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목마른 세상, 자꾸만 한대수가 다시 들리는 건

728x90

야인 한대수의 멸망의 밤’, 그가 꿈꾼 행복의 나라로

 

X같은 세상 다 썩어가네. 총알은 튀고 또 피바다 되어- 비린내 나는 이 끝없는 전쟁, 공해와 질투, 또 오해와 권투. 돈 좇아가다 다 지쳐버렸네. 어린애들은 다 미쳐 버렸네.’ 한대수가 2000년에 발표한 ‘Eternal sorrow’에 수록된 멸망의 밤은 쌍스럽게도 욕으로 가사를 시작한다. 그에게 세상은 욕이라도 해야 될 어떤 곳이다. 그 곳은 피 비린내 나는 끝없는 전쟁이 벌어지는 곳이고, ‘이웃사랑을 비웃는 사기의 천국이다. 종교가 사람을 구원하기는커녕 바로 그 믿음이 다르다는 이유로 쓰러진 사람 옆구리를 차 창자가 터진전사들을 만드는 곳이다. ‘지옥이 따로 있나. 바로 여기 있지.’

 

'한대수(사진출처:서울뮤직)'

멸망의 밤이 그러하듯 한대수의 노래에는 거침이 없다. 마치 세상 바깥에서 세상을 들여다보며 툭툭 던지는 이야기 같다. 우리 같이 세상 안에서 생존해내기 위해 무수한 분노와 좌절감을 꿀꺽 삼키며 살아가는 서민들은 그래서 한대수의 노래를 들으면 마음 한 구석의 억눌렀던 무언가가 터져 나오는 듯한 기분을 갖게 된다. 한대수 하면 지금도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물 좀 주소라는 곡이 그렇고 행복의 나라로라는 곡이 그러하다.

 

흔히들 한국의 밥 딜런으로 한대수를 이야기하곤 하고 실제로 그가 밥 딜런의 영향을 받은 국내 포크 가수들 중 한 명이라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사실 밥 딜런의 영향을 받은 국내 포크 가수들은 한대수 이외에도 꽤 많다. ‘담배라는 절창을 불러낸 서유석도 있고, 낮은 읊조림으로 세상을 날카롭게 노래한 김민기도 있으며, 미국적 포크를 우리식의 민요로 수용해낸 양병집이나 정태춘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대수가 주목되는 건 현실에 대한 날선 비판의식을 지금까지도 가사에 녹여 부르는 현재진행형의 가수라는 점 때문이다.

 

밥 딜런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되었다는 소식에 우리가 반색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착잡한 마음이 되는 건 우리네 가요계에서 한대수 같은 거장이 저 밥 딜런처럼 자유롭게 살아갈 수 없었던 현대사들 때문이다. 음악은 삶의 즐거움을 노래하기도 하지만, 또한 세상의 부조리를 시적 언어로 비판해낼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인물이 밥 딜런이 아니던가. 그가 부른 ‘Blowing in the wind’‘The Times They are a-Changin’ 같은 반전음악은 그래서 시대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었다. 하지만 우리네 풍토에서 이처럼 세상의 부조리를 노래했던 가수들은 한때 블랙리스트가 되어 핍박받기도 했다.

 

그래서 지금의 우리네 가요를 보면 너무 균형을 잃은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물론 한류의 첨병처럼 되어 있는 아이돌 음악이 의미가 없는 건 아니지만 너무 그쪽으로만 치우쳐져 있다는 것이다. 이 흐름 속에서 가사의 무게감은 갈수록 사라지고 표피적으로 흘러버린다. 한대수가 저 멸망의 밤에서 노래한 돈 좇아가다 다 지쳐버렸네라는 가사가 새삼 가슴에 박히는 건 그래서다.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져 나오면서 대중들은 허탈감에 빠져 있다. 그 허탈감의 정체는 우리가 타고 있는 이 배가 누구의 손에 의해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살아왔다는 그 자괴감, 배신감에서 비롯되는 것일 게다. 그러고 보면 최순실 게이트는 안타깝게도 아이들을 저 세상으로 보낸 세월호 참사를 그대로 닮았다. 만일 밥 딜런이 지금 여기 살아가는 한국인이었다면 어떤 노래를 했을까.

 

김용익 민주정책연구원장은 밥딜런이 한국인이었다면 받을 것은 블랙리스트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밥 딜런의 노벨상 수상을 언급하면서 우리가 대중문화인들의 블랙리스트를 쓰고 있을 때 밥 딜런은 귀로 듣는 시를 쓰고 있었다. 그 시가 세상을 바꿔왔다. 이제 청와대만이 아는 대답을 듣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 문재인 전 대표도 정부는 학문과 문화예술을 지원하되 간섭해선 안 된다. 블랙리스트 따위는 있어선 안 된다고 했다.

 

목마른 세상, 자꾸만 한대수의 노래들이 다시 들리는 나날들이다. 우리는 그가 부른 멸망의 밤을 겪고 있다. 이 어둠을 통과해 그가 꿈꾸던 행복의 나라로갈 수 있을까. ‘물 좀 주소의 그 갈증이 그 어느 때보다 공감되는 시절이다. 우리에게는 더 많은 한대수가 필요하다.