 에이핑크나 소녀시대, 2NE1의 노래를 커버하는 무대를 보면 볼수록 그간 늘 웃고 밝은 모습으로만 봐왔던 걸 그룹들이 새삼 대단하다는 걸 깨닫게 된다. 도대체 에이핑크의 정은지는 노래를 얼마나 잘 했던 것이고, 2NE1의 공민지는 얼마나 춤을 잘 췄던 것이며, 씨엘은 랩을 멋지게 소화해냈던 것인가. 춤과 노래가 여전히 어색한 연습생들과 그들과의 격차를 더더욱 뼈저리게 실감하게 된다.

 

어째서 <프로듀스101>은 반짝반짝 빛나는 출연자들의 개성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지 않는 것일까. 노래를 잘하면 그걸 키워주기보다는 춤도 잘 춰야 한다고 하고, 보이쉬한 매력을 보이는 걸 그룹에게는 여성스러움 또한 잘 표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개성이 아니라 모든 걸 다 잘해야 한다고 말할 때 개개인들의 매력은 사라지기 마련이다. 이것이 혹시 걸 그룹이라는 존재의 실체는 아닐까. 혼자 튀기보다는 함께 맞춰야 하는. 그래서 개인보다는 팀을 세워야 하는 그런 존재.

 

우리는 걸 그룹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도 그 개개인의 멤버들을 알기까지 꽤 시간이 걸린다는 걸 알고 있다. 즉 걸 그룹들은 팀이 존재를 세우더라도 각자의 개성은 무대 위에서가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의 게스트 출연 등을 통해서 알려진다. 물론 그것은 후에 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지만 너무 개개인이 주목을 받다보면 팀은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

 

이런 태생적인 딜레마로 자신을 너무 드러내서도 또 너무 드러내지 않아도 힘겨운 게 걸 그룹의 일원이 갖는 고충이 아닐까. 그래서인지 <프로듀스101>은 그 101명의 한 덩어리가 이미 걸 그룹인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삼각형의 무대 위에 서서 꼭지점을 향해 경쟁하면서 살을 깎는 고통을 감내한다. 그 살은 그래서 갈수록 추려진다. 이 프로그램이 목표로 세운 인원으로.

 

<프로듀스101>이 주는 불편함은 단지 그것이 상기시키는 경쟁구조 때문만이 아니다. 그것은 살아남기 위해 경쟁하지만 그렇다고 완전체가 되기까지는 자신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 걸 그룹이라는 존재가 우리네 보통 사람들의 사회생활과 판박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조직에서 열심히 일하고는 있지만 자신의 존재는 묻혀지기 일쑤고 그러다가 어느 순간 누구도 눈길을 주지 않는 곳에서 퇴출되곤 하는 게 우리네 보통 사람들의 삶이 아닌가. 결국 주목되는 건 꼭지점뿐이다. 이 과정을 거치고 있는 연습생들보다 그 과정을 거쳐 스타덤에 오른 걸 그룹들이 새삼 대단하게 여겨지는 건 그래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